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음성변환 바코드 국내 1위 기업인 '보이스아이'가 코스닥 입성을 위한 본격 준비에 나선다. 보이스아이는 15일 유진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하고, 상장 추진을 위한 내부 조직을 정비하는 한편 지정 감사인 신청을 완료해 기업 공개를 위한 사전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보이스아이는 통합보안솔루션전문 기업 SGA솔루션의 자회사로, QR코드보다 5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음성변환 바코드를 공급하는 회사다. 보이스아이의 바코드 '보이스아이 코드'는 시각 장애인이나 저시력자 등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식시키면 해당 정보가 음성으로 변환된다. 이미 주민등록등초본 등 정부기관 서비스나 금융기관의 각종 증명서 발급, 의료기관의 처방전과 진단서, 교육기관의 성적, 학위 증명서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으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고지서에 음성변환 바코드 삽입이 의무화되면서 ‘보이스아이 코드’가 주목받았다. 실제로 경기도는 관내 31개 시군이 발급한 자동차세 고지서에 보이스아이코드를 삽입했으며 제주도와 강원도 등 일부 시군으로 확대되면서 현재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더구루=최영희 기자] 세계 최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의 유틸리티 코인 위믹스(WEMIX)가 15일 오전 2시(한국 시간) 브라질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메르카도 비트코인(Mercado Bitcoin)에 상장됐다. 이로써 위믹스를 브라질 현지 통화인 헤알화(Real)로 거래할 수 있어, 브라질 내 거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 메르카도 비트코인은 2013년에 설립된 브라질 최대 거래소다. 200종 이상의 가상자산 거래, 스테이킹, NFT, 팬토큰, 블록체인 아카데미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회사 2TM 그룹은 소프트뱅크, GP 인베스트먼트, 메르카도 리브레 등의 투자를 받았으며, 2021년 11월 기준으로 기업가치 21억 달러를 기록했다. 메르카도 리브레는 시가총액이 590억 달러에 육박한다. 브라질은 위믹스 플레이 이용자가 많으며, 라틴 아메리카 최대 규모의 블록체인 게임 시장이다. 브라질 이용자들이 현지 통화로 보다 편리하게 위믹스를 거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위믹스 팀은 미르4, 미르M 등 블록체인 게임과 위믹스 플레이 플랫폼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위믹스 팀은 주요국 현지 통화로 거래
[더구루=최영희 기자] 기업용 채용관리 솔루션 ‘그리팅(Greeting)’을 운영하는 두들린 뮤렉스파트너스 등으로부터 106억 원 규모의 후속 투자를 유치했다고 15일 밝혔다. 2021년 시리즈A(43억 원) 투자 유치 후 14개월 만이다. 이번 투자는 뮤렉스파트너스의 리드 하에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신규로 참여했고, 기존 투자자인 알토스벤처스, 퓨처플레이, 슈미트, 프라이머가 후속 투자를 이어갔다. 이로써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총 159억 원이다. 두들린은 모집 공고부터 합격자 통보에 이르는 전체 채용 과정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업용 채용관리 솔루션(ATS, Applicant Tracking System) ‘그리팅’을 서비스하는 기업이다. 그리팅에서는 다수의 채용플랫폼으로부터 들어온 지원자 이력서를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 각 지원자별 평가, 일정 조율, 채용 결과 통보까지 모든 채용 과정이 하나의 서비스에서 가능해 채용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두들린은 2021년 7월 그리팅을 정식 출시한지 1년 6개월 만에 약 3000여 곳의 누적 고객사를 확보했다. 2023년 2월 기준 그리팅을 사용하는 고객사는 KT, LG
[더구루=최영희 기자] 퀀트 기반 핀테크 기업 웨이브릿지의 미국 자산운용사 네오스(NEOS)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인컴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장을 기념해 14일(현지 시각) 거래소 장 마감을 알리는 ‘클로징 벨’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네오스는 웨이브릿지가 국내 금융회사 최초로 기업 인수 방식이 아닌 미국 시장에 직접 진출해 설립한 운용사다. 국내 투자자에게도 익숙한 해외 상장 월배당 ETF인 QYLD(약 8조6700억 원 규모)를 개발 및 운용한 경험이 있는 옵션 인컴 ETF 전략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날 클로징 벨 행사는 네오스가 지난해 8월 뉴욕증권거래소에 성공적으로 상장한 월분배형 ETF인 CSHI와 BNDI를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타종식에는 오종욱 대표, 이지훈 본부장, 조태흠 최고재무책임자 등 웨이브릿지 공동창업자 3인을 비롯해, 이태용 글로벌전략총괄과 현지 네오스 임원들이 대거 참석했다. 행사 이후에는 거래소 관계자 및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상품의 인컴 분배율, 운용자산(AUM) 규모 등의 주요 성과를 소개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네오스 ETF 3종(CSHI, BNDI, SPYI) 모두 리스크를 관리하며, 안정적인
[더구루=최영희 기자] 위메이드가 지난해 123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14일 위메이드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연간 매출액은 약 4586억원, 영업손실은 약 806억원, 당기순손실 약 1239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4분기 매출액은 약 1103억원, 영업손실은 약 244억원, 당기순손실 약 12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2022년 연간 매출은 미르4 글로벌과 미르M 국내 출시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으며 4분기 매출은 신규 계약 체결 등으로 인한 라이선스 매출 상승에 따라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WEMIX) 3.0’ 중심으로 블록체인 사업의 글로벌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1월에 출시한 미르M 글로벌은 출시 이후 각종 지표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지스타 2022’ 이후 지속적인 위믹스 온보딩 계약 체결을 통해 현재까지 총 80개 이상의 블록체인 게임 라인업을 확보했다. 위믹스의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사업 확장을 위해 위믹스 메나(WEMIX MENA LTD)를 아랍에미리트에 설립하며 글로벌 영토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또한, 위믹스 생태계 발전을 위한 다양한 블록체인
[더구루=최영희 기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박성효 이사장이 14일, 서울 경동시장과 광장시장을 찾았다. 이번 현장방문은 3고(高),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통시장 현장을 둘러보고 상인 애로사항과 의견을 청취하여 시장 활성화와 위기극복 방안에 반영하고자 마련되었다. 먼저 경동시장에서는 청년몰 ‘서울훼미리’에 입점한 청년 상인들과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어서 지역상생 발전을 위해 작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통시장 내에 입점한 스타벅스 경동1960점과 기성세대와 MZ세대 모두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 금성전파사를 방문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청년상인은 “작년 스타벅스 개점 이후 시장을 찾는 MZ세대 고객이 부쩍 늘었다”면서 “젊은 고객의 관심과 방문이 지속될 수 있도록 청년몰과 연계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후에는 광장시장을 방문하여 고물가,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들을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현장 경기 점검에 나섰다. 소진공 박성효 이사장은 “3高,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상인 어려움이 날로 커지고 있다”면서, “자금, 교육, 디지털 전환에서 대기업과의 상생모델 개발까지 위기
[더구루=최영희 기자] 교보증권은 미국주식 주간매매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로 한국시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15분(서머타임 적용 시 09:00~16:15)까지 미국주식을 추가 거래할 수 있다. 거래 종목은 시장조성자가 유동성을 공급하는 미국주식 약 1000여개를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으며 10호가까지 시세를 제공한다. 한편 미국주식 주간매매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온라인 수수료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해외주식 신규계좌개설 고객 대상으로 2023년 12월 말까지 기존 0.1%에서 할인해 0.05% 매매 수수료가 적용된다. 최두희 GBK부장은 "또 다른 투자로 각광받은 해외주식과 해외주식CFD 모두 교보증권에서 주간매매를 할 수 있다"며 "앞으로 고객들의 투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해외주식 매매는 교보증권 MTS ‘Win.K’, HTS ‘Provest K’에서 할 수 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억눌려 있던 여행산업이 활발해지면서 스마트한 여행을 위한 트래블테크(Travel-Tech) 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사용자 중심의 여행 콘텐츠 플랫폼을 운영하는 '위시빈'도 그 가운데 하나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위시빈은 지난해 11월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로부터 사업 성장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벤처기업확인서를 획득했다. 사업 모델, 연구 계획, 기술 우수성 등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여행 콘텐츠 기반 디지털 플랫폼으로서의 기술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 벤처기업확인서는 중기부에서 지정한 벤처기업 확인기관이 기술혁신성과 사업성장성 등을 기준으로 우수 벤처기업을 인증하는 제도다. 연구개발유형 벤처기업확인은 경영인의 전문성과 기업의 지속성, 사업성 등 다양한 기준을 검토 후 높은 성장성을 지닌 기업에 부여한다. 여행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위시빈’ 사용자들은 스스로 여행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른 보상도 획득할 수 있다. 위시빈은 40만명이 넘는 회원과 이들이 만든 100만여개의 콘텐츠를 통해 여행 데이터를 분석한다. 다양한 신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의 여행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키는 작업
[더구루=최영희 기자] 웹 3.0 디지털자산 지갑 플랫폼 ‘빗썸 부리또 월렛의 정식 서비스가 13일 오픈했다. 빗썸 부리또 월렛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체인, 클레이튼, 솔라나, 폴리곤, 캐스퍼네트워크 등 총 7개의 메인넷을 지원하는 멀티체인 지갑으로, 1300개 이상의 토큰을 관리할 수 있다. 휴대폰 번호로 간편하게 회원가입 및 지갑 생성이 가능하며, 복잡한 지갑 주소가 아닌 연락처로도 안전한 디지털 자산 거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갑 내 친구로 등록된 회원이나 지정된 ID에 송금, 스왑, NFT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친구 ID를 사용하여 전송할 경우 당사자간 ‘확인 요청-요청 수락’의 확인서명 단계를 거쳐야 완료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오입금 리스크를 최소화했다. 트랜잭션 상태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 송금 완료 여부를 지갑에서 바로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자동연결 시스템이 적용되어, 개인지갑 등록 시 필요한 화이트리스팅 과정을 대폭 줄였다. 이 덕분에 빗썸 회원들은 지갑 생성과 동시에, 자유로운 디지털 자산 이동이 가능해졌다. 지난해 3월 트래블룰 도입 이후 타 거래소 및 지갑으로 1
[더구루=최영희 기자] 노랑풍선은 국내여행 하이엔드 브랜드인 ‘순우리여행’을 론칭했다고 13일 밝혔다. ‘순우리여행’ 이라는 브랜드는 ‘우리’라는 친근한 단어 사용을 통해 고객과의 소통을 중시하며 순수하고 온전한 한국적인 여행지를 안내하겠다는 의지의 뜻으로 지난해 11월, 노랑풍선 사내공모를 통해 최종 선정된 브랜드 네임 이기도 하다. ‘순우리여행’ 상품은 △서해안권(고창, 신안, 목포, 보성 등) △동해안권(안동, 포항, 경주, 부산 등) △한려수도권(통영, 거제, 여수, 순천 등) 등을 대상으로 특정 계절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든지 부담없이 떠날 수 있도록 상품이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내 생애 꼭 가봐야 할 한국 여행지’ 라는 부재하에 3일·5일까지 다양한 일정으로 구성되어 총 4가지의 테마로 선보인 바 있는 본 상품은 출시 이후, 기존 유사 상품의 예약률이 전년 대비 약 60%가량 증가했으며 올 4월 출발까지 선 예약이 이어지는 등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이번 선보인 ‘순우리여행’은 내륙상품으로 전 일정 27인승 리무진 버스에 탑승으로 편안한 이동은 물론, 각 지역별 유명 관광지 및 필수 코스를 방문하게 되며 지역을 대표하는 고
[더구루=최영희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개인 온라인 펀드 직판 서비스 ‘R2’를 단계적으로 축소한다고 10일 밝혔다. 삼성자산운용은 이 달부터는 신규 회원가입 및 계좌개설 서비스를, 내달에는 온라인 펀드 신규·추가 판매 서비스를 중단하고, 5월부터는 기존 투자자들에게 유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유선 관리 서비스를 통해서 기존 투자자들은 잔고·수익률 조회, 매도 주문, 이체, 확인서 출력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R2 서비스는 2019년 12월 스마트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별도로 증권이나 은행 계좌 없이도 낮은 비용으로 편리하게 삼성자산운용의 일부 펀드에 투자할 수 있게 만든 독자 판매 채널이다. 도입 초기에는 EMP(ETF Managed Portfolio)펀드, ELS인덱스펀드, 채권 펀드 등 총 4개 상품으로 시작해 현재 7개까지 상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하지만, 자사 공모형 펀드만 투자자에게 상품으로 제시해야 하는데다 판매보수 없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저비용, 특화 상품 제공이라는 온라인 펀드 직판 서비스의 차별점이 많이 감소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R2를 통해 펀드를 매
[더구루=최영희 기자] 첨단 계측전문기업 우진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우진은 지난해 내부결산기준 연결 매출액 1241억원, 영업이익 118억원을 기록해 각각 전년동기대비 15.2%, 40.9%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매출액 및 영업이익 모두 창사 이래 최대치다. 당기순이익은 115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우진은 원자력발전, 철강,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정밀 계측기기 전문기업이다. 원전 노내핵계측기(ICI), 철강 분야 자동화 설비, CMS 및 온도센서 등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외형 성장은 새울 3,4호기 계측기기 및 반도체용 온도센서의 공급이 이끌었다. 또한 자회사 우진엔텍이 신한울 1발전소의 경상정비용역 신규 수주에 성공하는 등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도 새울 3,4호기에 계측기기 및 센서 등의 공급이 계속될 예정이다”며 “신규 건설 예정인 신한울 3,4호기도 정부가 조기 착공을 결정하며 속도가 붙고 있어 향후에도 신규 원전으로 공급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우진은 10일 주당 15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29.7억원으로 시가 배당률은 1.77%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신왕다(欣旺达·Sunwoda)'가 베트남 공장 증설에 나선다. 현지 생산 역량이 확대되면서 분리막 공급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수주 물량도 증가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박장성에 따르면 신왕다는 반 트룽(Vân Trung) 산업단지에 위치한 리튬이온배터리 생산·조립 공장을 증설하기 위해 225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 이달 초부터 오는 18일까지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추가 투자를 통해 해당 공장에 대한 신왕다의 투자 자본은 3020만 달러로 늘어나게 됐다. 연간 배터리 생산량을 기존 655만 개 수준에서 1550만 개로 2배 이상 확대하고, 임직원 규모도 250명에서 350명으로 늘린다. 배터리관리유닛(BMU)도 연간 665만 개 생산한다. 이 곳에서 만들어진 배터리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블루투스 이어폰 등 전자·IT 기기에 탑재된다. 신왕다는 박장성을 중심으로 베트남 내 대규모 생산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작년 7월 박장성 옌루(Yên Lư) 산업단지에 3억 달러를 투자해 약 5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간 약 10억 달러의 수익을 달성하겠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케이던스(Cadence)'가 영국 '암(Arm)'의 물리 반도체 설계자산(IP) 사업을 품으며 기초 IP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설계자동화(EDA) 툴부터 고급·기초 IP까지 종합 설계 역량을 확보, 시스템온칩(SoC) 설계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케이던스는 16일(현지시간) Arm의 '아티산 파운데이션(Artisan Foundation) IP' 사업 인수를 발표했다. 고객은 케이던스의 솔루션만으로 칩 설계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통합, 제품을 처음부터 끝까지 설계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수 있게 됐다. 인수 작업은 오는 3분기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케이던스는 인수와 동시에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아티산 IP 관련 인력도 전원 승계할 예정이다. 인수 대상은 △표준 셀 라이브러리 △메모리 컴파일러 △GPIO(범용 입출력) 등 선도 파운드리의 첨단 공정에 최적화된 핵심 설계자산이다. 3나노미터(nm), 5나노 등 최신 파운드리 공정에 최적화돼 삼성전자, TSMC 등 글로벌 업체를 포함한 주요 제조 생태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케이던스는 기존에도 인터페이스 IP(PCIe, DDR 등)와 임베디드 보안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