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기 아이돌 그룹 뉴진스와 라인프렌즈의 콜라보 팝업 스토어가 말레이시아에서도 오픈했다. 라인프렌즈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뉴진스 콜라보 팝업을 통해 K팝 팬들을 흡수한다는 목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라인프렌즈는 말레이시아 최대 쇼핑몰 중 하나인 1우타마(1utama)에 뉴진스 콜라보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해당 팝업은 오는 12월 21일까지 열리며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된다. 이번에 팝업스토어가 열린 1우타마는 말레이시아 셀랑고르 반다르 우타마에 위치한 쇼핑몰로 1995년 오픈했으면 51만9000제곱미터(㎡) 규모를 자랑한다. 팝업스토어에는 뉴진스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파워퍼프걸, 버니즈 캐릭터가 전면에 배치돼 눈길을 끈다. 라인은 팝업스토어에 방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구매액에 따라 다양한 상품도 증정할 계획이다. 라인프렌즈는 말레이시아 외에도 K팝의 인기가 높은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에서도 뉴진스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다. 태국 팝업은 방콕 센트럴월드에 오픈했으면 9월 2일부터 영업을 시작, 내달 1일까지 열린다. 싱가포르 팝업은 15일 오픈해 11월 23일까지 운영되며 필리핀 마닐라 팝업은 23일에 오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일본 콘텐츠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CJ ENM 음악방송 엠넷(Mnet)이 일본 행사에 참여, K-팝 팬덤의 큰 호응을 불러일으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일본 콘텐츠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엠넷이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축제한마당'(日韓交流おまつり)에 참여한다. 한일축제한마당은 오는 30일부터 이틀간 일본 도쿄 고마자와 올림픽 공원에서 열린다. 엠넷은 이번 행사에서 홍보 부스를 연다. 홍보 부스 내 포토존을 운영한다. 엠넷 공식 라인 계정을 팔로우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아이돌 그룹 '씨아이엑스'(CIX)·'이펙스'(EPEX) 프레임 사진을 무료 인화해 준다. CIX·EPEX 프레임을 사용해 사진을 찍으면 마치 아이돌 그룹과 함께 사진을 찍는 듯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프레임 종류는 총 4가지로 구성됐다. 한일축제한마당은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서울·도쿄에서 개최 중인 문화 교류 행사다. 서울에서는 내달 22일 코엑스에서 열린다. CJ ENM의 홍보 부스에 CIX·EPEX 팬뿐 아니라 K-팝에 관심이 많은 방문객의 발길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1위 웹툰 플랫폼 카카오픽코마가 이용자 컴백 캠페인을 진행한다. 카카오 픽코마는 이번 캠페인으로 통해 최대 50만명의 이용자를 복귀시킨다는 목표다. 22일 카카오픽코마에 따르면 이번 컴백 캠페인은 21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캠페인은 일정기간 이상 픽코마 내 콘텐츠를 열람하지 않았던 이용자가 다시 콘텐츠를 열람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카카오픽코마는 총 5단계에 걸쳐 500명의 이용자를 추첨한다. 복귀 10만명을 돌파하면 40명에게 1만 코인을 제공하며 △20만명 돌파 시 60명 △30만명 돌파 시 80명 △40만명 돌파시 120명 △50만명 돌파시 200명에게 코인을 제공한다. 또한 참가자들에게는 10에서 500사이의 코인과 선물권 중 하나를 증정한다. 카카오픽코마는 이외에도 엑스 공유 이벤트도 진행한다.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는 이들이 매일 1개의 게시물을 공유하면 되면 5개의 아이템을 보상받을 수 있다. 픽코마는 지난 2016년 4월 20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일본 웹툰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며 업계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카카오픽코마는 지난 5월 기준 4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으며 기념한 이벤트도 진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ENM이 중화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대만 통신사 '파 이스톤'(Far EasTone·FET)과 협업해 드라마 2편을 방영한다. 대만 상영을 시작으로 글로벌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21일 FET 프라이데이 비디오(friDay影音)에 따르면 이달 28일 전세계에 CJ ENM이 제작에 참여한 드라마 '비너스 온 마스'(Venus on Mars)를 상영한다. 비너스 온 마스는 CJ ENM 홍콩이 제작한 SF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로, 중화권 OTT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기획됐다. FET 프라이데이 비디오는 대만 3대 통신사인 FET가 운영하는 OTT 서비스다. FET 프라이데이 비디오는 지난 19일 대만에서 비너스 온 마스 상영 간담회를 진행했다. K-콘텐츠 대표 주자 CJ ENM이 제작에 참여한 만큼 비너스 온 마스에 이목이 집중됐다는 전언이다. 이어 K-콘텐츠 수출도 진행한다. FET 계열사 미센 인터내셔널(MiShen International)은 CJ ENM 홍콩과 협력해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중국어 버전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들의 블루스'는 시장 조사기관 닐슨코리아 조사에서 시청률 14.
[더구루=한아름 기자] CJ CGV가 미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CJ CGV는 자회사 CJ 4D플렉스(4DPLEX)와 미국 영화관 기업 마커스 시어터(Marcus Theatres)가 다면 상영 시스템인 '스크린X'를 설치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미국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향후 다른 극장 사업자를 설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마커스 시어터는 20일 위스콘신주 마커스 릿지 시네마(Marcus Ridge Cinema)에 스크린X 상영관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마커스 릿지 시네마 스크린X 상영관은 112석 규모다. 스크린X는 복수의 스크린을 활용해 극장에서 실감 나게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정면은 물론 벽면에 추가로 설치해 3면 스크린을 만든다. 마커스 시어터는 CJ 4D플렉스와 협업을 이어온 결과 시장성이 높다고 판단, 파트너십을 확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마커스 시어터는 앞서 일리노이주 마커스 거니 밀스 시네마(Marcus Gurnee Mills Cinema)에 4DX관을 열었다. 거니 밀스 시네마 4DX관이 현지 관람객으로부터 호평받자 스크린X관을 추가 도입했다. 4DX관은 오감 체험 특별관으로, 물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툰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애니메이션의 첫 방송 날짜가 공개됐다. 애니플렉스는 홍보대사를 발표하며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6일 애니플렉스에 따르면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애니메이션은 10월 7일 첫 방송된다. 해당 애니메이션은 도쿄MX를 통해 송출된다. 애니플렉스는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애니메이션 홍보대사로 유명 마술사인 미스터 마릭크를 선정했다고 전했다. 또한 추가 캐스팅 정보도 공개됐다.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메인 히로인인 '아제스트 킹스크라운'을 세토 마사미가 맡는다. 이외에도 캐릭터들의 키 비주얼도 공개되며 한 달여가 앞둔 첫 방송에 앞서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는 인류의 멸망을 막기 위해 그림자 미궁 클리어에 나섰던 '데지르 아르망'이 결국 클리어를 실패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13년전 아카데미 입학 시기로 회귀하면서 인류의 멸망을 막기위해 벌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원작 웹소설은 2016년 9월부터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연재됐으며 2019년까지 연재됐다. 출판은 디앤씨미디어에 맡았다. 웹툰
[더구루=한아름 기자] CJ그룹이 한국·캐나다 문화사업 발전을 위해 팔을 걷었다. CJ문화재단을 내새워 영화진흥위원회(KOFIC), 토론토국제영화제(TIFF)와 함께 'K-스토리 펀드'를 조성한다. 글로벌 곳곳에서 K-콘텐츠 열풍에 CJ그룹이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CJ문화재단은 CJ & TIFF K-스토리 펀드를 출연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한국-캐나다 수교 60주년을 기념하고 영화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됐다고 CJ문화재단 측은 설명했다. K-스토리 펀드는 한국·캐나다 등 영화 제작자 지원을 비롯해 인력 양성 등에 쓰인다. 3년간 총 9만캐나다달러(약 9000만원)가 투입된다. 총 3명의 영화 제작팀을 지원할 방침이다. 오는 11월 참가자를 공개 모집하며 내년 최종합격자 명단을 발표한다. 최종합격자는 CJ ENM과 콘텐츠 제작 관련 멘토링을 받을 수 있다. 이번 K-스토리 펀드를 통해 CJ그룹이 글로벌 문화 선도 기업으로서의 이미지 제고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CJ그룹은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세계 영화제를 후원하며 브랜드력을 강화해 왔다. 단편영화 지원 프로젝트도 진행한 바 있다. <2023년 9월 1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 태국 합작사가 한국 드라마 '시그널'을 리메이크해 현지에서 선보인 작품이 '콘텐트아시아 어워즈 2023(ContentAsia Awards 2023)'에서 수상했다. 아시아 무대에서 뛰어난 제작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23:23 약속 시그널(23:23 สัญญา สัญญาณ·이하 23:23 시그널)'은 콘텐트아시아 어워즈 2023 '아시아 최고 TV 포맷 각색 콘텐츠' 부문에서 금메달을 받았다. 지난 2020년 시작된 콘텐트아시아어워드는 아시아에서 공개된 우수 콘텐츠를 선정하는 시상식이다. 올해로 4회째를 맞았다. 필리핀 민영방송국 GMA 네트워크(GMA Network),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 월트디즈니(The Walt Disney Company), 글로벌 배급사 파라마운트(Paramount) 등 굵직한 미디어 관련 기업 고위경영진들이 심사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3:23 시그널은 CJ ENM이 지난 2016년 태국 최대 종합 미디어기업 트루비전스(True Visions)와 함께 설립한 합작법인 트루 CJ 크리에이션스(True CJ Creations)에서 제작했다. <본보 2022년
[더구루=홍성일 기자] 누적조회수 140억회를 넘기며 글로벌 흥행 신화를 쓴 웹툰 '나혼자만레벨업'의 애니메이션 신규 트레일러 영상이 공개됐다. 북미 최대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플랫폼 크런치롤은 10일(현지시간) 나혼자만레벨업의 3번째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업로드 후 현재까지 72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나혼자만레벨업은 E급 헌터였던 성진우가 성장형 헌터로 각성해 악의 무리와 싸우며 가족과 인류를 지키는 내용을 담은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웹소설은 2016년부터 연재를 시작했으며 웹툰화는 2018년 진행됐다. 웹툰화 이후 나혼자만레벨업은 한국, 일본, 미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누적 조회수 140억회를 돌파했다. 이에 글로벌 웹툰 시장을 확장하려는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의 대표 IP로 역할을 해왔다. 나혼자만레벨업 애니메이션은 2022년 공식화됐으며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A-1픽쳐스가 참여했다. A-1픽쳐스는 소드 아트 온라인, 페어리 테일, 청의 엑소시스트, 일곱 개의 대죄 등 유명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경력이 있는 스튜디오다. 나혼자만레벨업 애니메이션은 2024년 1월 방송을 목표로 제작이 진행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콘텐츠 자회사인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Wattpad Webtoon Studios)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총괄이 '콘텐츠 런던 2023(Content London 2023)'에 연사로 참여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데이비드 매든(David Madden)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부문 총괄은 콘텐츠 런던 2023에 참여, 글로벌 콘텐츠 전략과 함께 파트너십 확대에 대한 의견을 밝힌다. 콘텐츠 런던 측은 데이비드 매든 총괄과 함께 글로벌 OTT 넷플릭스의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 콘텐츠 획득 전략 총괄 리나 브루네우스 EMEA 콘텐츠 획득 전략 이사도 연사로 초청했다. 데이비드 매든은 2004년 HBO의 영화 '썸딩 더 로드 메이드(Something Lord Made)'의 총괄프로듀서로 참여 에미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에미상을 수상한 쇼 프로그램인 '더 아메리칸', '더 쉴드 포 FX' 등을 개발했으며 베러 콜 사울, 워킹 데드, 엠파이어, 브루클린 99 등 다양한 인기 프로그램의 감독과 프로류서로 활동해왔다. 데이비드 매든은 AMC 네트워크에서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사장, 폭스 텔레비전 스튜디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하노이가 하루 방문객 '1만명 시대'를 열었다. 베트남 가족과 연인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베트남 최고 '핫플레이스'로 자리잡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4일까지 이어진 베트남 독립기념일(9월2일) 연휴 기간 하루 평균 1만명이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하노이를 찾았다. 나흘 동안 약 4만명의 발길이 이어졌다.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하노이는 연휴 기간 아이가 있는 가족 단위 방문객, 데이트를 즐기러 나온 커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오픈 첫날이었던 지난달 1일 방문자수 4000명을 돌파한 데 이어 식을 줄 모르는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본보 2023년 8월 3일 참고 롯데월드 하노이 아쿠아리움 ‘개업 대박’…오픈 첫날 4000여명 방문>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우수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점이 인기 비결로 꼽힌다.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하노이는 동물을 관람하는 것에서 나아가 먹이를 주고, 만지며 교감할 수 있는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아쿠아리스트, 체험프로그램 전문가가 진행하는 10여개의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약 9000㎡ 규모, 3400여톤 수조를 보유해 베트남 아쿠아리움 중 최
[더구루=홍성일 기자] 10월 방영을 앞두고 있는 웹툰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애니메이션이 첫 캐릭터 PV(Promomtion Video)를 공개했다. 제작사 측은 신주쿠에서 시사회도 개최한다.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애니메이션을 방영하는 애니플렉스는 2일 주인공 캐릭터인 '데지르 아르망'을 소개하는 캐릭터PV 영상을 공개했다. 애니플렉스는 오는 30일 신주쿠에 위치한 발트9 극장에서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애니메이션 1화와 2화를 먼저 상영하는 시사회 행사를 진행한다. 이날 행사에는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성우 등이 참여해 관객들과 대화하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애니플렉스는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애니메이션을 10월 중으로 방영할 예정이다.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는 인류의 멸망을 막기 위해 그림자 미궁 클리어에 나섰던 '데지르 아르망'이 결국 클리어를 실패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13년전 아카데미 입학 시기로 회귀하면서 인류의 멸망을 막기위해 벌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의 원작 웹소설은 2016년 9월부터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연재됐으며 2019년까지 연재됐다. 출판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네덜란드 주류업체 하이네켄이 영국 RTD(Ready to Drink·즉석음용) 주류 브랜드 서브드(SERVED) 지분을 인수했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 RTD 주류 수요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네켄은 영국 자회사 하이네켄UK를 통해 서브드 소수 지분을 확보했다. 하이네켄이 서브드 지분 인수를 위해 투입한 자금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이네켄이 서브드에 대한 투자를 통해 비(非) 맥주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19년 설립된 서브드는 보드카를 기반으로 한 하드셀처(탄산수에 알콜과 과일향을 더한 술) 서브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서브드 하드셀처는 △복숭아 △라임 △라즈베리 등의 라인업을 갖췄다. 서브드는 △모히토 △피나콜라다 △패션프룻 마티니 등 RTD 칵테일 제품군도 보유하고 있다. 비교적 건강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주류라는 점이 서브드 차별화 포인트로 꼽힌다. 서브드는 설탕, 인공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을 배제하고 천연 재료로 제품을 생산한다. 모양이 구부러졌거나 멍들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과일을 원료로 활용하며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감축에도 일조하고 있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TSMC가 내년 설비투자액이 250억 달러(약 34조원)대로 올해 대비 20%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파운드리 한파가 장기화되면서 당분간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간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대만 공상시보(工商時報) 등 외신에 따르면 TSMC는 올해 설비투자액이 320~360억 달러(약 43조~49조원)로 예상된다. 내년에도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가 250억 달러대까지 주저앉을 전망이다. TSMC는 설비투자에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2020년 172억4000만 달러(약 23조원)에서 2021년 300억 달러(약 40조원)로 급증했고 2022년 363억 달러(약 49조원)로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파운드리 업계에 한파가 닥치며 분위기가 달라졌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스마트폰과 PC 소비가 줄며 반도체 수요도 축소됐다. 주문이 급감하며 TSMC의 평균 가동률은 60~70%로 하락했다. 6·7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 공정 가동률은 50%까지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적도 주춤했다. TSCM는 올해 2분기 매출액 157억 달러(약 21조원), 순이익 66억 달러(약 9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