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가 207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 에너지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대규모 지원과 해외 투자 유입이 맞물리면서 인도 재생 에너지 시장이 전례 없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 발전 용량을 450GW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중 태양광이 280GW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23년 기준 용량은 125.15GW로, 세계 4위를 기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인도의 전력 수요가 연평균 6.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석탄 발전 비중은 지난해 74%에서 오는 2027년 67%로 낮아지고, 가스 발전이 연평균 9%씩 증가할 전망이다. 바이오 연료 수요도 크다. 지난 2022년 기준 인도의 바이오 연료 소비량은 전체 에너지의 27.5%를 차지했으며, 이 중 가정용이 54%, 산업용이 42.5%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월 기준 인도의 전체 전력 설치 용량 중 비화석 연료 기반 에너지는 44.72%에 달한다. 인도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력의 50%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개를 의무화하고, 전기차·태양광·배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투자한 코브레 파나마 구리광산에 대해 파나마 정부가 조업 재개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 광산은 1년 4개월 넘게 폐쇄 중이다. 파나마 정부가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의 구리 정광 수출을 허용하면서 코브레 파나마 구리광산의 조업 재개 가능성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코브레 파나마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의 수출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조만간 광산 운영과 관련한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며 "국가 이익과 경제적 타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접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브레 파나마 광산은 퍼스트 퀀텀과 광해광업공단이 공동 소유한 광산으로,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의 약 1.5%와 파나마 GDP의 약 5%를 차지한다. 그러나 지난 2023년 11월 환경 파괴 우려를 제기한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파나마 대법원의 운영 계약 위헌 판결로 1년 4개월째 폐쇄된 상태다. 퍼스트 퀀텀은 이번 승인으로 광산 부지에 보존된 약 12만 톤의 구리 정광을 해외로 선적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수출로 확보한 자금은 광산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씨티그룹이 "국제시장 구리 가격이 3개월 안에 톤당 1만 달러(1455만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씨티그룹은 "미국 외 현물시장에서의 공급 부족 현상이 5~6월까지 지속될 것"이라며 "다만 장기적으로는 관세 시행이 다가오면 미국의 구리 수입 수요가 줄어들어 가격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구리 가격은 13일(현지시간) 톤당 9797달러로 전날보다 0.3%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만 12%가량 올랐다. 뉴욕 선물 시장에서는 이미 1만 달러를 돌파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5월 인도분 구리 선물 가격은 같은 날 톤당 1만71달러까지 상승했다. 앞서 씨티그룹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2분기 구리 가격이 톤당 8500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근 공급난이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세계 최대 구리 생산국인 칠레의 지난 1월 생산량은 전월 대비 24% 감소하며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글로벌 제련소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여기에 미국의 정책 변수도 영향을 미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미국 내 구리
[더구루=진유진 기자] 스페인이 자국 내 광물 개발을 본격화한다. 리튬, 니켈, 코발트, 희토류 등 원자재 확보를 위해 탐사에 나서며, 순환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광물 재활용도 추진한다. 스페인 생태전환부는 지난 11일(현지시간) '2025-2029년 광물 원자재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유럽연합(EU)이 지정한 전략 광물 확보를 목표로 하며, 자원 조사와 광물 산업 육성을 핵심으로 한다. 행동 계획은 △광물 원료 공급망 효율화 △광업의 지속 가능성 강화 △광물 수입 시 환경·지정학적 요건 준수 △재생에너지·전기차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전략 산업용 원자재 확보 등 네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수립됐다. 조안 그로자드 스페인 에너지부 장관은 "원자재 관리의 '360도 접근법'을 통해 자원 탐사, 재활용, 수입 원자재 추적, 환경 복원까지 포괄하는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굴로 오염된 토양 정화에도 4억 유로(약 6310억원)를 투입할 방침이다. 스페인이 국가 차원의 광물 탐사를 실시하는 것은 지난 1969~1970년 '국가 광업 계획' 이후 처음이다. 기존에는 첨단 산업 필수 광물을 중점적으로 탐사한 적이 없었다. 이번 계획에는
[더구루=진유진 기자] 로듐 가격이 2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요 증가와 1분기 생산 감소로 매수세가 집중된 영향이다. 1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 3위 로듐 생산업체인 앵글로 아메리칸 플래티넘(Amplats)이 최근 현물 시장에서 적극적인 매수에 나섰다. 이에 로듐 가격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온스당 6040달러(약 880만원)까지 상승하며 지난 2023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타이 웡 금속 트레이더는 "지난 2주간 앵글로 아메리칸 플래티넘의 매수 움직임이 예상보다 커지면서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로듐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주로 쓰이는 촉매 물질로, 최근 2년간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 속에서 가격이 하락했다. 그러나 지난달 말 남아공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홍수로 앵글로 아메리칸 플래티넘의 투멜라 광산이 일시 폐쇄되면서 공급이 줄었다. 동시에 북미 자동차 제조업체와 중국 유리 제조업체의 수요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타나면서 가격이 급등했다. 로듐은 금보다도 비싼 희소 금속으로 유명하다. 과거 1g당 713.75달러(약 95만원)까지 치솟으며 금값의 11배를 기록하기도 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정부를 주요 투자자로 두고 있는 광업 투자 기업 테크멧(TechMet)이 우크라이나 중부에서 대규모 리튬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브라이언 메넬 테크멧 최고경영자(CEO)가 "2023년부터 도브라(Dobra) 프로젝트를 평가해 왔으며,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광물 협정'이 마무리되면 개발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도브라 프로젝트 주요 투자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억만장자 로널드 로더다. 이번 투자 계획은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핵심 광물 자원 개발을 위한 광물 협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 지원과 정보 제공을 대가로 우크라이나에 희토류 등 전략 광물을 요구했다. 현재 전 세계 희토류 시장 규모는 약 120억 달러(약 17조원)로 추산되며, 우크라이나는 유럽 리튬 매장량의 3분의 1을 보유한 국가로 평가된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의 광물 자원 중 상당 부분이 러시아 점령지에 있다. 테크멧은 미국의 핵심 광물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DFC)의 투자를 받아 설립됐다. 현재 브라질 니켈 피아우이 프로젝트, 영국 코니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제조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해외 경쟁사보다 훨씬 높은 원자재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관세 시행 전부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기업 신뢰가 약화되고, 인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알루미늄·철강·구리에 대한 추가 관세를 예고하자 기업들이 재고 확보에 나서면서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다. 현재 미국 내 알루미늄 가격은 유럽보다 약 23%, 철강 가격은 40% 이상 높은 수준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직 관세가 부과되지 않은 구리도 미국 제조업체들이 유럽보다 10%가량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미국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같은 제품을 생산해도 원자재 구매 비용 차이로 인해 미국 기업이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관세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매사추세츠주 소재 금속 제조·유통업체인 마컴 메탈스(Markham Metals)의 댄 마컴 대표는 "고객들이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있으며, 최종 제품 가격에 미칠 영향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내 알루미늄 프리미엄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더구루=진유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산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50%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미국 내 알루미늄 가격이 급등했다. 실물 시장에서 알루미늄 구매 시 부과되는 프리미엄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미국 중서부 시장에서 관세가 포함된 알루미늄 프리미엄이 11일(현지시간) 톤당 약 990달러(약 144만원)로 치솟았다. 이는 전날보다 20% 가까이 오른 것으로, 올해 초 대비 70% 이상 급등한 수치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구매자는 런던금속거래소(LME) 벤치마크 가격에 세금, 운송비, 취급 비용 등을 포함한 프리미엄을 추가로 지불한다. 이번 가격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결과다. 앞서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대미(對美) 전력 수출에 25%의 추가 요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미국도 이에 맞서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미국에서 유통되는 알루미늄의 상당 부분은 캐나다에서 생산된다. 지난해 미국으로 수출된 1차·합금 알루미늄의 약 70%인 392만 톤이 캐나다산이었다. 트레이더들은 "이번 관
[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 리튬 기업 라이온타운 리소스(Liontown Resources, 이하 라이온타운)가 리튬 사업을 넘어 수익 다각화를 추진한다. 리튬 가격 하락과 시장 변화에 대응해 인수합병(M&A)과 신규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토니 오타비아노 라이온타운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우리는 단일 자산 회사로 남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시장에서 여러 기회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추가 탐사 △타 기업 자산 인수 △염수 리튬 사업 참여 등을 가능한 전략으로 제시했다. 라이온타운은 리튬 정제 사업 참여 여부도 검토하고 있다. 오타비아노 CEO는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에서 탄산리튬이 선호되는 만큼 탄산리튬 생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는 "재활용은 또 다른 형태의 리튬 공급원이 될 수 있다"며 "파트너십을 통한 사업 참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라이온타운은 지난 2006년 설립된 리튬 광산 개발 업체로, 세계 5대 리튬 프로젝트인 서호주 캐슬린 밸리 광산을 운영하고 있다. 초기 연간 50만 톤의 스포듀민 농축물(리튬 정광)을 생산한 후 점차 증설해 최대 70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기업 프랑코 네바다(Franco-Nevada)와 파나마 정부 간 100억 달러(약 14조5800억원) 규모 코브레 파나마(Cobre Panamá) 구리광산 운영 중재 절차가 내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프랑코 네바다는 10일(현지시간) 2024년 연간 실적 발표에서 "세계은행 산하 국제중재기관인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가 2026년 10월 코브레 파나마 광산 재개를 둘러싼 중재 심리를 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이 광산 운영에 대한 논의 의사를 밝혔고, 현지 여론도 광산 재개를 지지하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이번 중재는 프랑코 네바다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 손상차손을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코브레 파나마 광산은 캐나다 광산 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과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소유한 대형 구리 광산으로, 지난 2022년 기준 파나마 전체 수출의 76.6%를 차지하는 핵심 경제 자산이었다. 그러나 파나마 대법원이 지난 2023년 11월 "광산 운영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판결하면서 광산이 폐쇄됐다. 구리 생
[더구루=진유진 기자] 코발트 가격이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의 수출 금지 조치로 급등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 차질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과 유럽 시장에서도 가격이 빠르게 상승했다. 코발트 가격은 10일(현지시간) 중국 우시 스테인리스 스틸 거래소에서 약 12% 상승해 kg당 240위안(약 4만8000원)까지 치솟았다. 가격 변동성이 커지면서 거래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유럽 시장에서도 가격이 올랐다. 가격 정보 업체 패스트마켓(Fastmarkets)에 따르면 네덜란드 로테르담 창고에 보관된 코발트 현물 가격은 지난 4일 기준 파운드당 10.80달러(약 1만6000원)에서 7일 12.25달러(약 1만8000원)로 올랐다. 지난달 24일에는 9.95달러(약 1만5000원)였다. 앞서 콩고민주공화국은 공급 과잉 문제 해결을 이유로 지난달부터 4개월간 코발트 수출을 중단한 상태다. 세계 3대 코발트 생산업체인 카자흐스탄 광산 기업 유라시아 리소스 그룹(ERG)도 최근 '불가항력 선언(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계약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태)'에 따른 공급 중단을 선언했다. ERG는 지난해 1만9200톤의 수산화 코발트를 생산하며 콩고민주공화국 전체 생산량의 약 9%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광산 기업 '리오 틴토(Rio Tinto)'가 미국 리튬 기업 '아카디움 리튬(Arcadium Lithium)' 인수를 완료했다. 리오 틴토가 지난 5일(현지시간) 67억 달러(약 9조7060억원)에 아카디움 리튬 인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리오 틴토는 새롭게 출범할 '리오 틴토 리튬(Rio Tinto Lithium)'의 모회사가 됐으며, 미국 앨버말(Albemarle), 칠레 SQM에 이어 세계 3위 리튬 생산업체로 자리 잡았다. 기존 아카디움 리튬은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중국, 일본, 영국, 미국 등에서 사업을 운영했으며, 특히 수산화리튬을 기반으로 한 공급망을 갖추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4개 프로젝트 중 1차 확장 프로젝트가 오는 2028년까지 완료되면 연간 생산량은 7만5000 톤에서 17만 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후 2차 프로젝트까지 마무리되면 연간 29만5000 톤으로 생산 능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리튬 가격은 지난 1년 새 31% 하락했다. 이번 인수는 저가 매수를 통한 장기 성장 전략으로 해석된다. 리튬이 저탄소 청정에너지 전환의 핵심 자원으로 꼽히는 만큼 수요 증가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드론 시장이 미·중 경쟁 심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급성장하고 있다. 드론용 부품은 물론 소재, 장비 관련 수요도 증가하면서 국내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산 드론 규제 강화와 군용 드론 수요 증가를 바탕으로 드론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드론 규제를 강화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21년이다. 미국 국방부는 2021년 7월 세계최대 드론제조사인 중국 DJI의 드론이 미국 안보에 잠재적 위협이 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2022년 2월에는 공화당 소속 릭 스콧(Rick Scott) 의원을 필두로 공화당 상원의원들이 DJI 드론을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 규제 대상 장비 목록에 추가하는 CCP 드론 대응법(Countering CCP Drones Act)을 발의하기도 했다. CCP 드론 대응법은 지난해 처리된 2025년 국방수권법(NDAA)에 포함되기도 했지만 최종안에서는 삭제됐다. 미 의회는 CCP 드론 대응법 대신 1년 이내에 중국산 드론에 대한 국가 안보기관의 평가를 진행하기로 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산 드론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네시아 최대 웹툰 제작사인 '끼사이 엔터테인먼트(Kisai Entertainment, 이하 끼사이)'가 동남아시아 웹툰 생태계 육성에 나섰다. 끼사이는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 투자도 진행하며 새로운 세대의 크리에이터가 글로벌 시장에서 재능을 선보일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끼사이는 '스튜디오 인큐베이션 프로그램(SIP)'에 선정된 보노브 베넵 스튜디오(Bonob Beneb Studio)와 곡스툰 스튜디오(Gotxoon Studio)에 3억5000만 루피아(약 3100만원)을 투자했다. 끼사이 스튜디오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은 유망한 인도네시아 웹툰 스튜디오를 발굴하고 재정 투자와 교육, 멘토링을 제공해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끼사이의 투자를 유치한 보노브 베넵 스튜디오는 지난해 스튜디오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등록된 웹툰 스튜디오로, 스토리텔링과 제작 품질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곡스툰 스튜디오는 액션과 코미디 장르 웹툰을 중점적으로 제작하고 있는 스튜디오로 지난달 공식 파트너로 선정됐다. 끼사이는 향후 스튜디오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유망한 웹툰 스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