[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SBI그룹과 구글, 테마섹이 공동으로 인도 인터넷전문은행에 투자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 전용 인터넷은행 플랫폼 오픈(OPEN)은 1억 달러(약 1200억원)) 규모 시리즈C 자금 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의 주도로 SBI그룹 산하 SBI인베스트먼트와 구글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인 타이거글로벌과 쓰리원포캐피탈도 투자했다. 오픈은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인베디드 금융 플랫폼과 금융기관용 클라우드 중소기업 뱅킹 플랫폼을 개선하는 데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동남아와 유럽, 미국 등 해외 시장 진출도 추진한다. 2017년 설립한 오픈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200만개 중소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간 200억 달러(약 24조원) 이상의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아니시 아추탄 오픈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년간 우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중소기업 인터넷은행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면서 "사업을 지속해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금융 대기업 SBI그룹이 연내 일본 최초의 암호화폐 펀드를 출시할 계획이다. 일본은 전 세계에서 상대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우호적인 국가로, 암호화폐가 본격적으로 제도권 금융에 편입될 지 주목된다. 아사쿠라 토모야 SBI 이사는 3일 블룸버그통신에 "11월 말까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시, 리플, 라이트코인 등에 투자하는 펀드를 공개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 펀드는 수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반 투자자와 금융당국에 암호화폐가 변동성과 투기성이 큰 자산이 아니라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펀드는 SBI 자회사인 암호화폐 거래소 SBI VC트레이드가 수탁 업무를 담당하고, SBI얼터너티브인베스트먼트가 펀드 조성·운영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SBI는 암호화폐 리플(XPR)의 초기 투자자로 대표적인 친(親) 암호화폐 기업으로 꼽힌다. 암호화폐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SBI는 지난 2019년 7월 SBI VC트레이드를 설립했고, 작년 10월에는 경쟁 거래소인 타오타오를 인수했다. 현재 두 회사의 합병을 추진 중이다. <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금융사 SBI그룹이 암호화폐 거래소 SBI VC트레이드와 타오타오를 합병하기로 했다.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는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함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BI는 지난 1일(현지시간) 열린 이사회에서 두 거래소의 합병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 1일부터 SBI VC트레이드라는 이름으로 통합 거래소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SBI는 지난 2019년 7월 SBI VC 트레이드를 설립했고, 작년 10월 타오타오를 인수하며 일본에서 두 개 거래소를 운영해 왔다. 이번 결정은 일본 내 암호화폐 거래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재정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일본 금융청(FSA)의 인가를 얻은 암호화폐 거래소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현재 30여개 거래소가 사업을 하고 있다. SBI는 암호화폐 리플(XPR)의 초기 투자자로 대표적인 친(親) 가상자산 기업으로 꼽힌다. 가상자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영국 암호화폐 역외거래소(OTC) B2C2의 지분을 인수했다. 또 싱가포르 가상자산 거래소 설립을 위해 스위스 최대 증시 거래소 SI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