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전기 세단 '아이오닉 6 N'을 국내에서 첫 공개했다. 현대차가 대형 리어 윙 스포일러와 최적화된 공력 설계를 갖춘 아이오닉 6 N을 통해 전동화 모델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는 평가다. 현대차는 10일 경기 의왕시에 위치한 현대 N 아카이브에서 미디어 갤러리 행사를 열고 아이오닉 6 N(IONIQ 6 N)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같은 날 영국 최대 자동차 축제인 ‘2025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Goodwood Festival of Speed)’에서 아이오닉 6 N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아이오닉 6 N은 모터스포츠에서 얻은 데이터와 현대차의 첨단 전동화 기술이 결합된 모델로, 트랙 주행과 일상 주행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고성능 전동화 차량이다. 현대차 측은 고객에게 "즐거운 주행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브랜드 3대 성능 철학인 ‘코너링 악동(Corner Rascal)’, ‘레이스트랙 주행능력(Racetrack Capability)’, ‘일상의 스포츠카(Everyday Sports Car)’를 기반으로 아이오닉 6 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이오닉 6 N은 84.0kWh의 고출력 배터리와 고성능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지난 2분기(4~6월) 브랜드 판매 순위 4위를 차지했다. 이는 타타모터스와 MG모터, 마힌드라 현지 3사 브랜드의 압도적인 판매에도 불구하고 얻어낸 고무적인 성과다. 현대차는 인도 정부가 최근 실시한 인도 승용 전기차 제조 촉진 정책(SPMEPCI)을 기반으로 판매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 현대차는 주력 모델 판매와 더불어 현지 전략형 신모델을 출시, 입지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0일 현대차 인도법인에 따르면 지난 2분기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1795대를 판매했다. 브랜드 순위는 4위. 점유율은 4.8%다. 1위는 타타모터스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1만3495대를 판매하며 35.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위와 3위는 각각 MG모터와 마힌드라가 올랐다. 각각 1만1199대(29.7%), 8640대(22.9%)를 판매했다. 이들 3사의 시장 점유율 합계는 무려 88.4%에 달한다. 현대차에 이어 △BYD(1316대, 3.5%) △BMW(514대, 1.4%) △메르세데스-벤츠(262대, 0.7%)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는 현재 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소형 전기 스포츠실용차(SUV) 크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수소혁신센터’ 설립을 본격화했다. 조감도를 공개하고 입지와 투자금 등 투자계획을 확정했다. 9일 인도공과대학 마드라스(IIT Madras)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도공과대학 마드라스 내 수소혁신센터 설립을 위한 설계를 확정하고 조감도를 공개했다. 수소혁신센터는 IIT의 타이유르(Thaiyur) 캠퍼스인 ‘디스커버리 캠퍼스(Discovery Campus)’에 마련되며 내년 완공, 운영한다는 목표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차와 IIT 마드라스, 타밀나두 주정부 산하 무역투자진흥기관인 ‘가이던스 타밀나두(Guidance Tamil Nadu)’ 간 3자 협력을 기반으로 추진된다. 수소혁신센터 설립은 지난해 1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인도 현지를 방문해 약속한 '수소 밸리 혁신허브' 조성 계획의 연장성이다. 당시 현대차는 618억 루피(9900억원)에 달하는 인도 투자 계획을 밝히면서 이 가운데 18억 루피(약 286억원)를 수소 허브 조성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도는 떠오르는 그린수소 생산거점이자 현대차 수소차 주요 투자 지역으로 꼽힌다. 현대차가 해외에 수소기술 기반 연구개발 거점을 짓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우크라이나 정부가 약 1억원에 달하는 현대자동차의 최고급 미니밴 스타리아를 구매한 사실이 확인됐다. 차량 공급업체가 페트로 포로셴코 전 대통령과 연계된 회사로 드러나면서 정치적 배경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우크라이나 통신사 'UNN'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자산관리공사(ARMA)는 최근 국가 전자입찰시스템 '프로조로(Prozorro)'를 통해 현대차 스타리아 브론즈 구매 입찰을 진행했다. 약 300만 흐리우냐(약 9860만원)의 가격에 유일 입찰자인 '보그단 오토'가 낙찰자로 선정됐다. 입찰 공고에는 △전륜구동 △나파 가죽 인테리어 △시트 통풍·열선 기능 △보스(BOSE) 오디오 시스템 △64색 앰비언트 조명, 금고 △틴팅 △ARMA 로고 마킹 등이 세부 사양으로 명시됐다. 문제는 사실상 현대차 스타리아의 고급 트림과 일치하는 수준이었다는 점이다. 보그단 오토는 대표인 빅토르 루트코프스키와 'ZNVKIF 보그단-캐피탈'이 공동 소유한 회사다. 이들 법인은 포로셴코 전 대통령과 그의 측근인 올레흐 흐라드콥스키 전 국가안보차관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우크프롬인베스트' 그룹 계열사로 알려져 있다. 입찰 사양이 현대차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문화적 감수성과 유머를 앞세운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선보였다. 현대차는 이번 광고를 통해 미국 내 다양한 커뮤니티와의 접점을 확대하는 한편, 투싼 N라인 하이브리드의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9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은 최근 새로운 광고 ‘쟤 돈 좀 있나 봐(He Got Money)’를 공개했다. 미국 주요 TV 및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방영하고 있다. 40초 분량의 이번 광고는 ‘이모들의 티타임(Aunty Chat)’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광고는 친구의 아들이 고급 SUV를 타고 다닌다는 소문을 들은 이모들의 수다 장면으로 시작한다. 광고에서는 현실적인 대화, 뒷담화, 익숙한 ‘아줌마 어투’가 유쾌하게 전개되며 시청자에게 웃음을 자아낸다. 광고에서는 투싼 N라인 하이브리드의 외관 디자인과 기술력도 효과적으로 부각됐다. 유려한 카메라 무빙을 통해 대담한 차체 라인과 넓은 내부 공간, 혁신적 기술 요소들을 세련되게 표현했다는 평가다. 이번 캠페인은 현대차와 미국 광고대행사 ‘컬처 브랜즈(Culture Brands)’가 공동으로 제작했다. 컬처 브랜즈는 아프리카계 미국 광고회사로, 지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리비안(Rivian)에서 분사한 마이크로모빌리티 스타트업 'ALSO'가 빠르게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며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에 등극했다. ALSO는 신규 투자를 바탕으로 소형 전기 모빌리티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8일(현지시간) ALSO가 그린오크스 캐피탈(Greenoaks Capital)로부터 2억 달러(약 2750억원) 투자를 유치하며 10억 달러(약 1조373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보도했다. ALSO는 리비안에서 분사된 지 약 3개월만에 유니콘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ALSO는 지난 2022년 프로젝트 인더(Project Inder)라는 이름의 리비안 내부 마이크로모빌리티 개발팀으로 시작됐다. 리비안은 지난 3월 이클립스 벤처스(Eclipse ventures)의 1억500만 달러(약 1440억원) 투자를 토대로 해당 팀을 ALSO라는 이름으로 분사시켰다. 리비안은 ALSO의 일부 지분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ALSO의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리비안 미래 프로그램 담당 부사장이었던 크리스 유는 ALSO의 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호주 미니밴 시장을 사실상 ‘장악’했다. 올해 상반기 현지 시장에서 70%를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하이브리드 모델을 내세우며 하반기에도 시장 우위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9일 호주 자동차산업협회(VFACTS)에 따르면 기아 카니발은 상반기(1~6월) 호주 미니밴 시장에서 총 5173대가 판매됐다. 전체 미니밴 시장 판매량(7087대) 중 72.9%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전년 동기(4572대) 대비 13.1% 판매가 상승했다. 기아 카니발은 가솔린·디젤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넓은 실내공간, 안전사양 등을 갖춘 점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추가되며 소비자 선택폭을 넓혔다. 현대자동차 스타리아 역시 상위권을 차지했다. 상반기 565대가 판매되며 2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8%로 집계됐다. 미래지향적인 외관 디자인과 다목적 활용성을 강점으로 앞세운 점이 주효했다. 3위는 포드 신형 투르네오가 차지했다. 376대를 판매, 점유율은 5.3%를 기록했다. 실용성과 편안한 탑승감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어 4, 5위는 렉서스 LM과 폭스바겐 ID.버즈가 차지했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6월 멕시코 자동차 시장에서 '1만대'에 육박하는 판매 실적을 기록하며 '톱5'에 안착했다. 기아는 주력 모델인 K3를 중심으로 현지 맞춤형 프로모션을 앞세워 하반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9일 멕시코 통계청(INEGI)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멕시코 시장에서 총 9410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5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8.1%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8903대) 대비 5.7% 증가한 수준이자 올 들어 '월간 최고' 실적이다.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멕시코에서 4318대를 팔며 9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3.7%를 기록했다. 1위는 닛산이 차지했다. 2만1153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18.2%를 기록했다. 2, 3위는 제너럴모터스이 1만4736대, 폭스바겐 그룹이 1만3194대를 판매하며 차지했다. 점유율은 각각 12.7%, 11.3%로 집계됐다. 이어 △토요타(1만162대·8.8%) △마쯔다(7126대·6.1%) △스텔란티스(6687대·5.7%) △포드(4497대·3.9%) △MG모터(3675대·3.2%) 순으로 나타났다. 기아 실적은 준중형 세단 K3이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4909대가 판매됐다. 이는 브랜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차가 현대모비스와 손잡고 멕시코 북부에 신규 부품 물류센터를 개소했다. 급증하는 현지 차량 수요에 대응해 부품 배송 속도와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리고 효율적인 물류망 구축에 속도를 낸다. 8일 기아차 멕시코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이달 초 누에보레온주 살리나스 빅토리아에 위치한 현대모비스 물류시설에 새로운 부품 물류센터(PDC)를 오픈했다. 이 센터는 멕시코 북부권 고객과 딜러에 하루 이내 부품을 배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초기에는 몬테레이와 수도권 딜러 6곳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기아차는 현대모비스가 운영 중인 '리디스트리뷰션 센터(ReDistribution Center)' 내에 전용 공간을 마련해 입주하는 형태로 물류 인프라를 활용했다. 기아차와 현대모비스의 멕시코 현지 협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멕시코주 쿠아우티틀란에 위치한 기아차의 기존 물류창고도 현대모비스의 전국 유통망을 일부 연계해 운영 중이며, 이번 북부 센터는 양사 간 협력의 연장선이다. 총 2500㎡ 규모의 물류센터는 약 2300개 부품을 저장할 수 있다. 회전율이 높은 품목 위주로 분류 체계가 설계됐다. 출·입고 동선은 독립적으로 구성됐고, 품질 관리 프로토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상반기 누적 판매 12만 대를 넘겼다. 올해 기아 '중국 턴어라운드’가 기대되고 있다. 8일 기아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悦达起亚)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2만65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2.7% 증가한 수준이다. 기아의 지난 상반기(1~6월) 누적 판매량은 12만1407대로, 전년 동기(10만9589대) 대비 73.1% 수직 상승했다. 지난 1월과 2월 각각 1만7902대와 1만5671대를 판매하며 1만대 판매에 머무르던 기아는 △3월 2만2949대 △4월 2만2155대 △5월 2만2075대를 판매, 4개월 연속 평균 2만대에 달하는 판매고를 기록하고 있다. 실적 반등의 주된 배경으로는 가성비와 상품성을 동시에 갖춘 주력 모델이 꼽힌다. 신형 스포티지는 파노라마 선루프,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12.3인치 듀얼 디스플레이 등을 기본 탑재하며 상품성을 높였다. EV5 역시 1회 충전 시 최대 720km 주행이 가능한 장거리 모델임을 앞세워 고급 전기 SUV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EV5·EV3가 호주 전기차 시장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2025 상반기 베스트셀링카 순위 '톱4'와 '톱10'를 차지했다. 기아는 테슬라와 중국산 모델이 주도하던 현지 시장에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앞세우며 소비자들의 많은 선택을 받고 있다. 8일 호주 연방자동차산업협회(FCAI) 등에 따르면 기아 EV5는 상반기(1~6월) 호주 시장에서 2765대를 판매, 전기차 순위 4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5.9%를 기록했다. 기아 EV3는 같은 기간 1153대를 판매, 10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2.4%다. 1위는 테슬라 모델 Y가 차지했다. 총 1만431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22.1%를 기록했다. 2, 3위는 BYD 실라이언7과 테슬라 모델 3가 차지했다. 각각 3756대(8.0%)와 3715대(7.9%)를 판매했다. 이어 EV5·EV3를 제외하고 △MG4(2268대, 4.8%) △BYD 아토3(1854대, 3.9%) △지리 EX5(1845대, 3.9%) △BYD 씰(1609대, 3.4%) △BYD 돌핀(1337대, 2.8%) 순으로 이어졌다. 기아 EV5와 EV3는 가격 경쟁력과 실내 공간, 디자인 등에서 강점을 드러내며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상반기 미국에 이어 캐나다 시장에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으며, 기아는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8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현대차 캐나다법인(제네시스 포함)은 지난 상반기(1~6월) 7만676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6만6008대) 대비 16.3% 증가한 수준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1만560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1만3194대) 대비 18.3% 급증한 수치다.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연속 판매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 실적은 베뉴와 엘란트라, GV80등 주력 모델이 견인했다. 지난달 베뉴는 전년 동월 대비 110.6%, 엘란트라 75.1%, GV80 105.6% 각각 수직 상승했다. 제네시스는 지난달 790대를 판매, 브랜드 출범 이래 월간 기준 최고 판매고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41%에 달했다. 기아 역시 지난 상반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기아는 5만302대를 판매, 전년 동기 대비 11.4% 두 자릿 수 성장했다. 지난달 판매 역시 역대 최고인 1만295대를 판매했다. 스포티지가 1만1860대 판매,
[더구루=김예지 기자] 영국 항공사 버진 애틀랜틱(Virgin Atlantic)이 장거리 노선 전 기종에 스페이스X(SpaceX)의 스타링크(Starlink) 기반 무료 기내 와이파이를 도입한다. 이는 영국 항공사로는 처음으로 스페이스X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사례다. 버진 애틀랜틱은 스타링크 와이파이를 활용해 프리미엄 고객 경험 강화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현지시간) 항공 전문 매체 아비아시온라인(Aviacionline)에 따르면 버진 애틀랜틱은 오는 2027년까지 장거리 운항 전 기종에 스타링크 위성 기반 와이파이를 도입한다. 이 와이파이는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한 무선 인터넷이다. 항공기 내에서도 영상 통화, 스트리밍, 업무 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속도를 지원한다. 특히 해당 서비스는 전 좌석 등급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이번 투자 계획은 버진 애틀랜틱의 고객 경험 개선 전략의 일환이다. 이외에도 버진 애틀랜틱은 보잉 787-9(Boeing 787-9) 기종의 객실을 최신 사양으로 전면 교체하고 프리미엄 좌석 비중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런던 히드로와 뉴욕 JFK 공항의 라운지 개편, 오픈AI와의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의 K2 전차 추가 수출이 확정되며 한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핵심 방산 파트너로 부상했다. 빠른 납기와 현지화를 앞세워 프랑스와 독일 같은 전통적인 방산 수출국의 자리를 대체하고 유럽의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영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는 8일(현지시간) K2 전차 수출로 한국이 신뢰할 수 있는 공급국임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시기에 나토의 기존 전력과 호환될 수 있는 최신 장비를 납품하며 유럽에서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K2 전차 수출을 한국과 폴란드 모두에 '윈윈(Win-Win)'이 되는 미래 방산 파트너십의 '좋은 선례'로 평가했다. 벤카테쉬 칸들리카르(Venkatesh Kandlikar) 항공우주·방산 애널리스트는 "추가 계약 발표는 양국 관계를 더욱 심화하고 폴란드의 기갑 전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폴란드는 즉각적인 전투 능력을 확보했으며, 한국은 신뢰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로 입지를 굳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유럽이 호평하는 한국의 주요 경쟁력은 현지화다. 현대로템은 폴란드 2차 수출 물량 180대 중 63대를 현지 국영 방산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