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예지 기자] 폭스바겐(Volkswagen)이 독일 내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폭스바겐은 오는 2030년까지 목표한 총 3만5000명 감축분 중 2만5000명 이상에 대한 퇴사에 동의했으며, 이는 전체 목표의 약 70%에 달한다. 이번 구조조정은 폭스바겐이 전기차 시대 전환과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 맞서 경영 효율을 극대화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폭스바겐은 22일 지난 2023년 말 이후 현재까지 이미 1만1000명 이상의 직원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인력 감축은 폭스바겐이 독일 최대 노조인 IG 메탈(IG Metall)과 합의했던 대규모 비용 절감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오는 2030년까지 독일 내에서 총 3만5000개의 일자리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폭스바겐은 자연적 인력 감소, 부분 퇴직 제도, 상호 합의 퇴직 등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토마스 셰퍼(Thomas Schäfer) 폭스바겐 브랜드 총괄은 "인력 구조조정은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볼프스부르크, 엠덴, 츠비카우 등 주요 생산 거점 공장의 평균 운영 비용이 30% 가량 절감됐다"고 설명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사 루시드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독일 렌터카 업체 식스트(Sixt)의 사우디아라비아 법인과 차량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루시드는 이번 계약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공장 완전 가동에 앞서 수요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식스트 사우디아라비아 법인과 계약을 맺고 자사 전기차를 공급하기로 했다. 계약 규모와 공급 대수 등의 내용을 공개되지 않았다. 계약에 따라 루시드의 럭셔리 전기 세단 '에어(Air)'가 식스트의 프리미엄 렌터카 라인업에 투입되며, 향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도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식스트는 공급된 루시드 차량을 자사 프리미엄 렌트 서비스에 투입한다. 루시드 에어 투어링(Touring) 모델은 975.24리얄(약 38만2000원)에 렌트할 수 있다. 기본 1000km의 주행 거리가 포함되며, 195.04리얄(약 7만6500원)을 추가하면 주행 거리를 3000km까지 늘릴 수 있다. 루시드는 이번 계약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AMP-2 공장 본격 가동에 앞서 판매처 확보는 물론 브랜드 이미지 상승 효과도 누릴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 2026년형 팰리세이드 SUV가 북미 시장에서 최고의 영예를 노린다. 2세대 팰리세이드는 상품성과 혁신을 인정받아 권위 있는 '북미 올해의 유틸리티 차량상(North American Utility of the Year™)'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경쟁이 치열한 북미 SUV 시장에서 현대차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현대차 미국법인에 따르면 2026년형 팰리세이드는 북미 올해의 유틸리티 차량상(NACTOY) 최종 후보에 올랐다. 최종 수상자는 내년 1월 14일(현지시간) 디트로이트 오토쇼 미디어 데이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팰리세이드는 30개 후보 모델 가운데 '2026년 베스트' 목록을 거쳐 최종 후보에 올랐다. NACTOY는 미국과 캐나다의 독립적인 자동차 기자 50명이 심사위원단을 구성해 수상 차량을 선정한다. 심사 기준은 △혁신성 △디자인 △안전성 △주행 성능 △운전자 만족도 △가격 대비 가치 등이다. 2026년형 2세대 팰리세이드는 중형 3열 패밀리 SUV다. 세련된 디자인과 동급 최고 수준의 인테리어 완성도를 갖췄으며,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도 탑재됐다. 파워트레인은 자연흡기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확장에 속도를 내며 '지속가능성 로드맵' 실천을 구체화하고 있다.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FPEL TN 풍력발전소(FPEL TN Wind Farm Private Limited)에 2차 투자를 집행, 누적 투자금 38억 루피(약 629억원)를 달성했으며, 지분율을 26%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이는 지난 6월 1차 인수를 완료한 데 이어 5개월 만에 마무리된 후속 투자로, 현대차의 친환경 전력 조달 전략이 본격 궤도에 오른 것으로 평가된다. 21일 HMIL이 인도증권거래소에 제출한 공시 따르면, HMIL은 FPEL TN 풍력발전소에 21억 루피(약 356억원)를 추가 투자하면서 255만8000주의 보통주를 사모 방식으로 배정받았다. 현대차는 지난 6월 1차 1.6억 루피(약 3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이번 2차 투자를 통해 누적 지분율은 26.49%로 확대됐다. 현대차는 이번 지분 확대를 통해 인도 타밀나두 공장의 재생에너지 직접 조달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 FPEL TN은 75MW 규모 태양광 발전소와 42.9MW 규모 풍력 발전소를 운영하며, 전력구매계약(PPA)에 따라 현대차
[더구루=홍성일 기자] 제네시스 브랜드의 고성능 럭셔리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V60 마그마'가 전 세계에 첫선을 보였다. 독립 브랜드 론칭 10년 만에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로 자리잡은 제네시스는 GV60 마그마를 통해 '럭셔리 고성능'이라는 새로운 진화의 장을 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제네시스는 한국시간 21일 오전 2시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개최하고 GV60 마그마를 공개했다. 2023년 4월 뉴욕 제네시스 하우스에서 GV80 쿠페 콘셉트를 선보이며 공개된 마그마 프로그램의 첫 차량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제네시스 GV60 마그마는 월드프리미어와 동시에 실제 출시 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출시 시점은 내년 상반기 중으로 예정돼 있다. 판매가격도 출시 시점에 공개될 예정이다. ◇강렬한 마그마 오렌지 컬러, 스포티함이 극대화된 외관 제네시스 마그마 라인업의 첫 차량인 'GV60 마그마'를 월드 프리미어 전 미리 만나봤다. 처음 본 GV60 마그마는 우선 외장 색상으로 눈길을 끌었다. 전용 키 컬러인 '마그마 오렌지'는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한 임팩트를 가지고 있었다. 물론 GV60 마그마를 구매할 때는 키 컬러
[더구루=홍성일 기자] 브라이언 라토프(Brian Latouf) 현대차·기아 글로벌 최고 안전·품질책임자(Global Chief Safety & Quality Officer, GCSQO·사장)가 미국 국제도로안전협회(ASIRT) 도로안전 기업 리더십상을 수상했다. 라토프 사장은 '안전성 평가 및 조사연구소(STIL)' 설립을 주도한 공적 등을 인정받았다. 20일 ASIRT 등에 따르면 ASIRT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한 연례 갈라 행사에서 라토프 사장에게 2025 도로안전 기업 리더십상을 수여했다. ASIRT는 미국에 본부를 둔 도로 안전 비영리 기구(NGO)로 매년 도로안전 분야에 기여한 기업인을 선정해 상을 수여하고 있다. 라토프 사장은 글로벌 차량 안전 전문가로 지난 2019년 현대차 북미법인 합류 전까지 제너럴 모터스(GM)에서 27년간 근무했었다. 라토프 사장은 지난 2022년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안전 최고책임자에 선임됐으며, 지난 2023년 연말 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했다. ASIRT는 브라이언 라토프 사장이 현대차·기아 합류 후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문화를 구축하는데 역할을 다해왔다고 봤다. 특히 STIL 설립과 '안전을 위한 목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에서 테슬라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Y의 올해 판매 물량이 완판됐다. 일부 모델의 경우에는 3개월 가량 대기가 필요한 상황이다. 내년 초 완전자율주행(FSD·Full Self-Driving) 시스템이 정식 승인되면 판매량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베트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가 토요타에 하반기 이후 줄곧 밀려 판매 격차가 더욱 확대됐다. 그동안 '현대차 VS 토요타'간 양강 구도에서 토요타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베트남자동차제조업체협회(VAMA)에 따르면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은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526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월 대비 22.4% 증가한 수치다. 전체 브랜드 판매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판매는 4만1062대로, 2위를 기록했다. 지난달 현대차 판매는 크레타와 투싼 등 SUV가 견인했다. 크레타는 1022대 투싼이 929대 판매됐다. 이 외에도 △엑센트 609대 △그랜드 i10 362대 △스타게이저 285대 △싼타페 208대 등도 한 몫했다. 토요타는 지난달 베트남에서 7768대를 판매, 1위를 유지했다. 주력 차종인 야리스 크로스와 비오스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토요타 누적 판매량은 5만5894대로, 현대차와의 격차는 1만4832대에 달한다. 지난 9월 말 현재 1만2314대였다는 점은 감안할 때 양사 격차는 더욱 확대됐다. 토요타와 현대차에 이어 포드와 미쓰비시가 누적 기준으로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각각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가 미국에서 플래그십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EV9 GT'의 미국 출시를 유보하기로 했다. 미국 전기차 보조금 폐지로 기아가 현지 전기차 타임 라인을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EV9 GT에 대한 미국 출시를 연기하기로 했다. 기아는 EV9 GT에 앞서 지난달 말 전기 세단 모델인 EV4의 미국 출시도 무기한 연기한 바 있다. 기아가 EV4와 EV9 GT의 현지 판매를 연기한 배경에는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가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7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BBBA'를 통해 지난 9월 30일자로 7500달러(약 1100만원)규모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했다. 9월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던 미국 전기차 판매량이 지난달 부터 급감했다. 실제로 현대차·기아의 미국 전기차 판매량은 9월 대비 5분의 1 토막이 났다. 현대차는 10월 미국에서 전기차를 총 2503대 판매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58.5%, 9월과 비교해서는 77.4% 감소한 수치다. 기아는 같은 기간 1331대를 판매, 전년동기 대비 66.4%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9월 판매량보다는 78.6%가 줄어들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조이슨일렉트로닉스(均胜电子, Joyson Electronics)'로부터 중앙컴퓨팅유닛(CCU)을 조달한다.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 미래 스마트·커넥티드카 전략을 강화하고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중국 금융·증권 전문 매체 '증권스타(证券之星)에 따르면 조이슨일렉트로닉스는 현대차에 CCU 통합 솔루션을 공급한다. 오는 2027년부터 양산해 납품할 예정이다. 정확한 규모의 공급 물량과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조이슨은 지난 9월 익명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 두 곳과 CCU, 스마트 네트워크, 스마트콕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당시 구체적인 고객사명이 언급되지 않았으나 2개 고객사 중 한 곳이 현대차인 것으로 추정했다. CCU는 차량 내 여러 전장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중앙 연산 장치로, 주행 제어 시스템,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을 하나의 고성능 프로세싱 플랫폼에서 관리한다. 자율주행 레벨 2에서 레벨 4까지 지원 가능한다. 차량의 중앙 전자 제어 허브(Central Electronic Control Hub) 역할을
[더구루=김예지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유럽 시장에서 운전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기반으로 ‘드라이버리뷰 커스터머 초이스 어워드'(DriverReviews Customer Choice Awards)를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단순한 제품 성능 평가를 넘어, 실제 운전자 경험을 기반으로 선정돼 한국타이어의 기술력이 재확인됐다는 평가다. 19일 한국타이어 유럽본부에 따르면 한국타이어 고성능 겨울용 타이어 '윈터 아이셉트 에보 3 X(Winter i*cept evo 3 X)'가 '드라이버리뷰 어워드' 겨울 타이어 부문에서 수상했다. 드라이버리뷰 어워드는 유럽 전역 49만 3000건 이상의 검증된 고객 리뷰와 총 11억6000만km 이상의 실제 주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상작을 선정한다. 전문 평가뿐 아니라 일반 운전자들의 실질적인 경험까지 반영하는 객관적 지표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 2021년 이후 꾸준히 수상하며 현지 브랜드 인지도를 다져왔다. 윈터 아이셉트 에보 3 X는 고성능 SUV와 CUV를 겨냥해 개발된 겨울용 타이어다. V자형 프로파일과 3D 사이프 설계로 눈길과 얼음길에서도 뛰어난 접지력과 정교한 제동 성능을 제공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 차세대 XRT(Extreme Rugged Terrain) 차량 개발을 전담할 디자인 스튜디오를 새롭게 조성했다. 북미 오프로드 시장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XRT 라인업의 개발 속도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8일 현대차 미국법인에 따르면 현대미국디자인센터(HDNA)는 최근 캘리포니아주 러셀랜즈 사옥 내에 오프로드 전용 디자인 스튜디오 '더 샌드박스(The Sandbox)'를 구축했다. 디자이너들이 아웃도어 장비와 오프로드 성능 요소를 직접 실험하며 아이디어를 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창의 개발 구역으로, XRT 프로젝트의 콘셉트 발굴과 디자인 연구를 담당한다. 더 샌드박스는 초기 소규모 프로젝트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차량 테스트, 팀 오프로드 체험, 장비·소재 연구까지 가능한 독립 운영 개발 스튜디오로 확대됐다. 디자인 워크스테이션, A/V 장비, 컬러·재질 샘플, 오프로드 장비와 의류 등을 갖춰 디자이너들이 실제 사용 환경을 체험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 샌드박스에서 개발된 첫 결과물은 오는 20일(현지시간) LA오토쇼 '오토모빌리티 LA 2025'에서 공개될 ‘크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