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이 세계 최고 여객선사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최근 유럽 여객선사로부터 신조선 건조 주문을 받으면서 여객선 시장의 입지를 강화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은 지난 3일 유럽 선주인 '맨섬 스팀 패킷 컴퍼니(IoMSPCo, 이하 스팀 패킷)'로부터 1080억원 규모 여객선(RO-PAX) 1척을 수주했다. 계약금액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의 3.61% 규모다. 현대미포조선은 내년 중반 해당 여객선 건조를 시작해 오는 2022년 11월 말 선주에 인도할 계획이다. 선박 취항은 2023년 예정이다. 190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고(最古) 여객선사인 스팀 패킷은 맨섬 정부 소유로 영국과 아일랜드 등에 있는 5개 항구에 운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대미포조선이 이번 수주로 여객선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02년 국내 최초로 부관훼리에 1만7000GT급 '성희'호를 인도한 현대미포조선은 지난 2016년 14년 만에 위동항운유한공사로부터 3만1000GT급 카페리(Car ferry) 1척을 수주하며 카페리 시장에서의 기반을 다져왔다. 특히 국내 최초로 한·중 항로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동국제강 브라질 CSP제철소가 현지에서 인력 채용을 진행한다. 결원으로 인한 수시 채용 개념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동국제강의 브라질 CSP(Companhia Siderúrgica do Pecém, 뻬셍철강주식회사)는 쎄라주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채용 공고를 냈다. 모집 분야는 운전사와 재무전문가, 위험전문가, 내부 감사관, 기계유지보수 전문가, 검사 기술사 등이다. 모두 쎄라주에서 근무하는 조건이다. 지원을 원하면 회사 채용 페이지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브라질 CSP제철소는 장세주 회장이 2001년부터 브라질 고로 사업 진출을 진두지휘하며 브라질 정부 측과 민간 기업의 협력을 이끌어 만든 결과물이다. 동국제강(30%)이 기획하고 세계 최대 철광석 회사인 브라질 발레(50%)와 포스코(20%)가 합작해 설립했다. 동국제강은 2005년 브라질 북동부 세아라주에 투자를 본격화했으며 2007년부터 브라질 발레와 고로 사업 합작에 전격 합의했다. 동국제강은 CSP 프로젝트에 총 54억 달러 규모의 투·융자(자본금 24억 달러 45%, 차입금 30억 달러 55%)를 주도했다. 2012년 착공에 들어가 2016년 6월 고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 국영선사 소브콤플로트와 러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노바텍의 합작사인 스마트 엘엔지(Smart LNG)가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0척을 자국 조선업체인 즈베즈다조선소에 발주한다. 즈베즈다조선소와 기술 제휴를 맺고 있는 삼성중공업도 일감을 확보할 전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스마트 LNG는 지난 3일 즈베즈다 조선소에 아크틱(Arctic)7 LNG 운반선 추가 10척을 주문했다. 정식 계약은 이르면 이달 안에 체결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스마트 LNG의 쇄빙 LNG 운반선 추가 발주로 삼성중공업의 역할론이 덩달아 급부상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이 러시아 즈베즈다조선소와 기술 제휴를 맺고, 선박 공동건조 작업을 진행 중인 터라 즈베즈다의 추가 수주는 곧 삼성중공업의 일감확보를 의미한다. 실제 삼성중공업은 즈베즈다가 추가 수주하는 쇄빙 LNG운반선 10척의 강재절단(스틸 커팅)을 맡게 된다. 또 하부구조물(헐·Hull) 제작도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진행된다. <본보 2020년 2월 17일 참고 러, 내달 쇄빙 LNG선 10척 발주…삼성重 하부구조물 제작 담당> 현재 삼성중공업은 즈베즈다의 설계 파트너가 되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조선소가 한국과 중국 조선소 견제 목적으로 몸집 불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과거 연합전선을 구축했던 조선소끼리도 힘을 합쳐 합작 조선소를 설립,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미쓰이E&S홀딩스는 자회사 미쓰이E&S조선과 츠네이시조선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미쓰이E&S는 지난달 31일 미쓰이E&S조선 지분을 츠네이시조선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내년 10월 거래를 완료하기 위해 오는 연말 전 최종 계약에 서명한다는 계획이다. 양 조선소 합병이 성사되면 일본에서 세번째로 큰 조선그룹이 탄생하게 된다. 현재 쓰네이시조선은 일본에서 4번째로 큰 조선소이며, 미쓰이E&S조선은 8위를 차지한다. 양사는 합병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협력을 강화하고, 상품 비즈니스와 디자인 기능, 연구개발(R&D) 그리고 글로벌 생산 능력 등을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합병이 성사되면 조선 경쟁력 강화는 물론 미쓰이E&S의 경영난 문제도 해결하게 된다. 미쓰이 E&S는 지난해부터 일감 확보 부족으로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리며 대규모 인력 구조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러시아 즈베즈다 조선소와 공동 설립한 조인트벤처(JV) 지분 인수 관련 행정절차를 매듭지었다. 합작사 지분 49% 인수를 위해 러시아 당국에 승인 서류를 제출, 지분 구조문제를 마무리 짓는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러시아 반독점 규제기관 '연방반독점청'(FAS)에 즈베즈다 조선소와 함께 설립한 합작사(Zvezda-SKHI) 지분 49%를 인수하기 위한 신청서를 접수했다. 삼성중공업이 확보하기로 한 합작사 지분을 위한 행정절차를 밟기 시작한 것. 합작사 설립 후 1년이 지났지만 러시아 측의 늦어지는 행절절차로 이제서야 인수 서류를 제출하게 됐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지난 2018년 9월 즈베즈다 조선소와 셔틀탱커 설계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합작회사(JV) 설립을 합의했다. 지분 구조는 삼성중공업이 49%, 즈베즈다 조선소가 51%를 갖는다. JV를 통해 삼성중공업은 즈베즈다 조선소에 선박에 대한 기본설계나 도면을 제공하고, 프로젝트 관리, 품질 보증 등 전체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또 라주리뜨 디자인 뷰로와 공동으로 세부 엔지니어링 도면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고, 러시아 인력에 대한 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연내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을 수주할 전망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 스콜피오 벌커스(Scorpio Bulkers)와 WTIV 1척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사업 규모는 2억6500만~2억9000만 달러(약 3168~3467억원) 수준으로, 최종 계약은 올 4분기 초 진행된다. 계약에는 옵션분 3척이 포함됐다. 확정분 납기는 오는 2023년이다. 스콜피오 벌커스가 대우조선에 WTIV 건조를 의뢰한 건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해상풍력 시장 진입을 위해서다. 발전 가능성이 엿보이자 신조선을 주문해 시장 진출에 나서려는 것. 에마누엘레 A. 라우로 스콜피오 벌커스 최고경영자(CEO)는 "전 세계가 배기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필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해상 바람이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사회에서 이 프로젝트를 세심하게 평가했으며, 이번 사업으로 주주들에게 더 높은 수익률과 예측 가능한 수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스콜피오 벌커스만 WTIV에 눈독을 들이는 건 아니다. 노르웨이 아르네 블리스타드의 석유회사 오프쇼어 헤비 트랜스포트(OHT)는 중국 조선사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의 석유·가스 전문기업 카스피안 선라이즈(Caspian Sunrise)가 한국 컨소시엄이 만든 시추선을 인수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카스피안 선라이즈는 시추선 '잠빌 시추선'(Caspian Explorer)호 인수 관련 주주승인을 받았다. 잠빌시추선은 지난 2013년 한국석유공사와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한국기업 컨소시엄의 기술로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된 바지 타입(Barge Type) 잠수식 시추선이다. 천해(shallow water) 해역에서 최대 6000m 깊이까지 굴착할 수 있다. 카자흐스탄 잠빌광구의 지분참여 조건으로 2005년 2월 시추선 건조 합의 후, 2008년 10월 시추선 건조 합의서 체결에 따라 건조하게 됐다. 잠빌광구등 카스피해 북부지역의 얕은 바다의 시추시장을 목표로 했다. 시추선은 지난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카자흐스탄 에르제조선(Ersay shipyard)에서 약 1억 7000만 달러로 추정되는 공사비를 들여 조립(assemble)됐으며, 의장(아웃핏)까지 합하면 약 2억 달러가 투자됐다. 의장은 선체가 진수된 후 조타·항해·통신·조명 등 배의 운용에 필요한 모든 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전세계 상반기 수주량이 전년과 비교해 절반으로 감소한 가운데 올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수주량이 8척에 불과했다. 이 중에서도 대우조선해양과 중국 후동중화조선그룹 단 2곳만 8척을 품에 안으면서 저조한 LNG운반선 수주 실적을 올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조선업계가 올 1월부터 6월까지 총 8척 LNG운반선을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주처를 살펴보면 8척 계약 중 전통 사양의 LNG 운반선은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의 자회사인 페트로차이나(PetroChina)와 중국 코스코시핑(Cosco Shipping)이 유조선 계열사인 CSET(Cosco Shipping Energy Transportation)가 발주한 17만4000CBM급 3척이 전부다. 나머지 5척은 특정 무역과 프로젝트 사업을 위해 특화된 선박들로, 그 중 2척은 페트로나스(Petronas)와 용선계약을 맺고, 일본 케이 라인(K Line)이 발주한 7만9960CBM급 메드맥스(Medmax) LNG운반선이다. 다른 1척은 일본 선사 몰(MOL, Mitsui OSK Line)이 발주한 초대형 부유식 LNG 저장·재기화 설비(FSRU)인 것으로 알려졌다. 2
[더구루=길소연 기자] 올 상반기 전세계 선박 수주량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코로나19로 인한 해운시장 불황, 불확실성으로 인한 선주들의 관망세 확대, 제한된 선박 금융 등의 원인으로 수주량이 급감했다. 1일 영국 선박가치평가기관 배슬스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상반기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600만CGT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과 비교해 51% 감소한 수치다. 국가별 수주량을 살펴보면 한국과 중국은 약 40% 감소했고, 일본은 60% 줄었다. 중국은 전체 수주량 중 51%를 확보했으며, 한국은 25%를 차지하면서 나란히 점유율 1, 2위를 기록했다. 척수 기준 올해 상반기 발주를 가장 많이 한 선주 국가는 중국, 일본, 그리스, 노르웨이, 싱가폴 순이며, 한국은 6위에 랭크됐다. 상반기 수주량 중 선종별로는 지난해 수주 호황이 기대됐던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과 컨테이너선 그리고 자동차운반선 일감이 반토막났다. 이들 선박들은 상대적으로 스팟용선 시장 규모가 작아 장기적인 계약 없이는 선사들의 투기성 발주 경향이 낮다. LNG운반선 수주가 크게 없던 국내 조선업의 상반기 수주량은 중국에 비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성적을 냈다. 지난해 국내
[더구루=길소연 기자] KSS해운이 현대중공업에서의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2척 건조를 위한 대출을 확보했다. 지난달 초 금융 조달 마무리 단계였는데 최근 대출을 확정지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KSS해운은 국내 금융기관들(financial institutions)으로부터 해당 선박금융을 조달했다. KSS해운이 대출을 제공한 상대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한국해양진흥공사(KOBC)와 KDB산업은행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KSS해운은 "해운업 관련 대출에 대해 조심스러워하고 꺼려하는 지역 은행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며 "정부가 국내 해운업 지원에 적극적이지만 예산 부족으로 인해 지원이 선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선박금융 지원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앞서 KSS해운은 지난달 초 1월과 2월 2차례에 걸쳐 현대중공업에 발주한 8만4000CBM급 VLGC 2척 관련 1520억원 규모의 선박금융계약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알린 바 있다. 당시 해당 선박금융에는 국책은행 2개사와 시중은행 1개사 그리고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박금융은 해운회사가 자기자금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어려울 경우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돈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삼호중공업이 노르웨이 '선박왕'이 주문했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그리스 선사에 인도했다. 당초 해당 선박은 노르웨이 '선박왕' 존 프레드릭센(John Fredriksen)이 10억 달러를 투자해 발주했으나 2018년 그리스 선사 플렉스 LNG(Flex LNG)가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삼호중공업이 건조 중인 LNG선 5척을 인수하면서 주인이 바뀌었다. 다만 플렉스도 존 프레드릭센이 운영하고 있어 사실상 건조 계약은 변함없다. 존 프레드릭센은 △프론트라인 △골라LNG △플렉스LNG △시탱커스 △골든오션 △시드릴 등 대규모 선사들을 거느려 선박왕으로 불린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은 그리스 플렉스(FLEX) LNG사에 건조한 17만4000입방미터(CBM)급 LNG 운반선 '플렉스 오로라'를 인도했다. 이는 지난 2018년 수주한 계약분 이행이다. 앞서 현대삼호중공업은 존 프레드릭센으로부터 LNG 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선박은 프랑스 선박 설계 전문업체 GTT의 LNG화물창 마크 III 플렉스(MARK III Flex) 시스템과 WinGD(Winterthur Gas & Diesel)의 X-DF 저압 이중연료 엔진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중공업의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6척 수주가 임박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글로벌 에너지회사 로열더치쉘(Royal Dutch Shell, 쉘)과 정기 용선계약을 체결한 다수의 선주사들로부터 10억 달러(약 1조원)이상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최대 6척 수주 계약을 논의 중이다. 현재 협의중인 단계로 아직 선박 사양과 인도 기한은 공개되지 않았다. 수주 규모는 최대 1조원 규모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LNG 운반선 신조선 가격이 17만4000㎥급 기준으로 척당 1억9000만 달러(약 2225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6척 수주가는 최대 11조4000만 달러(약1조3500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앞서 쉘은 현대중공업에 추가 LNG선 옵션 6척 선표를 예약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 논의는 당시 옵션분 발행이다. 쉘은 지난해 말부터 조선소 선표를 예약하고 선주들과 용선사업 관련 논의를 추진하는 등 신규 LNG선 확보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수주에 성공할 경우 올해 세운 수주 목표액 달성률이 높아인다. 현대중공업그룹 조선3사(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현대삼호중공업)는 상반기 누적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증강현실(AR) 글래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국에서도 AR 글래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와 양자컴퓨터 등에 이어 '미중 기술 전쟁'의 전선이 AR글래스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AR글래스 제조업체 로키드(Rokid)는 3분기 중 49그램(g) 초경량 AR글래스를 출시한다. 로키드는 "새로운 AR글래스가 가벼운 무게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능 탑재하고 있다"며 "아이웨어 기업인 '볼론'과 협력해 일상생활에서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로키드 AR 글래스에는 퀄컴의 AR 전용 칩인 '스냅드래곤 AR1'이 탑재됐다. 또한 자체 개발한 '도파관(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됐다. 도파관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온 빛의 회절과 반사를 활용해 사용자가 보는 글래스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술로, AR 글래스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또한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을 연동한 강력한 AI 기능도 탑재됐다. 로키드는 해당 AR 글래스가 사물인식은 물론 번역, 실시간 내비게이션, 알람 등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2년 전 출원한 특허가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전자모터에 희토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담고 있어서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며 테슬라처럼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려는 완성차 업계의 움직임이 거세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wccftech'는 최근 테슬라의 특허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특허는 '선택적 보자력 조절을 위한 슬릿형 자석 및 그 방법(Slitted magnet for selective coercivity, and methods thereof)'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2023년 10월 31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출원됐다. 영구자석에 작은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 특정한 첨가물을 주입하고, 자기력과 반응 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담고 있다. 그동안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네오디뮴계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 금속이 필수적이었다. 네오디뮴계 자석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알려졌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