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튀르키예 스테인리스 냉연 공장의 매각설을 부인했다. 중국발 저가 공세에 따른 어려움을 타계하고 수익성을 회복한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20일 스틸 오르비스와 스테인리스 스틸 클럽 등 외신에 따르면 포스코는 튀르키예 스테인리스 냉연 생산법인인 포스코아산TST의 매각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사업 정상화에 집중해 수익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업계에서는 중국발 저가 제품 여파로 경쟁력이 약해진 포스코아산TST가 매각될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됐다. 포스코아산TST는 지난해 23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생산이 시작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2억 달러(약 2800억원)에 가까운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포스코의 파트너인 키바르홀딩스는 영업 적자를 강조하며 현지 정부에 조치를 요구하기도 했다. 할루크 카바야시(Haluk Kayabaşı) 최고경영자(CEO)는 작년 4월 "불공정 경쟁에 대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포스코아산TST) 생산시설을 폐쇄할 수도 있다"고 밝혔었다. 튀르키예철강협회(TCUD)도 수입산 물량으로 자국 기업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튀르키예는 수입산 철강 제품에 12% 관세를 부과하고
[더구루=김명은 기자] 미국의 우주 인프라 기업 액시엄스페이스(Axiom Space, 이하 액시엄)가 휴스턴 우주 공항(Houston Spaceport) 내 본사 시설을 우주 정거장 사업에 맞게 개조한다. 이는 세계 최초의 민간 우주 정거장 구축을 목표로 하는 액시엄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보령과의 협력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보령은 우주 헬스케어 분야 진출을 염두에 두고 액시엄에 전략적 투자를 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미국 항공우주업계에 따르면 액시엄은 휴스턴시와 협력해 휴스턴 우주 공항 내 위치한 자사 본사 및 연구·제조 시설을 우주 정거장 모듈 제작, 테스트, 우주비행사 훈련 등을 위한 첨단 인프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시설은 향후 액시엄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분리해 독립적으로 운영할 민간 우주 정거장의 핵심 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설 개조는 민간 우주 정거장 사업의 핵심 인프라는 강화하는 전략적 조치로, 액시엄에 투자한 보령에는 기술 협력과 산업 진출 속도를 높이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보령은 앞서 지난 2022년 말 액시엄에 5000만 달러(약 65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며 우주 산업 진출의 포문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이 첫 원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가운데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원전 강대국들이 거의 모두 다 뛰어들고 있다. 20일 베트남 언론에 따르면, 베트남 첫 원전 프로젝트 수주 후보로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뿐만 아니라 프랑스, 러시아 도 거론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1일 열린 한국 베트남 정상회담을 통해 "고속도로와 신도시 뿐만 아니라 원전에서도 협력을 강화하자"고 말했다. 기업에서는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가 지난 2월 서울 모처에서 베트남 전력공사(EVN)와 베트남 석유가스공사(PVN) 경영진을 만나 원전 개발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 바 있다.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베트남 누적 투자액은 약 12억 달러(약 1조7200억원)에 이른다. 미국은 베트남과의 무역 협정 체결 이후 원전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미국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는 베트남석유가스공사와 원전 개발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한 MOU를 맺기로 합의했다. 중국 또한 두 차례에 걸쳐 원전 협력 의사를 표명했다. 중국석유공정건설유한회사(CPECC) 회장이 베트남 최대 국영기업 베트남 국가산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KT의 전략적 파트너인 베트남 국영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비엣텔(Viettel)이 대규모 연구개발(R&D), 데이터센터 건설을 시작했다. 비엣텔은 새로운 시설이 베트남의 디지털전환,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비엣텔은 19일(현지시간) 하노이에서 신규 R&D센터와 데이터센터의 기공식을 개최했다. 비엣텔은 해당 시설을 건설하는데 총 27조5000억동(약 1조46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하노이 호알락 하이테크 파크(Hoa Lac Hi-tech Park) 내 건설되는 비엣텔 R&D센터 구축에는 10억동(약 5300억원)이 투입된다. 비엣텔 R&D센터는 총 13헥타르(ha, 3만9325평) 부지 위에 6개 건물로 구성된다. 비엣텔은 2030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비엣텔 R&D센터에서는 약 2500명의 연구인력이 근무하게되며 무인항공기(UAV)와 감시위성, 레이더 등 방산 기술과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IT 기술 연구가 진행된다. 비엣텔은 같은 날 하노이 안칸에서 데이터센터 기공식도 진행했다. 비엣텔 안칸 데
[더구루=길소연 기자] 베트남 CT그룹의 무인기(UAV)가 오는 10월이면 최종 시제품이 나올 전망이다. 국내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솔루션 개발 기업 에어빌리티는 CT그룹과 힘을 보태 UAV를 생산, 동남아시아 첨단 항공 모빌리티(AAM)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쩐낌중(TRẦN KIM CHUNG) CT그룹 회장은 최근 베트남 현지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에어빌리티와 UAV 5000대 생산 관련 업무협약(MOU) 체결에 대한 진행상황을 설명했다. 쩐낌중 회장은 "CT그룹은 한국 기업과 UAV 생산,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해 주목받았다"며 "UAV를 출시하는 항공부문 계열사 CT UAV에서 UAV를 제작해 수출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르면 10월까지 최종 시제품을 완성할 예정"이라며 "이후 생산 및 납품은 복잡성에 따라 6~9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내년까지 한국 등 동남아 시장에 수출할 UAV 5000대 주문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에어빌리티와 협력한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쩐킴중 회장은 "에어빌리티의 잠재력과 전문성을 느꼈다"며 "에어빌리티가 주문 대금을
[더구루=김나윤 기자] 삼성증권이 투자한 베트남의 대표 자산운용사 드래곤캐피탈(Dragon Capital)이 호치민시 증권(HSC)의 공모 증자에 참여하기 위해 1조1340억 동(약 6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드래곤캐피탈은 지난 19일(현지시간) "HSC의 신주 공모에서 1억1340만 주를 매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베트남 당국 승인에 따라 HSC는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2:1 비율의 유상 증자를 실시한다. 주당 공모가는 1만 동(약 530원)으로 총 3조 6000억 동(약 1910억원)을 조달하게 된다. 공모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HSC의 정관 자본금은 기존 7조2080억 동(약 3830억원)에서 10조8000억 동(약 5730억원) 이상으로 확대된다. HSC 증권의 2대 주주는 호치민시가 소유한 국가 금융투자주식회사(HFIC)로 지분율은 16.88%, 보유 주식은 약 1억2160만 주에 달한다. HFIC는 이번 공모에서 매수권 약 6080만 주를 배정받았으나 이를 행사하지 않고 호치민시 증권거래소(HOSC)를 통한 경매 방식으로 전량 매각하기로 했다. 경매 낙찰가는 옵션당 6880동(약 370원) 수준으로 예상되고 매각이 성사되면 HFIC는 최소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디웨이브 퀀텀(D-Wave Quantum)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자컴퓨터 관련 특허를 출원한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유료기사코드] 특허 전문 시장조사기관 페이넌트베스트(PatentVest)는 20일 '변곡점에 선 양자컴퓨터(Quantum Computing at an Inflection Point)'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1만4800여개 특허 패밀리(Patent families·여러 국가에 출원한 특정 특허를 모두 묶은 것)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웨이브 퀀텀이 총 1338개 특허를 출원해 전 세계 양자컴퓨터 기업 중 1위를 차지했다. 디웨이브 퀀텀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 지난 2011년 세계 최초로 상업용 양자 컴퓨터인 '디웨이브원'을 출시했다. 지난 3월 세계 최초로 "양자 우위(quantum supremacy)를 입증했다"는 논문을 공개했다. 이어 6월에는 양자컴퓨터 시스템 어드밴티지를 출시한 이후 4년여 만에 6세대 양자컴퓨터 시스템 '어드밴티지2'를 공개했다. 이어 중국 기업 오리진 퀀텀(Origin Quantum)이 특허 출원 1326개로 뒤를 이었다. 오리진 퀀텀은 20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미국 국방부와 이동식 원자로 개발·공급에 나선다. 전력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이동식 원자로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엑스에너지는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방혁신기구(DIU)와 이동식 원자로 개발·공급 관련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미국 국방부가 추진 중인 ‘첨단 원자력 발전 설비(ANPI)’ 프로그램 아래 상업용 ‘제니스(XENITH)’ 개발을 가속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서 지난 5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30년까지 군사 기지에 첨단 원자로를 배치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제니스'는 엑스에너지가 개발한 고온 가스 냉각 마이크로 원자로다. 공장에서 조립한 후 이동식 설치가 가능해 군사 지역과 같은 고립된 환경에서 운영하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20년 간 운영 가능하며 3~10M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엑스에너지와 국방부는 제니스의 예비 설계를 위한 고급 공학 단계에 진입한다. 이 단계는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NRC)와의 군사 및 상업용 응용을 위한 사전 허가 논의가 포함된다. 엑스에너지는 지난 2009년 설립된 원전 기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엔비디아 칩 대신 현지 반도체 브랜드를 택하는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중국 반도체 업계 역시 미국의 추가 수출 규제 우려 속에 자율주행·스마트 드라이빙 기술 개발을 위한 독자 칩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완성차 업체인 샤오펑(Xpeng)과 니오(Nio)는 최근 출시한 모델에 각각 자체 개발 칩 ‘투링(Turing)’과 ‘선지 NX9031(Shenji NX9031)’을 탑재했다. 블랙세서미, 세미드라이브, 시엔진테크놀로지 등 중국 반도체 개발사 역시 독자 개발 칩 생산과 공급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BYD, 지리, 광저우자동차(GAC) 등 현지 완성차 업체에 인공지능(AI)용 반도체와 자율주행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SMIC와 화홍반도체 같은 파운드리 업체 또한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기술 의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첨단 반도체 대중 수출을 중단했다가, 최근 엔비디아 H20 칩에 한해 매출의 15%를 미국에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이 제조업의 뿌리다'. 이는 더 이상 허울 좋은 구호가 아니다. 국내 제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필승(必勝) 전략'이다. 인공지능(AI) 확산과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 등 산업 전반이 고도화되면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단순히 제조 공정의 혁신만으로 첨단 산업의 경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없다. 소재와 부품 산업군 까지 함께 발전해야 진정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소부장 기업들이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중국 기업들은 빠르게 추격하고 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發)의 관세 전쟁으로 외부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번 '세계로 가는 K-소부장' 기획은 대내외 위기 상황 속에서 국내 소부장 기업들이 기술·공급망 등 경쟁력 강화 전략을 집중 조명하려 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자립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정책적 지원 방향도 함께 모색한다. -편집자주-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커질수록, 넥스틴의 기회도 함께 커집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반도체 검사 장비 역시 새로운 진화를 요구받고 있습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시스템이 스위스 위성통신 장비 기업에 한화페이저 일부 사업을 매각했다. 최근 비핵심 투자 자산을 잇따라 정리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비, 군용 위성통신과 핵심 기술 강화에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20일 스위스투12(Swissto12)에 따르면 회사는 한화페이저의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ESA)' 핵심 기술과 관련 장비 일부를 인수했다. 인수 대상에는 주로 Ku·Ka 밴드 대역의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전자식 스캔 안테나가 포함된다. 스위스투12 관계자는 "인수한 자산은 당사의 능동 전자주사식 배열 레이더 (AESA) 제품 개발을 보완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라며 "Ku·Ka 밴드용 전자식 스캔 안테나 기술을 중심으로 AESA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SA와 AESA는 전자적으로 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위성통신용 안테나 기술이다. Ku·Ka 주파수 대역은 각각 12~18GHz, 26.5~40GHz 범위로, 위성 데이터 통신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과 안정적인 연결을 지원한다. 스위스투12는 2008년 설립된 스위스 바젤 본사의 위성통신 장비 제조사다. 소형 위성용 고성능 전자식 안테나와 사용자 단말기 개발을 주력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서호주 HBI(Hot Briquetted Iron) 사업의 환경영향평가 문턱을 넘었다. 연 200만 톤(t) 규모의 HBI를 생산하는 1단계 투자에 본격 나선다. 인도 일관제철소에 이어 서호주 사업에서도 '결실'을 맺으며 해외 철강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20일 서호주 정부에 따르면 포스코 자회사인 '포트 해들랜드 아이언(Port Hedland Iron Pty Ltd)'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서호주 환경청(EPA)으로부터 HBI 1단계 사업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대런 월시 EPA 청장은 "(포스코의 HBI 관련 시설은) 부다리 전략산업지구(SIA)에 통합 배치돼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한다"며 "직접환원철(DRI·Direct Reduced Iron) 기술로 기존 고로 방식 대비 초기 단계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향후 수소를 활용해 배출량을 더욱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EPA는 승인을 대가로 여러 조건을 걸었다. △포트 해들랜드 지역 내 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3년간 누적 대기 영향과 감축 수단, 이행 일정을 보고하며 △식생·동물 서식지의 훼손에 따른 금전적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글로벌파운드리(globalfoundries)가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핵심 생산시설의 인력을 감축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파운드리는 뉴욕주 사라토가 카운티에 위치한 팹8 인력을 일부 해고했다. 글로벌파운드리 측은 "일부 인원의 조정이 있었다"고만 밝혔을 뿐 규모와 대상은 공개하지 않았다. 팹8에는 현재 23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글로벌파운드리의 인력감축은 약 2년여만이다. 글로벌파운드리는 2023년 전체 직원의 약 5%인 800여명을 해고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한 바 있다. 당시 팹8에서만 221명이 해고됐었으며, 해당 구조조정을 통해 글로벌파운드리는 약 2억 달러(약 279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이번 조정에 대해서 장기적 성장 체제 구축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파운드리 대변인은 "효율성 제고, 운영 생산성 향상, 핵심 기술 개발과 역량 구축을 통해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핵심 전략 분야의 채
[더구루=홍성일 기자] 폭스바겐의 배터리 자회사 파워코(PowerCo)가 북미 첫 기가팩토리 건설에 속도를 내고있다. 파워코는 오는 2027년 기가팩토리에서 양산을 본격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파워코의 북미 사업 총괄 법인인 '파워코 캐나다(PowerCo Canada Inc)'는 최근 세인트토마스 기가팩토리 건물의 구조용 강재, 기초 공사를 수행할 기업들과 계약을 체결했다. 공장 기초 공사는 매길 콘스트럭션 캐나다(Magil Construction Canada)가 담당한다. 매길 콘스트럭션 캐나다는 전문 건설사로, 캐나다 건축분야 매거진인 '온 사이트 매거진'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2025년 캐나다 상위 15위 건설사다. 스틸콘은 수주 내에 첫 콘크리트 타설을 시작하며, 공장 3개 동의 기초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매길 콘스트럭션 캐나다가 기초공사를 진행할 건물의 연면적은 7만8967제곱미터(㎡)에 달한다. 구조용 강재 공사는 스틸콘 그룹(Steelcon Group)이 수행한다. 스틸콘 그룹은 산업, 상업용 건물 구조용 강재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구조용 강재는 건축물의 부재로 사용되는 강철 재료로 철골과 철근, 철판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