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즌(Verizon)'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5G 속도를 대폭 향상했다. 삼성전자는 주요 고객사인 버라이즌의 네트워크 환경 개선을 지원하며 양사 간 '5G 동맹'을 공고히하고 있다. 버라이즌은 7일(현지시간) 삼성전자, 미디어텍과 협력해 5G 다운로드 속도 시연에서 5.5Gbps(초당 기가비트)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분당 266개의 테일러 스위프트 앨범을 다운받고,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플랫폼 훌루(Hulu)에서 1시간에 콘텐츠 3056개의 에피소드를 스트리밍할 수 있는 속도다. 버라이즌은 삼성전자의 가상화무선접속망(vRAN) 솔루션과 다중 주파수 대역을 결합하는 기술이 적용된 미디어텍의 연결 플랫폼을 활용해 만든 실험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또 '5G 단독모드(Standalone, SA) 코어(Core)' 기술을 통해 5G 데이터를 실행했다. 버라이즌은 5.5Gbps 속도를 구현함으로써 모빌리티 등 새로운 분야에서의 혁신을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저대역부터 고대역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실시해 얻은 결과인 만큼 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더구루=정예린 기자] 효성티앤에스(TNS)가 미국 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재정립한다. 야심차게 새로운 브랜드명을 내세우며 북미 시장 차별화 전략을 세웠지만 2년여 만에 기존 브랜드명을 다시 사용하기로 했다. 7일 효성티앤에스에 따르면 미국법인은 브랜드명인 '효성 이노뷰(Hyosung Innovue)'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앞서 효성티앤에스 미국법인은 지난 2023년 초 효성 이노뷰라는 새로운 기업 브랜드명을 제시했지만 2년여 만에 회귀한 셈이다. 대신, 기존 사용했던 '효성 아메리카(Hyosung Americas)'를 다시 사용하기로 했다. 이는 효성이라는 기업명과 더불어 현지 시장에서 직관적인 브랜딩을 통한 상품력을 강화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효성티앤에스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의 브랜드명을 대외적으로 사용하는 DBA(Doing Business As) 방식을 채택했다. CI(기업 이미지) 디자인은 물론 각종 마케팅 툴과 웹사이트 등 대내외 홍보 자료에 '효성 아메리카' 대신 '효성 이노뷰'를 활용했다. <본보 2023년 2월 1일 참고 [단독] 조현준식 美 점유율 확대 전략 베일벗다…효성TNS, 새 브랜드 론칭> 효성 이노뷰 대신 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시그마리튬(Sigma Lithium)'이 올해 리튬 정광(스포듀민 농축물) 생산 목표치 '초과 달성'을 자신했다. 기존 브라질 리튬 생산 프로젝트는 물론 신규 광산 개발 사업까지 순항하며 글로벌 광산 기업으로서의 입지가 공고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시그마리튬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올해 연간 리튬 생산 목표인 27만 톤(t)을 초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작년 4분기에도 생산 목표를 크게 초과한 약 7만5000t을 생산, 연간 약 24만t 규모 리튬을 생산·판매했다. 시그마리튬은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그로타 도 시릴로(Grota do Cirilo)' 리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로타 도 시릴로 프로젝트의 1단계 생산량은 연간 27만t이다. 예상 대비 63% 증가한 추가 광물 매장량을 확인, 계획된 증설 용량도 확대키로 했다. 1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생산량을 52만t으로 늘린다. 그로타 도 시릴로 프로젝트에 착수한지 10년여 만인 지난 2023년 첫 상업 출하했다. LX인터내셔널과 중국 '야후아 인터내셔널 인베스트먼트 앤 디벨롭먼트(Yahua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D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독일 차량용 반도체 회사 '엘모스 세미컨덕터(이하 엘모스)'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동맹을 강화한다. 엘모스가 최근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로 변화를 꾀한 가운데 앞선 메모리 제조 기술력과 생태계를 갖춘 삼성전자 파운드리와의 협력을 확대, 양사 간 파트너십이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엘모스는 6일(현지시간) "엘모스와 삼성 파운드리는 협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며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최첨단 솔루션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추가 협력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엘모스가 작년 도르트문트 웨이퍼 공장을 매각, 기존 반도체 제조업을 완전히 떼어내고 팹리스 업체로의 전환을 완료한 만큼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번 협력 확대 발표도 팹리스 업체로의 전환에 따라 삼성 파운드리를 통한 생산 확대를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된다. 엘모스는 기존 삼성과의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 협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기술 개발과 첨단 공정 기반 칩 신제품 출시 등을 도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엘모스는 1984년 설립된 차량용 반도체 회사다. 차량용 반도체를 개발해 생산·
[더구루=정예린 기자]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업체 'ASML' 최고경영자(CEO)가 대만을 방문해 TSMC와의 동맹을 강화한다. 매년 이뤄지는 경영진의 아시아 투어 일환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한국도 함께 방문할지 이목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7일 대만 경제지 머니DJ(MoneyDJ) 등에 따르면 크리스토프 푸케 CEO를 포함한 ASML 고위 임원단은 조만간 대만을 찾아 TSMC와 현지 주요 공급망 관계자와 만날 예정이다. 극자외선(EUV) 장비 공급 방안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영향 등을 살필 전망이다. 특히 ASML의 차세대 EUV 노광 장비 '하이(High) NA' 조달 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업계에서는 TMSC가 작년 말 인텔에 이어 두 번째로 하이 NA 장비를 공급받을 것으로 내다봤었다. ASML로부터 하이 NA를 인도 받아 대만 신주과학단지 내 연구개발(R&D) 센터에 설치, 1나노대 공정 개발에 적용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해를 넘긴 지금까지도 후속 진행 상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에 따른 미국 반도체 산업 정책 변화도 양측이 예의주시하고 있는 사안 중 하나일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해 투자한 미국 칩렛 플랫폼 개발 회사 '드림빅 세미컨덕터(이하 드림빅)'와의 협력을 본격화한다. 자사 4나노미터(nm)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에 드림빅의 최신 설계 플랫폼을 통합, '게임체인저'라고 불리는 '3D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포함한 차세대 기술을 구현한다. 드림빅은 6일(현지시간) 삼성전자 파운드리 4나노 공정(SF4X) 핀펫(FinFET) 구조에 '마스 칩렛 플랫폼(MARS Chiplet Platform, 이하 마스 플랫폼)'을 최적화했다고 발표했다. 삼성 파운드리 고객들은 드림빅의 플랫폼을 활용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고성능 컴퓨팅용 칩을 만들 수 있다. 마스 플랫폼은 드림빅이 작년 1월 공개한 칩렛 기반 설계 플랫폼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독립적인 반도체 다이인 칩렛을 모듈화해 사용자가 원하는 고성능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칩렛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 하드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종합 플랫폼인 셈이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3D HBM과 통합됐다는 것이다. 3D HBM은 그래픽처리장치(GPU) 옆으로 HBM을 연결하는 2.5D 구조와 달리 위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효성티앤에스(TNS) 미국법인 '효성 아메리카(Hyosung Americas)'가 북미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자신했다. 차별화된 성능을 바탕으로 북미 3대 ATM 제조사로서 입지를 굳히고 현지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6일 ATM 산업 전문지 'ATM 마켓플레이스'에 따르면 효성 아메리카는 △NCR 아틀레오스(NCR Atleos) △다이볼드 닉스도르프(Diebold Nixdorf)와 함께 북미 3대 ATM 제조사로 꼽힌다. 3사는 ATM의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SW)는 물론 지원 기능까지 각기 다른 특성을 제공한다. 효성 아메리카는 ATM과 현금 자동화 기술, 셀프 서비스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고객 운영 효율성과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접목해 주목받고 있다. 첨단 현금 재활용 기술을 적극 내세우고 있다. 효성 아메리카의 현금 재활용 기술에는 현금을 한 ATM에서 다른 ATM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자동화해 인증·계산·보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스플릿 카세트(Split Cassette)'라는 기술을 통해 ATM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액면 금액에 따라 유연하게 현금을 관리할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이 미국에서 확장현실(XR) 등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관련 특허를 대거 확보했다. XR 헤드셋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연구개발(R&D) 성과가 속속 가시화되고 있다. 6일 미국 특허청(USPTO)에 따르면 USPTO는 지난 2일(현지시간)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작년 출원한 XR 기기,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특허 7건을 승인했다. XR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을 모두 아우르는 단어다. 삼성전자의 특허는 XR 헤드셋과 같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에 탑재될 시스템과 이용 프로세스 등 솔루션이 주를 이뤘다. 실제 소비자가 XR 헤드셋을 착용한 후 이용하게 될 AR 앱 실행을 위한 기술이 담긴 'AR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특허번호 US2025/0005874A1)' 부터 'XR 앱에서 위젯 추가·배치·그룹화(특허번호 US2025/0004606A1)'·'XR 앱을 위한 위젯 상호작용(특허번호 US2025/0004565A1) 등 위젯 활용 방안까지 다양하다. 이밖에 △맥락 정보를 이용한 레이더 기반 제스처 인식 솔루션 강화(특허번호 US2025/0004561A1)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전력 수요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국이 전력망 구축에 발 벗고 나선 가운데 핵심 부품인 변압기와 전선 사업을 영위하는 우리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지 주목된다. 5일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전역에서 전력망 연결을 기다리고 있는 프로젝트는 약 1만1600개로, 필요한 발전 용량은 미국 전체의 약 2배에 달하는 2598GW다. 이들 프로젝트는 인프라 부족과 인허가 지연에 따라 최종 상업 운전까지 평균 약 4~5년 이상 소요되고 있다. 용량 부족과 함께 전력망 노후화도 미국 산업 발전과 에너지 전환 목표의 발목을 잡고 있다. 각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전달을 방해, 지역 간 전력 불균형과 전력 계통의 안정성 문제를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송전선의 70%는 최소 25년 전에 설치됐다. 대형 변압기의 평균 연령은 40년을 넘어 급증하는 전력 수요와 청정에너지 확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은 최근 제조업 리쇼어링(Reshoring), 산
[더구루=정예린 기자] 유럽연합(EU)이 망간과 실리콘 합금 기반 원소 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조사에 착수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입 제품에 대응해 자국 공급망 경쟁력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다. 4일 유럽연합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망간과 실리콘 합금 원소 6종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사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조사는 최대 9개월 내 마무리되고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 2개월 연장될 예정이다. 세이프가드 조사 대상이 되는 제품은 △실리콘 △페로망간 △페로실리콘 △페로실리콘망간 △페로실리콘마그네슘 △칼슘실리콘 등 6개다. 집행위는 이 제품의 유럽연합 수입량 증가와 이에 따른 가격 하락이 유럽 내 생산자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세계적으로 관련 제품의 생산능력이 과잉 상태인 만큼 주요 수출국들이 유럽 시장에 더 낮은 가격을 제시하고 있어 추가 수입에 따른 피해도 예상된다는 게 집행위의 설명이다. 집행위에 따르면 망간과 실리콘 합금 원소 6종의 유럽연합 수입량은 2020년 130만 톤(t)에서 2024년 상반기 160만t으로 증가했다. 총 수입량은 유럽연합 생산량 대비 12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 소유의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암(ARM)'이 중국에서 인력 감축을 단행했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차이나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몸집 줄이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디지타임스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ARM 중국법인 'ARM 차이나'는 지난달 중앙처리장치(CPU) 관련 부서 직원 약 30~40명을 해고했다. 지난 2023년 12월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한지 1년여 만이다. ARM 차이나는 해고된 직원들에 N+3 보상안과 퇴사 후 올해 2월까지 사회보험을 제공한다. N+3 보상안은 직원 근속 연수에 따른 월 급여에 추가 3개월 급여를 합쳐서 퇴직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사회보험은 건강보험, 연금보험 등을 뜻한다. ARM 차이나의 인력 구조조정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23년 2월 약 100명을, 같은해 12월에는 약 70명을 해고했다. 중국 시장에 특화된 시스템온칩(SoC), 고성능컴퓨팅(HPC) 칩 등을 연구개발(R&D)하는 연구원들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이 해고 명단에 포함됐다. 중국 고객 지원팀 직원도 해고돼 조직 규모를 대폭 축소했다. ARM 차이나는 2002년 A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브라질에서 진행하고 있는 글로벌 사회공헌 교육 프로그램 ‘솔브 포 투모로우(Solve for Tomorrow)’에 대한 여성 참여도가 급증했다. 솔브 포 투모로우가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여성들이 과학·기술 분야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여성 리더십 증진에 앞장서고 있다. 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최근 브라질법인이 개최한 '제11회 솔브 포 투모로우'의 여학생 참여율은 전년 대비 37.9% 증가했다. 여성 교사 참여율도 26.5% 늘어나 지도 교사 성비가 남녀 5:5로 동일해졌다. 이번 솔브 포 투모로우에서는 여성 건강을 다룬 특별한 프로젝트도 소개됐다. 아마존 마나카푸루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은 '자치(Jaci) 여성 건강 지표’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여성의 생리대에 월경 흐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 생리혈의 산도(pH)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돕는 기기 개발을 제안한다. 이들은 최종 우승 후보 중 한 팀이다. 여성들의 참여가 활발해지고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삼성전자의 솔브 포 투모로우가 보
[더구루=홍성일 기자] 수명이 다한 폐 태양광 패널을 분쇄하지 않고도 고순도의 은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새로운 추출 기술은 태양광 발전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면서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안정시킬 수 있는 '21세기 연금술'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매쿼리 대학교(Macquarie University) 연구팀은 폐 태양광 패널에서 은을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는 '제트 전기화학 은 추출(Jet Electrochemical Silver Extraction, JESE)'이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광물 자원 기업 리튬 유니버스(Lithium Universe)와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매쿼리 대학교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약산성 용액을 제트기류처럼 빠르게 분사해 수 초 내에 은만 선택적으로 녹여내는 방식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JESE 기술은 태양광 패널의 다른 구성 요소는 그대로 둔 채 은 전극에만 직접 작용해 분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기존에는 폐 태양광 패널 전체를 분쇄한 뒤 화학 처리를 해 자원을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은 외에 실리콘, 유리 등을 재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출하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중국 빅테크의 시장 참가가 스마트 안경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스마트 안경 출하량이 전년 대비 121% 증가한 29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분기 출하량은 49만4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6% 급증했다.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이 빠르게 성장한 원인으로는 AI 기능의 발전과 경쟁 심화로 평균 판매 가격이 1000위안(약 19만5000원)대로 낮아졌다는 점이 뽑히고 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출하량의 78%를 AI 탑재 스마트 안경이 차지했다. AI는 스마트 안경은 실시간 번역, 건강 관리, 사물 인식,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또한 샤오미와 화웨이가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스마트 안경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알리바바와 바이트댄스 등 빅테크들의 시장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빅테크 외에도 로키드, 엑스리얼 등 스마트안경 전문 기업들도 기술력을 앞세워 경쟁을 벌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