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징코바이오웍스(Ginkgo Bioworks)가 향수업체인 지보단(Givaudan)과 다중 프로그램 협업에 나선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징코바이오웍스와 지보단은 최근 제품에 함유된 성분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다중 프로그램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생명공학회사인 징코바이오웍스는 유전자 코드 작성을 위한 최고의 컴파일러·디버거(debug)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세포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지보단은 바이오 기반 제품 개발에 필요한 성분을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바이오웍스의 플랫폼을 사용할 계획이다. 이번 협업을 통해 자연계에서 극소량만 구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 가능하게 생산하고, 성분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 협업은 향후 더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 징코바이오웍스는 생물학적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유기체의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보단의 향료,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제이슨 켈리 징코바이오웍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협력을 통해 우리는 지보단이 가장 희귀하고 복잡한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성분을 소비자를 위한 보다 지속 가능한 제품
[더구루=김다정 기자] 재생의학 글로벌 리더 '휴마사이트'(Humacyte)가 프레지니우스 메디컬 케어(Fresenius Medical Care, FMC)로부터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신장 질환 전문 업체 프레지니우스는 휴마사이트에 추가로 2500만 달러(약 289억원)를 투자하고 휴마사이트의 IPO(기업공개)를 지원한다. 앞서 지난 2월 휴마사이트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알파 헬스케어 애퀴지션(Alpha Healthcare Acquisition)과 스팩합병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합병된 회사는 휴마사이트라는 사명으로 운영되며, 미국 증권 거래소 나스닥에 'HUMA'라는 기호로 상장된다. 이번 투자를 통해 프레지니우스는 휴마케스트의 스팩합병 이후 주요 투자자로서의 입지를 단단히 구축하고 계속해서 협력을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이 회사는 지난 2018년에도 휴마사이트의 지분을 1억5000만 달러(약 1736억원)에 인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에 합의했다. 프레지니우스가 보유한 휴마케스트의 원래 지분은 합병된 회사의 지분으로 대체된다. 현재 휴마사이트는 다양한 혈관의 수리·재건·교체를 위해 이식 가능한 인간 세포 혈관을 개발하고 있다
[더구루=김다정 기자] 프랑스 명품 그룹 LVMH 품에 안긴 버켄스탁(Birkenstock)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LVMH 그룹의 탄탄한 자금력을 토대로 사업 역량을 확대한다는 것. 1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 슬리퍼 제조업체 버켄스탁은 LVMH 계열의 사모펀드 '엘 카터튼'(L Catterton)과 '파이낸스에르 아가슈'(Financiere Agache)에 인수된 지 4개월 만에 1억 유로(약 1368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독일 작센(Saxony)주 동쪽 괴를리츠(Görlitz)지역에 위치한 기존 공장 현대화에 5000만 유로를 투자한다. 이 공장에서는 하루 3만 켤레의 샌들이 생산된다, 버켄스탁은 해외 공장이 없고, 모든 제품이 '메이드 인 독일'로 생산된다. 나머지 5000만 유로는 합성 샌들 생산에 중점을 둔 신규 공장 설립을 위해 사용된다. 현재 버켄스탁은 독일 동부와 바이에른 북부 등 3~4개의 후보지를 놓고 검토중에 있다. 신규 공장 부지는 3분기 최종 결정된다. 신규 공장에서는 오는 2023년부터 생산이 시작될 전망이다. 초기에는 4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후 1000명을 고용하도록 확장할 예정입니다. 버켄스탁이 1000억원대 대
[더구루=김다정 기자] 롯데호텔앤리조트가 지난해 오픈한 롯데호텔시애틀의 식음료 부문을 강화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호텔시태틀은 최근 '샤롯데 레스토랑 앤 라운지'(Charlotte Restaurant & Lounge)의 컬리너리 리더십(Culinary Leadership) 팀을 구성했다. 18년 이상 호텔·레스토랑 운영 경험이 있는 체리 추이(Cherry Tsui)가 롯데호텔시애틀 식음료 부분 이사로 합류했다. 또 샬럿 레스토랑&라운지의 가장 주목할 만한 요리를 개발한 오픈 멤버 제프리 헌터(Jeffrey Hunter)가 수석 셰프로 승진했다. 롯데호텔시애틀 16층에 자리한 레스토랑&바 샤롯데 레스토랑 앤 라운지에서는 시애틀의 다운타운과 바다와 산을 한눈에 바라보며 다양한 컨템포러리(contemporary) 메뉴를 즐길 수 있다. 새로운 멤버의 영입으로 롯데호텔시애틀은 이번 달부터 특별 프리 픽스(Prix Fixe) 기념일 메뉴를 시작한다. 오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한 달 간 초가을을 대표하는 현지 제철 재료를 사용한 5코스 셰프 시음 메뉴를 제공한다. 롯데호텔은 포스트코로나 재도약을 위한 방안으로 미국 시장 확대에 공을
[더구루=김다정 기자] 내년 완공 예정인 오리온 러시아 3공장이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업무보고에 등장해 눈길을 끈다. 31일 크렘린궁과 업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크렘린궁에서 이고르 루데니 트베르(Tver) 지역 주지사와 함께 실무회의를 가졌다. 이날 이고르 주지사는 트베르 일자리 창출 등 현안 보고에서 "우리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 있다”며 “오리온은 현재 새로운 공장은 건설 중이고, 내년에 문을 열 예정"이라며 오리온을 언급했다. 주 정부는 이번 오리온 공장 신설을 통해 2026년까지 약 350명의 현지 고용 창출 및 세수 증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오리온은 790억원을 투입해 러시아 3공장 건설에 착공하면서 현지 생산능력 확대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오는 2022년 12월부터 시범 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본보 2020년 9월 10일자 참고 오리온, 790억원 투입 러시아 3공장 착공…2022년 12월 완공> 이날 이고르 주지사가 대통령과의 실무회의에서 오리온 공장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 공장 투자가 중요한 현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티베르주 정부는 6500만루블(약 10억원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의료종사자들에게 특정 중국 제조업체에서 만든 특정 'N95마스크'의 사용 중단을 결정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H)은 중국 의료소모품 제조업체 '상하이 다셴'이 생산하는 N95마스크에 대한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FDA는 해당 제조사가 판매하는 N95마스크에 대해 의료 제공자에게 경고를 발령했다. FDA는 "회사가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현, 유지,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승인이 취소됐다"며 "이전에 승인된 모든 상하이 다셴 마스크는 NIOSH 승인 상실 결과로 더 이상 긴급사용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FDA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마스크 부족 현상이 나타나자 긴급사용승인(EUA) 제도를 통해 미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허가를 받지 않은 마스크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N95마스크의 경우 오염을 제거하고 나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중국산 마스크의 경우 계속해서 품질 문제가 불거지면서 제품 기준 미달로 대거 승인이 취소되는 사례도 왕왕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해 NIOSH
[더구루=김다정 기자] SPC 파리바게뜨가 미국 캔자스시티에 진출한다. 현지 프랜차이즈 업체인 '아이홉'(IHOP)과 가맹 계약을 체결하면서 지역 내 다점포 오픈이 예상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내년 9월 미국 캔자스 주 캔자스시티 오버랜드파크에 새 매장을 오픈한다. 미국 유명 팬케이크 프랜차이즈인 아이홉과 부동산 자산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가맹계약은 아이홉을 운영하는 가맹점주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이들은 4년전 부터 팬케이크 브랜드인 아이홉과 파리바게뜨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파리바게뜨측에 직접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오버랜드파크 출점과 함께 향후 캔자스스티와 위치토 지역으로의 확장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파리바게뜨 미국법인 관계자는 "우리는 캔자스시티와 그 주변 지역의 여러 잠재적 위치를 탐색하고 있다"며 "2022년 캔자스시티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향후 10년 내 1000호점을 돌파하겠다는 중장기 전략을 제시한 파리바게뜨는 미국 내 출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파리바게뜨 수익성이 높은 ‘가맹 비즈니스 모델’을 내세워 상반기에만 71건에 달하는 신규 출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연말 미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서 동물 구충제의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동물용 구충제인 '아이버멕틴'(Ivermectin)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가짜뉴스가 확산된 영향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버멕틴에 대한 미국 보건 당국자들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아이버멕틴은 공급부족 현상에 맞닥뜨렸다. 현지 동물 사료 공급 업체 관계자는 "사람들이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아이버멕틴을 구입하면서 현재 말 구충제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가게 앞에 '사람은 먹지 마세요'라는 표지판을 걸었음에도 여전히 구매열풍이 풀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버멕틴은 이·회충·요충 같은 기생충을 박멸하기 위해 처방하는 약으로, 소·말 등 동물에 쓰이는 구충제다. 때때로 인간에게 처방되기는 하지만 이는 기생충 치료를 위해 소량으로만 처방된다. 반면 동물용 구충제는 고농축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보수성향 매체 및 인사 등은 이 약을 코로나 치료제로 언급하며서 동물용 구충제가 때 아닌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위스콘신주 공화당 상원의원인 론 존슨은 이 약이 코로나19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홍보한 바 있다. 의료현장에
[더구루=김다정 기자] 코웨이가 말레이시아에서 주최하는 마라톤 기부 행사 '코웨이런 2021'(Coway Run 2021) 티켓이 하루만에 매진, 주목을 끌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런 티켓은 지난 21일 첫 오픈 24시간 만에 1만 개가 모두 예약됐다. 코웨이 말레이시아는 티켓을 추가 오픈할 예정이다. 코웨이런은 말레이시아 지역에서 건강한 삶의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한 건강 마라톤대회로 다음달 23일부터 10월 23일까지 한 달 동안 진행된다. 각 지역(북부, 중부, 남부, 동부 해안 및 동부 말레이시아)별로 팀을 이뤄 1인당 평균 거리가 가장 높은 팀이 종합 우승자로 선정된다. 마라톤 참가자 수만큼 일정 금액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적립해 식수가 부족한 말레이시아 외곽 지역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도 앞장서고 있다. 특히 올해의 경우 예년보다 기부활동도 강화했다. 참가자들이 힘을 합쳐 총 20만km 목표를 달성하면 코웨이 말레이시아가 에코나이츠(EcoKnights), 멀시 말레이시아(MERCY Malaysia), 리프 체크 말레이시아(Reef Check Malaysia) 등 3개 비정부기구(NGO)에 총 20만 링깃(
[더구루=김다정 기자] MSD의 주력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가 일본에서 새로운 적응증을 추가했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MSD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일본 제약·의료기기청(PMDA)가 자사의 주력 면역치료제인 키트루다의 두가지 새로운 적응증에 대한 사용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키트루다는 임상 3상 'KEYNOTE-355' 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PD-L1 양성, 호르몬 수용체 음성 및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HER2) 음성, 수술 불가 또는 재발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됐다. 또 임상 3상 'KEYNOTE-177' 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절제 불가능, 진행성 또는 재발성 높은 미세부수체 불안정성(MSI-H) 결장직장암 환자의 치료에 단독요법으로 승인됐다. 이번 승인으로 키트루다는 MSI-H 종양뿐만 아니라 9개의 종양 유형에 대한 적응증을 포함해, 일본에서 15개의 적응증을 획득했다. 카일 태틀 MSD일본 사장은 "이러한 승인은 키트루다와 키트루다 기반 조합이 일본에서 암에 직면한 특정 환자를 도울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며 "일본에서 유방암과 대장암의 유병률이 특히 높아, 환자들이 면역 요법 치료 옵션에 접근할 수 있
[더구루=김다정 기자] 농심이 맥주 안주로 인기가 높은 '양념감자' 스타일의 스낵을 선보였다. 농심은 '감튀' 브랜드 신제품 '감튀 랜치어니언맛'을 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랜치소스는 감자튀김과 잘 어울리는 소스로 농심은 양파와 파슬리를 더해 풍미를 한층 살린 감튀 랜치어니언맛을 완성했다. 신제품은 양념감자처럼 길쭉한 사각 스틱 형태이며 벌집과 같이 공기층이 있는 조직감을 구현해 겉과 속이 모두 바삭한 식감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농심 관계자는 "작년 말 출시한 첫 감튀 브랜드 신제품인 '감튀 레드칠리맛'은 양념감자를 색다르게 스낵으로 즐길 수 있다는 평을 받으며 1020세대에게서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더구루=김다정 기자] 한류열풍을 탄 'K푸드'가 까르푸와 손을 잡고 대만 고객몰이에 나섰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까르푸 대만은 현지 매장에서 ‘코리안위크’ 행사를 마련하고 오는 7일까지 300종 이상 'K푸드'를 판매한다. 이번 행사는 한류 열풍으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해외여행이 여의치 않자 이번 통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획됐다. 대만 소비자들은 코리안위크 기간 동안 빙그레 메로나 등 아이스크림 제품과 롯데제과 ABC초코쿠키, 노브랜드 샌드쿠키 등 과자류는 물론 커피·맥주 제품을 집에서 즐길 수 있다. 특히 대상 청정원 볶음밥과 한우사골국, CJ 비비고 소고기국, 동원 닭곰탕 등 20여종 한국식 간편식을 만나볼 수 있다. 'K푸드'는 한류 열풍에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집밥 수요까지 겹치면서 동남아 시장에서 '반사 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다. 특히 대만의 경우 한류 콘텐츠 수요가 높아 국내 업체의 '블루오션'으로 꼽힌다. 국내 업계는 이같은 K푸드 인기에 힘입어 대만 내에서 다양한 기획전에 참여, 인지도를 넓히고 있다. 지난해 4월 빙그레와 풀무원이 '한국 음식 전시회'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