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메드팩토는 전이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TGF-β(베타) 억제제 ’백토서팁’과 파클리탁셀 병용요법 1b/2a 임상결과 보고서를 수령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은 전이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파클리탁셀과 병용 투여하는 백토서팁의 최대내약용량 및 제2상 권장용량을 결정하고, 백토서팁 병용 투여시의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국내 6개 의료기관에서 진행됐다. 임상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전이성 위암 환자에게 백토서팁을 파클리탁셀과 병용 투여시 최대 내약용량 및 제2상 권장용량은 300mg, 1일 2회로 결정됐다. 유효성 평가에서는 백토서팁과 파클리탁셀 병용투여시 전체생존기간 중간값(mOS)이 219일, 무진행생존기간 중간값(mPFS)이 85일로 파클리탁셀 단독 투여한 기존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세부적으로 위 절제 수술 이력이 있는 전이성 위암 환자군에서는 백토서팁 병용요법이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보였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임상 대상 중 위 절제 수술 이력이 있는 환자군에서의 객관적 반응률(ORR)과 전체생존기간 중간값(mOS)이 위 절제 수술 이력이 없는 환자군 대비 2~3배 가까이
[더구루=최영희 기자] NH투자증권은 분쟁조정위원회 조정결정의 기본 취지를 존중하고 높은 수준의 고객 보호 조치를 이행하기 위해 독일 헤리티지 상품에 투자한 일반투자자 고객들을 대상으로 투자 원금을 전액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달 21일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는 독일 헤리티지 상품에 대해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를 이유로 판매사가 일반투자자에게 투자원금 전액을 반환하라고 권고했다. 이에 NH투자증권은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일반투자자에게 원금을 전액 지급하도록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투자원금을 받게 될 대상 고객은 일반투자자 81명이며, 총지급 액은 126억 원이다. NH투자증권은 분쟁조정위원회에서 권고한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가 아닌 고객으로부터 수익증권 및 제반권리를 양수하는 사적합의 방식을 취하기로 했다. 법리적 이견이 있는 만큼 분조위가 권고한 ‘계약 취소’는 아니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발생함은 물론이고 회사로서도 고객보호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결정이다.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은 “고객 중심의 경영 철학을 유지하며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원금 전액 지급을 결
[더구루=최영희 기자] 김택진 엔씨소프트 CCO(Chief Creative Officer·최고창의력책임자)가 국가와 세대를 초월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게임 'TL'을 내놨다. 엔씨소프트의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신작 'THRONE AND LIBERTY(쓰론 앤 리버티·TL)'가 27일 디렉터스 프리뷰를 통해 게임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TL은 엔씨소프트가 ‘차세대 MMORPG’를 목표로 개발 중인 신작이다. 내년 상반기 글로벌 시장에 PC와 콘솔 플랫폼으로 출시한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CCO는 “국가와 세대를 초월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MMORPG로 개발했다”며, “모두를 위한 플레이, ’Play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TL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고 즐길 수 있는 PC와 콘솔 플랫폼으로 선보인다”고 강조했다. 안종옥 개발 PD, 이문섭 게임디자인 디렉터가 TL의 주요 특징과 세부 콘텐츠를 소개했다. TL은 ▲날씨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심리스(Seamless) 월드와 던전 ▲과거와 현재, 미래가 이어지는 내러티브(Narrative)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역할이 변화하는 ‘프리 클래스’ ▲이용자가 참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PvP
[더구루=최영희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27일 삼성 KODEX 종합채권(AA-이상) 액티브 ETF의 순자산이 2조1403억 원으로 2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 ETF는 최근 1개월 동안만 9619억 원이 몰리며, 지난 2019년 상장 2년 만에 순자산 1조원을 달성한 기록에 이어 또다시 2조원 돌파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채권형 ETF로 돌아선 투자자들의 관심이 본격적으로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KODEX 종합채권(AA-이상) 액티브 ETF는 국내 채권형 ETF 중에서 순자산 1위 규모다. 국내 상장된 전체 666개 상품 중에서는 6번째로 큰 규모로, 이로써 국내 상장된 ETF 중 2조원 이상인 ETF는 총 6개가 됐다. 국내 채권형 ETF의 순자산 규모 2위는 TIGER 단기통안채 ETF(1조2000억 원), 3위 KODEX 단기채권PLUS ETF(1조1000억 원)다. KODEX 종합채권(AA-이상) 액티브 ETF는 국내 최초의 액티브 채권 ETF로, 2017년 6월에 상장했다. 한국의 우량채권시장을 대표하는 채권 4000여 종목을 바탕으로 구성된 KAP 한국종합채권지수(AA-이상, 총수익)를 기초 지수로 하고 있다. 채권투자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더구루=최영희 기자] 혁신 의료솔루션 전문기업 네오펙트는 상지재활 의료기기 ‘스마트 글러브’에 대한 연구 논문이 세계적으로 저명한 국제 의학 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통해 스마트 글러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함께 손상된 뇌의 활성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김연희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과 신용일 양산부산대학교 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이 맡았다. 뇌졸중 환자 48명을 두 그룹으로 나눈 후 첫 번째 그룹은 매일 1시간씩 전통적인 재활 치료만 진행했다. 두 번째 그룹은 매일 30분 전통적인 재활, 30분 네오펙트 스마트 글러브 재활훈련을 4주 동안 병행했다. 임상시험은 뇌졸중 이후의 운동기능, 균형, 감각과 관절 기능의 일부를 측정하는 푸글 마이어 평가와 잽슨 테일러 손 기능 평가방법을 사용했다. 뇌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해 뇌 활성화를 평가할 수 있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도 적용했다. 임상시험 결과 스마트 글러브를 사용한 환자들의 손과 팔 기능이 스마트 글러브를 사
[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바일 게임 ‘BTS월드’ 개발사 테이크원컴퍼니의 글로벌 모바일 신작 ‘뿌까 퍼즐 어드벤처’가 출시 카운트다운에 돌입한다. 27일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모바일 퍼즐 게임 신작 ‘뿌까 퍼즐 어드벤처’의 글로벌 사전 예약이 실시됐다. 테이크원컴퍼니는 사전 예약 기념 특전 이벤트로, 사전 예악 등록자 전원에게 1600 보석과 고급 캐릭터 뽑기 토큰 100개를 제공한다. 뿌까 퍼즐 어드벤처는 한국 대표 캐릭터 ‘뿌까’를 활용한 게임이다. ‘뿌까’는 2002년 개발된 한국의 최장수 인기 캐릭터로, 글로벌 선호 한국 캐릭터 조사에서 2021년까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뿌까 퍼즐 어드벤처’는 주인공 ‘뿌까’가 동료를 모아 보스 ‘돈킹’을 물리치는 모험을 떠나는 내용의 퍼즐 게임이다. 이 게임에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를 포함한 100여 종 이상의 개성있고 귀여운 독점 캐릭터가 등장한다. 또한 원소 속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매치3 퍼즐과, 캐릭터를 성장시키며 전략적으로 스테이지를 클리어 하는 RPG 요소를 더한 게임으로 1000개 이상의 메인 스테이지가 준비되어 있다. 이 게임은 메인 스테이지 외에 보스 레이드, 퍼즐
[더구루=최영희 기자] 리튬플러스는 조달청에서 대여받은 수산화리튬 원재료를 입고했다고 27일 밝혔다. 총 입고 물량은 290t(톤)이며 입고 절차는 4일 간 진행된다. 입고된 원재료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해 투입한다. 지난 26일 조달청은 코발트, 리튬 등 보유 중인 희소금속 9종에 대해 비축물량 관리 일원화 작업에 착수한다고 알려졌다.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광물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비축물량 관리를 일원화하고 집중 관리한다고 설명했다. 희소금속 비축 관리 일원화와 함께 비축 일수(양) 확대도 추진한다. 지난 9월 조달청 및 한국광해광업공단은 리튬플러스에게 비축 중인 탄산리튬의 대여를 승인했다. 관계사 하이드로리튬은 조달청 원재료 대여계약 보증을 위해 약 234억원의 예금을 담보로 제공했다. 리튬플러스 관계자는 "조달청을 통한 원재료 대여 외에 추가적인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한 원재료 확보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며 "관계사 하이드로리튬, 어반리튬과 함께 리튬 원재료 확보에서 완제품 판매까지 다양한 리튬 밸류체인 구축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생산한 수산화리튬의 판매는 하이드로리튬이 담당할 전망
[더구루=최영희 기자]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 더벤처스가 컨테이너 기반의 PaaS(Platform as a Service) 스타트업 ‘클라우드타입(Cloudtype,)’에 투자했다고 27일 밝혔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인프라 수준의 가상클라우드 컴퓨팅(IaaS)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Platform)을 미리 구축해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서버 인프라를 다루는 클라우드 분야는 주로 IT 대기업들이 경쟁하는 시장으로, 스타트업의 진출이 쉽지 않은 분야였다. 그러나 ‘쿠버네티스(kubernetes)’ 등과 같은 오픈소스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하는 스타트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클라우드타입’은 복잡한 인프라 구축 과정 없이 바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출시할 수 있는 개발자 중심의 구독형 PaaS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헤로쿠(Heroku)’ 를 비롯해 Vercel, Netlify, Render 등 개발자를 위한 간편한 PaaS 서비스가 이미 출시되어 있지만, 한국 서버를 지원하지 않아 국내 개발자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
[더구루=최영희 기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냉면 밀키트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한 옥류관면옥(조주활 대표) 등 6명을 2022년 4분기 ‘이달의 소상공인’으로 선정하고, 26일 대전 공단본부에서 표창장을 수여했다. ‘이달의 소상공인’은 코로나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며 성장해온 소상공인을 알리기 위한 올해 첫 시행 사업으로, 경영혁신, 기술 및 연구개발, 영업 노하우 등을 보유하고 업체경영 3년 이상인 자 중 타 기업에 모범이 되는 소상공인 대표자를 선정한다. 해당 사업은 총 3개 분야(△소상인 △소공인 △전통시장 상인)로 나뉘며, 그동안 분야별 1명씩 2,3분기 총 6명 선정되었고 이번 4분기에는 분야별 각 2명씩 확대 선정했다. 소상인 부문으로 선정된 자리봉국밥 수완직영점 정세훈 대표는 코로나19 이전부터 비대면 배달 서비스 시행했다. 발빠른 대응 덕분에 경쟁력 있는 밀키트 상품을 전국 확대 판매하여 매출을 증가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두 번째 소상인 부문으로 선정된 옥류관면옥 조주활 대표는 가게만의 특징을 살린 가늘고 쫄깃한 면발과 시원한 육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타 업체와 차별화하여 매출을 증가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소공인 부문으로 선정된 ㈜케이에스
[더구루=최영희 기자] 에듀테크 대표 기업 아이스크림에듀가 오는 27일 오전 9시 20분부터 약 1시간 동안 CJ온스타일 채널에서 초등 및 중등 인강 ‘아이스크림 홈런 2.0’(이하 홈런 2.0) 홈쇼핑 라이브 앙코르 방송을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아이스크림에듀는 지난 11일, CJ온스타일과 함께 한 성공적인 론칭 방송에 힘입어 이번에 2차 방송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아이스크림에듀는 지난 첫 방송을 통해 받은 무료 체험 신청 건수를 목표 대비 200% 달성한 바 있다. 이번 2차 방송 역시 홈런 2.0의 앰배서더 박지윤과 함께 하며, ‘홈런북 프리미엄 에버그린’ 10일 무료 체험을 제공한다. 또한 홈쇼핑을 통해 무료 체험을 신청하는 고객들을 위한 풍성한 이벤트도 선보인다. 이번에는 신청 고객 전원에게 신세계 상품권 1만원과 프리미엄 미술세트를 제공하며, 실시간 추첨을 통해 신청 고객 중 3명에게는 한샘이 최근 새롭게 출시한 140만원 상당의 ‘조이S 2’ 책상, 의자 세트를 선물로 증정한다. 무료 체험 신청 고객 중 2명을 추첨해 각각 1000만원의 장학금을 증정하는 ‘Adieu 2022 윈터페스타’와 ‘공부습관 장학금’ 등 특별 이벤트 역시 참여
[더구루=최영희 기자] 라온피플이 AI 비전검사 관련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중국 특허를 등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중국 시장에 등록한 이번 특허는 검사 대상의 이미지를 이용해 결함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미지 처리방법을 고도화 하는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AI 머신비전 관련 검사 기술이다. 동일한 품질의 대량 생산되는 제조물에 대한 불량 여부를 검출할 때 활용되며, 인쇄 회로 기판이나 조립이 완료된 회로 등 전자제품 생산 공정상의 중간 또는 최종 산출물의 불량을 AI 비전 검사를 통해 검출함으로써 오검이나 과검율을 낮추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포장지나 라벨지 등의 인쇄물 또는 대량 생산되는 다양한 제조물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국내 생산 및 유통시장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라온피플은 중국 기업과 거래비중이 꽤 높았던 기업으로 코로나 19와 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일부 실적이 감소했었으나, 내수 시장에서 주력사업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올해 3분기까지 흑자 경영을 지속하는 등 실적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중국 시장이 방역 완화 및 외출과 소비활성화 정책에 따른 리오프닝 효과
[더구루=최영희 기자] 주방가전 브랜드 하우스쿡을 운영하는 범일산업이 2022년 한국 주방산업발전 시상식서 대상을 수상 했다고 26일 밝혔다. 분야는 ‘혁신 주방기업’ 부문으로 제품의 혁신성과 생산 시스템 혁신 기준에 우수점을 인정 받은 것이다. 이는 그동안 하우스쿡이 진행한 각종 사업 성과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다. 범일산업이 운영 중인 주방가전 브랜드 하우스쿡의 효자템은 국내서 유일하게 인덕션과 정수기를 동시에 쓸 수 있는 ‘정수조리기’다. 이 제품은 ‘인덕션’과 ‘정수기’를 결합한 멀티 주방 가전으로 흔히 ‘라면조리기’, ‘라면 기계’로 잘 알려져 있지만 하우스쿡 정수조리기는 이를 넘는 장점이 있는 제품이다. 가장 큰 장점은 멀티 조리기능. 정수된 물이 87℃ 온도로 끓여져 있어 쉽고 간편하게 음식을 조리 할 수 있다. 조리를 하지 않을 때는 정수기로 활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 이 같은 장점으로 2020년 국가대표 브랜드 K에 선정을 시작으로 올해에는 국방부 ‘2022년 상반기 우수상용품 시범사용 대상’으로 선정 됐다. 또, 지난 2022년 11월 기준 국내외 1,800개소 설치를 돌파 했다. 이와 함께 2022년 인천 우수기업 비전기업 부문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증강현실(AR) 글래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국에서도 AR 글래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와 양자컴퓨터 등에 이어 '미중 기술 전쟁'의 전선이 AR글래스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AR글래스 제조업체 로키드(Rokid)는 3분기 중 49그램(g) 초경량 AR글래스를 출시한다. 로키드는 "새로운 AR글래스가 가벼운 무게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능 탑재하고 있다"며 "아이웨어 기업인 '볼론'과 협력해 일상생활에서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로키드 AR 글래스에는 퀄컴의 AR 전용 칩인 '스냅드래곤 AR1'이 탑재됐다. 또한 자체 개발한 '도파관(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됐다. 도파관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온 빛의 회절과 반사를 활용해 사용자가 보는 글래스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술로, AR 글래스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또한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을 연동한 강력한 AI 기능도 탑재됐다. 로키드는 해당 AR 글래스가 사물인식은 물론 번역, 실시간 내비게이션, 알람 등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2년 전 출원한 특허가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전자모터에 희토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담고 있어서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며 테슬라처럼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려는 완성차 업계의 움직임이 거세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wccftech'는 최근 테슬라의 특허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특허는 '선택적 보자력 조절을 위한 슬릿형 자석 및 그 방법(Slitted magnet for selective coercivity, and methods thereof)'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2023년 10월 31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출원됐다. 영구자석에 작은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 특정한 첨가물을 주입하고, 자기력과 반응 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담고 있다. 그동안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네오디뮴계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 금속이 필수적이었다. 네오디뮴계 자석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알려졌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