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병용 기자] ㈜한화가 태양광 사업 국제 투자 유치를 위해 방산 부문 집속탄 사업 분리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협의 당사자인 네덜란드 비정부기구(NGO) 팍스(PAX)는 한화의 집속탄 블랙리스트 제외 가능성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11일 팍스의 인도적 군축담당 팀장인 미첼 위터왈(Michel Uiterwaal·사진)은 본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레드플래그 리스트(Red Flag List) 제외는 하루아침에 되는 게 아니다"라며 "관련 회사가 집속탄과 주요 집속탄 구성품 생산을 하지 않는 다는 확실한 증거가 있을 때에만 가능한 것"이라고 못박았다. 팍스는 지난 2009년 이후 매년 '집속탄 투자 현황 보고서'(Worldwide Investments on Cluster Munitions)를 발간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집속탄을 생산하거나 집속탄에 들어가는 주요 구성품을 생산 및 납품하는 기업을 '비인도적인 기업'으로 분류하고 블랙리스트와 같은 '레드플래그 리스트'에 등재한다. 이를 통해 팍스는 전 세계 투자 기관 등이 해당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도록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또한 집속탄 생산 기업에 투자하는 기관은 '수치의 전당'(Hall of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GM·니콜라 = '사기 논란' 니콜라 추가 지분 매입 추진 ▲ GS리테일 = GS25, 베트남 적자 확대 불구 공격경영…"10년내 2500호점 출점" ▲ GS칼텍스 = 'GS칼텍스 투자' 오일엑스 기술력 인정 받아 ▲ HMM = 컨테이너선 운임 연일 최고치…국적 해운사, 실적 개선 기대감 ↑ ▲ MSC = 中에 '1조원' 규모 컨선 6척 발주…'韓·日 상담도 패싱' ▲ 기아자동차 = 유럽에 스토닉 GT 라인 추가…스포티 한 디자인 주목 ▲ 기아자동차 = 모하비 러시아 내달 출격 ▲ 기아자동차 = 美 텔레비전 아카데미 재단 세미나 후원 ▲ 농심 = 신라면, '맛있는 라면' 美 순위 또 '1등'…'더 트레블' 선정 ▲ 넥슨 = '메이플스토리 온라인 유저 축제' 내달 11일 진행 ▲ 넥슨·NC소프트·네오위즈 = 독일서 빠르게 사라진 MMORPG 7선…퇴출 사연은? ▲ 두산인프라코어 = 북미 딜러사 추가…"유통망 확대" ▲ 대한조선 = '대한조선 수주' 유조선 발주처 그리스 플레이아데스로 확인 ▲ 롯데백화점·풀무원다논·농심켈로그·정식품 = "명절 끝 운동 시작" 유통가, '운동복+책+식품'으로 홈트족 잡아라 ▲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5일(월) ▲ GS건설 = 베트남 아마타그룹과 꽝닌성 신도시 개발 추진 ▲ KB금융그룹 = 윤종규 KB금융 회장의 '탈석탄 선언' 외신도 주목 ▲ SD바이오센스 = '코트라 기부' 코로나 진단키트 필리핀서 말썽…보건부 "WHO 기준 미달" ▲ S&P글로벌플랫츠 = 韓, 일본 난방용 등유 수출 3배 이상 급증 ▲ SK하이닉스 = 中 반도체 소재업체, SK하이닉스 노광장비 구입…소재 역량 강화 ▲ 기아자동차 = '쏘넷 흥행' 기아차, 마힌드라 제치고 인도 4위 '점프'…전년비 147%↑ ▲ 기아자동차 = 텔루라이드 내달 中 출격…수입차 사업 확대 예고 ▲ 기아자동차 = 유럽에 16만7000개 규모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확보 ▲ 네오위즈 = '댄디 에이스' 7일 클로즈베타 실시 ▲ 삼성전자 = 중국 하이센스·헝다 '伊축구 인터밀란' 후원 경쟁 ▲ 삼성중공업 = '1200억원' 대형 유조선 2척 수주 ▲ 삼성중공업 = 러시아 독점청, 삼성중공업 '즈베즈다 합작사' 지분 인수 승인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캄보디아 FTA 협상 연내 마무리 약속 ▲ 신한카드 = 베트남 소매금융 성과…진출 3년 만에 '5위'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디스플레이 = 美 비지오, OLED TV 출시…시장 확대에 LGD 화색 ▲ SK가스 = 사우디서 IPA 공장 추가 투자 ▲ 대우조선해양 = '1조' 풍력터빈설치선 사업 수주 임박…美 스콜피오 자금 확보 ▲ 롯데제과 = '빼빼로 미투 소송' 美서 판정승…롯데 미국 사업 탄력 ▲ 롯데칠성 = 필리핀 펩시 주식공개매수 일시 중단…12일 재개 ▲ 삼성전자 = 가전 역대 최고실적 예고…TV 판매량 67% 증가 ▲ 신세계그룹 = 정용진, 美 굿푸드홀딩스 CEO 교체…미국 공략 새판 짜기 ▲ 세아제강지주 = 英, 풍력발전 대규모 투자 예고…세아제강지주, 해상풍력 구조물공장 순풍 ▲ 아시아나항공 = 네팔에 전세기 띄운다…코로나19 피해 교민 수송 돕나 ▲ 이지스자산운용 = 호주 크롬웰과 이탈리아 DHL물류센터 인수 ▲ 애플 = 아이폰12 공개 앞두고 '아이폰 포 라이프' 새 상표등록 ▲ 테슬라 = 텍사스 기가팩토리서 배터리 생산 추진 ▲ 현대건설 = '2조원' 베트남 쭝꾸앗 정유공장 증설 공사 수주 전망 ▲ 현대엔지니어링 = '현대엔지니어링 수주' 캄보디아 이온몰 3호점 착공 ▲ 현대자동차 = 베트남 고객행사 '현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CJ ENM = 인니서 '고젝'과 손잡고 영화 서비스 'tvN 무비' 론칭 ▲ GS건설 = 폴란드 LG화학 배터리 공장 증설공사 현지업체와 하청 계약 ▲ JB금융그룹 = 프놈펜상업은행, 회사채 추가 발행…유안타증권 주관 ▲ KB국민은행 = '국민은행 부코핀 인수 딴지' 보소와 오너일가, '5600억' 연체로 피소 ▲ LG화학 = 中 언론, 전기차 '코나' 화재 집중보도…LG화학 흠집내기 의도 ▲ LH공사 = 재택근무 때 골프접대 받은 LH공사 감독소장…처분은 '정직 3개월' ▲ PUBG‧카카오게임즈 = PUBG, 신맵 '파라모' 힌트 담은 트레일러 영상 공개 ▲ SK텔레콤 = 글로벌 텔레콤 어워드 2개 부문 후보 올라 ▲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 피치,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신용등급 전망 조정 ▲ SK텔레콤 = '포스트 코로나' 유망 기업 5곳 발표 ▲ SPC = 파리바게뜨, 美 100호점 '청신호'…'뉴욕 퀸즈 리틀넥' 가맹점 추가 ▲ 기아자동차 = 9월 獨서 '24%' 성장…현대차도 0.6%↑ ▲ 기아자동차 = '물 들어올 때…' 기아차, 쏘넷 돌풍에 인도공장 3교대 도입 추진 ▲ 대우건설 =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KD산업은행 = 인니 티파파이낸스 잔여지분 공개매수…지분율 85%로 확대 ▲ KT = 플레이디, 日 아마존 셀러 광고·컨설팅 지원 ▲ LG전자 = 베트남에 두 번째 전장 R&D센터 설립 ▲ SK해운 = 그리스 해운사와 용선계약 법정 분쟁 ▲ 기아자동차 = 3분기 영국 점유율 4.8%…전기차 비중 32% ▲ 기아자동차 = 대만서 고속 질주…모닝 '수입차 챔피언' 등극 ▲ 넷마블 = 고페이와 손잡고 인니서 'BTS' 마케팅 강화 ▲ 두산밥캣 = 美 주택시장 호황에 인력 더 뽑는다 ▲ 롯데관광개발 = 제주드림타워 연내 오픈 불투명…롯데관광개발, 개장 일정 조정 ▲ 미래에셋·네이버 = 中 알리바바 대신 '인도판 배민' 투자 ▲ 삼강엠앤티·현대스틸 = 대만 창화풍력, 자국 부품서 균열 ▲ 삼성생명·삼성화재 = 10년간 석탄발전 '16조' 지원…"삼성그룹 이미지 악화" ▲ 삼성전자 = '갤노트7 폭발 원인' 中 배터리, 삼성 갤S21에 쓴다 ▲ 삼성전자 = '인도 TV공장' 연말 생산재개 검토 ▲ 아시아나항공 = 동계시즌 맞아 日 3개 노선 운항 재개 ▲ 인텔 = 차세대 하이브리드 CPU 성능은? ▲ 포스코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전자 = '실속폰' Q시리즈 라인업 확대…"갤럭시J 잡는다" ▲ STX조선해양 = 중형 PC 2척 수주…계약액 920억원 ▲ SK E&S = 'SK E&S 자회사' 파주에너지, 강동 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개시 ▲ SK건설 = 베트남 태양광발전소 4곳 인수 추진…안재현號 친환경사업 확장 ▲ SK하이닉스 = 최진석 전 SK하이닉스 부사장, 中 반도체 기업 대표 됐다 ▲ 기아자동차 = 멕시코 점유율 8.7% 역대 최고…업계 4위 ▲ 기아자동차 = 美 선루프 결함 집단소송 피했다…美 법원 '기각' ▲ 기아자동차 = 캐나다 9월 판매 최고치 또 경신…4개월 연속 상승세 ▲ 기아자동차 = 내달부터 우즈벡서 조립 생산·판매…연 2만5000대 규모 ▲ 넷마블 = 킹오파 올스타 '프리티 기스' 추가 ▲ 롯데건설·인천공항공사 = 인니 룸복공항 파트너 선정 사전심사 통과 ▲ 삼성전자·인텔 = 美 반도체 특허 무효소송 승기 ▲ 삼성전자‧현대자동차 = 베트남 우수 고용 기업 선정…총리 표창 수상 ▲ 솔라윈도우 = 美 솔라윈도우, 서울에 아시아 지사 설립…소프트뱅크 출신 존리 지사장 ▲ 신한은행 = 베트남서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GS건설 = 베트남 아마타그룹과 꽝닌성 신도시 개발 추진 ▲ KB금융그룹 = 윤종규 KB금융 회장의 '탈석탄 선언' 외신도 주목 ▲ SD바이오센스 = '코트라 기부' 코로나 진단키트 필리핀서 말썽…보건부 "WHO 기준 미달" ▲ S&P글로벌플랫츠 = 韓, 일본 난방용 등유 수출 3배 이상 급증 ▲ SK하이닉스 = 中 반도체 소재업체, SK하이닉스 노광장비 구입…소재 역량 강화 ▲ 기아자동차 = '쏘넷 흥행' 기아차, 마힌드라 제치고 인도 4위 '점프'…전년비 147%↑ ▲ 기아자동차 = 텔루라이드 내달 中 출격…수입차 사업 확대 예고 ▲ 기아자동차 = 유럽에 16만7000개 규모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확보 ▲ 네오위즈 = '댄디 에이스' 7일 클로즈베타 실시 ▲ 삼성전자 = 중국 하이센스·헝다 '伊축구 인터밀란' 후원 경쟁 ▲ 삼성중공업 = '1200억원' 대형 유조선 2척 수주 ▲ 삼성중공업 = 러시아 독점청, 삼성중공업 '즈베즈다 합작사' 지분 인수 승인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캄보디아 FTA 협상 연내 마무리 약속 ▲ 신한카드 = 베트남 소매금융 성과…진출 3년 만에 '5위' ▲ (주)한
[더구루=김병용 기자] 한화 김승연 회장의 큰아들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사장(37)이 사장으로 전격 승진하면서 그룹 전면에 등장했다. 특히 그룹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분산탄 사업 분리 여부가 '김동관 뉴리더십' 안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5일 재계에 따르면 김 사장의 첫 리더십 시험대는 현재 진행되는 ㈜한화의 분산탄 사업 분리이다. 한화그룹의 태양광 사업을 이끄는 김 사장은 유럽 태양광 시장 확대 진출을 위해 '비윤리적인 무기'로 지탄받는 분산탄 사업을 분리, 매각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 중이다. 분산탄은 한 개의 폭탄에 수십, 수백 개의 자탄을 탑재해 공중에서 넓은 범위에 흩뿌려 적을 공격하는 무기이다. 한화가 생산하는 '천무' 다연장 로켓의 경우 300~900개의 자탄을 탑재, 폭탄 1기로 축구장 3배 면적을 초토화시킬 수 있다. 특히 분산탄은 대규모 살상력도 문제지만, 불발율이 높아 분쟁 지역에서 민간인들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국제 비정부기구 단체들은 분산탄 개발 및 생산 업체에 해외 금융기관 등이 투자하지 못하도록 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이유다. 실제로 네덜란드 비정부기구인 팍스(PAX)는 ㈜한화를 분산탄을 생산하는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CJ제일제당·이마트·롯데마트 = "가성비 보다 가잼비" 유통가에 불고 있는 펀(fun)슈머 ▲ 고려아연 = 테슬라, 뉴칼레도니아 니켈·코발트 공장 인수 추진?…고려아연 '경쟁' ▲ 기아차 = 인도서 딜러 만족도 1위 ▲ 나녹스·SK텔레콤 = '제2의 테라노스'라고? 나녹스, 공매도 공격 대상 된 이유 ▲ 니콜라 = '사기 의혹에도' 니콜라 채용 실시…불신 해소 '안간힘' ▲ 모더나·화이자 = 서학개미에게 추천하는 美 바이오 종목 2선 ▲ 빅히트엔터테인먼트 = 빅히트엔터 상장하면, BTS 650억원 번다 ▲ 삼성SDI, = 노보닉스 음극재 수급 본격화…거래 물량 첫 선적 ▲ 삼성SDI = '삼성SDI 공급 계약' 노보닉스, 테슬라에 구애 ▲ 삼성전자 = 독일 최대 핀테크 솔라리스뱅크 제휴…삼성페이 지원 ▲ 삼성전자 = 러시아서 문화 마케팅…톨스토이 문학상 개최 ▲ 에어버스 = 수소동력 콘셉트 항공기 공개…"2035년 개발 목표" ▲ 현대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 = 5개 공구 중 3개…K-건설, 필리핀 남북철도 수주 쾌거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28일(월) ▲ BYD = 디디추싱과 협력...공유전용 전기차 공급 '임박' ▲ FDA = 美 뉴욕 주지사 "코로나 백신 자체 검토 추진"…트럼프 '백신 정치' 우려 ▲ HMM = 2M, 태평양 횡단 선복량 복원…화주들 '글쎄' ▲ LG전자 = LG OLED TV, 엔비디아 신형 그래픽카드 호환성 문제…"곧 해결 ▲ LG전자 = '현지 업체 텃밭' 터키서 브랜드숍 개소 ▲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 유럽 전기차 시장, 中 제치고 세계 '넘버1' 등극…'K- 배터리' 수혜 예상 ▲ LMC오토모티브 = 올해 글로벌 車판매 전망 상향조정 "V자형 반등중" ▲ 기아자동차 = 미국서 고객 소통 마케팅 도구 강화 ▲ 기아자동차 = 오너 프로그램 갱신…어피너티브, 2023년까지 계약 연장 ▲ 디올·펜할리곤스 = 글로벌 뷰티 시장도 'AI' 도입 잇따라…디올·펜할리곤스도 가세 ▲ 삼성전자 = '동남아 최대' 인니서 스마트폰 점유율 급감 ▲ 삼성전자 = 베트남 정부와 협력사 지원프로그램 가동 ▲ 삼성전자·LG전자 = 중국 언론 "日 TV 누른 韓, 이번엔 中이 韓 점유율 뺏을 차례" ▲ 세계식량계획(WFP) =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구글 = 인도 최대 디지털기업 투자승인 요청…삼성·샤오미 경쟁 전망 ▲ 넷마블 = 'A3 스틸얼라이브' 내달 30일 글로벌 출시 ▲ 더벤처스 = 말레이 주차 솔루션 스타트업 '좀파킹' 시리즈A 투자 ▲ 마이크로소프트 = X박스 시리즈X 선주문 물량, 발송지연 되나? ▲ 부동산업계 = 추석 이후 수도권 비규제 지역서 1만가구 쏟아진다 ▲ 뷰노 = 의료 AI 기업 뷰노 "올해 말 혹은 내년 초 상장" ▲ 베이징모터쇼 = '코로나19'에서 살아남은 베이징모터쇼 위상 'UP' ▲ 베이징모터쇼 = 베이징모터쇼도 '레트로 감성'…올드카 정서'흠뻑' ▲ 하이트진로음료·빙그레·SPC = "먹거리 뉴트로 대세"…추억을 듣고 마시는 'MZ세대' 공략 ▲ 현대자동차 = 파상공세로 인도 공략…페스티벌 시즌 대규모 프로모션 ▲ 현대자동차 = 전기차 충전 생태계 선도하는 유망 기업 10선 ▲ 현대자동차 = 中 판매 토요타 1/4 수준으로 떨어져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