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두바이인터넷시티(DIC)와 협력을 강화, 한국 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한다. DIC는 20일(현지시간) NIPA와 글로벌 IT분야 성장을 위한 혁신, 기업가 정신 육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20일(현지시간)까지 진행된 GITEX 글로벌 2023에서 체결됐다. MOU체결식에는 허성욱 원장과 DIC를 이끌고 있는 테콤그룹 아마르 알 말릭 커머셜 총괄 부사장이 참여했다. NIPA와 MOU를 체결한 DIC는 두바이 디자인 디스트릭트, 사이언스 파크, 미디어 시티, 스튜디오 시티, 프로덕션 시티 등을 포함하는 테콤그룹의 비즈니스 지구 포트폴리오 중 일부다. DIC는 지역 최대 기술 허브로 20년 이상 두바이의 디지털 혁신 전략을 주도해왔다. 현재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캐림 등 포춘 500대 기업과 중소기업 등 3000개 이상의 기업이 입주해있으며 2만90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근무하고 있다. 이번 MOU체결에 따라 NIPA와 DIC는 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DIC 생태계에 한국 IT기업과 전문가들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산업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DIC관계자는 "혁신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이 투자한 미국의 AI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유니버설 뮤직 등으로부터 저작권 침해로 피소 당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의 의료기술 기업 브레인노믹스(Brainomix)와 스위스의 원격 수술로봇 기술 회사 나노플렉스 로보틱스(Nanoflex Robotics)가 뇌졸중 수술용 인공지능(AI)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알토스벤처스가 투자한 베트남 이커머스 스타트업 킬로(Kilo)가 사업 중단을 선언했다. 구체적인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시장 경쟁 과열이 원인이 됐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이 투자한 미국의 AI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인공신경망을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찾아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잔디깎기, 물걸레청소, 수영장청소 등 허드렛일을 수행하는 가정용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레이트 리서치(Straits Research)의 전세계 가정용 로봇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가정용 로봇 시장은 연평균 20.7% 성장해 2030년에는 307억달러(약 41조4500억원) 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가정용로봇은 자율 서비스 로봇의 하위 클래스에 위치하는 로봇으로 수영장 청소, 바닥 청소, 잔디깎기 등의 허드렛일을 수행한다. 또한 오락, 교육, 간호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국제로봇연맹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까지 가정용 서비스 로봇은 4860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정용 로봇 시장의 성장 요인은 자동화된 가전제품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선진국의 인건비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뽑힌다. 또한 전염병 영향과 관련된 안전 문제의 증가도 가정용 로봇 시장 성장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주거용, 상업용 건물 청소 인력의 인건비는 연간 2만7000달러지만 청소로봇의 구입 비용은 2만5000달러에 불과하다. 기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해 11월 챗GPT의 출시로 전세계에서 큰 관심을 모은 생성형AI 열풍이 미국에서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등 산업의 성장세가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실리콘밸리무역관은 '미국 생성형 AI, 새로운 시장 개척' 보고서를 통해 미국 내 생성형AI 산업 현황 등에 대해서 다뤘다.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의 기반이 된 GPT모델은 2017년 구글의 기술논문 'Attention is all you need'에서 시작됐다. 이 논문에서 구글은 트랜스포머 모델을 소개했다. GPT의 T는 트랜스포머를 뜻한다. 트랜스포머 모델은 문장 내 단어들의 관계를 추적해 연광성을 찾고 문맥을 학습하는 뉴럴 네트워크로 데이터의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해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게 됐으며 학습 속도가 빨라 우수한 모델 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됐다. 생성형AI 열풍의 시초인 챗GPT는 현재 B2C영역을 넘어 B2B영역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오픈AI는 지난 8월 28일 기업용 챗GPT 엔터프라이즈 업그레이드 버전을 출시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 내에서는 생성형 AI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스타트업들도 성장하고 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토스그룹 산하 고급 컴퓨팅 기업 '에비던(Eviden)'과 독일 모듈형 슈퍼컴퓨팅 기업 파텍(ParTec)으로 구성된 컨소시업이 유로HPC와 슈퍼컴퓨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최근 미국에서 지속가능성과 가치 소비가 중시되면서 가장 뜨겁게 관심받고 있는 분야가 재판매((Resale) 시장이다. 미국 소비 시장을 주도하는 Z세대에게 재판매 시장이 관심을 받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되며 성장 날개를 달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코트라로스앤젤레스무역관은 지난달 27일 'AI 기술과 함께 성장하는 미국 재판매시장' 보고서를 통해 미국 중고판매 시장과 AI기술의 도입 현황과 미래에 대해서 다뤘다. 재판매 시장이란 말 그대로 중고제품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한다. 기존의 중고거래는 개인 간 거래를 지원하는 이베이 등을 통해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포쉬마크, 디팝, 트레데시, 오퍼업 등 재판매시장 플랫폼이 등장해 거래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상품의 수집과 보관에서부터 재판매를 위한 사진 촬영, 가격 책정, 리스팅, 상품 발송 및 물류 등 모든 과정을 기업에서 직접 처리하는 '중고품 위탁 판매(Consignment)'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위탁 재판매 플랫폼 '뜨레드업(ThredUp)'에 따르면 2022년 미국의 중고판매 시장 규모는 약 390억 달러였으며 이는 2027년 전체 의류 소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 의료영상기기 업체 나녹스(Nano-X IMAGING LTD)가 미국의 의료장비업체 바렉스 이미징(Varex Imaging Corporation)과 계약을 부품 공급 체결했다. 나녹스는 바렉스와 함께 시장 확대에 나선다. 나녹스는 3일(현지시간) 바렉스 이미징과 제조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바렉스는 향후 나녹스의 디지털 X-선 기술을 활용한 X-선 튜브를 공급하게 된다. 나녹스는 이번 계약이 수개월간의 테스트를 완료한 후 체결됐다고 덧붙였다. 나녹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바렉스에 X-선 튜브를 공급받는 대신 향후 스캔당 수익을 기준으로 수수료를 지불할 계획이다. 또한 모든 나녹스 아크 시스템 중 일정 비율에 바렉스 X-선 튜브를 장착한다. 나녹스는 반도체 기반 디지털 엑스레이로 주목받는 스타트업이다. 반도체 기반 디지털 엑스레이는 필라멘트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기존 엑스레이를 반도체 나노 특성을 활용한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는 차세대 의료 장비 기술이다. 이미지 선명도는 높이고 장비 가격은 10분의 1 수준인 대당 1억원으로 낮춰 경쟁력을 확보했다. 나녹스는 향후 AI 기술을 추가해 이미지 캡처부터
[더구루=홍성환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미국 공군과 파트너십을 확대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교육현장 전반에 생성형AI가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일본정부는 생성형AI 기술을 도입하는 가운데 한국 AI기업들의 일본 민간 교육 시장 진출이 기대된다. 3일 코트라도쿄무역관은 '생성형 AI, 일본에서는 지금?' 보고서를 통해 일본 교육현장에 불고 있는 생성형AI 도입 바람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정부는 생성형AI를 활용해 공공은 물론 민간 교육방식의 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생성형AI 도입이 교사의 일하는 방식을 개선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봤다. 생성형AI 도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는 것은 일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사회 구현 정책이다. 해당 정책의 일환으로 일본정부는 초, 중, 고 교육현장에 학생 1인당 1대의 ICT단말기 보급과 초고속 대용량 통신네트워크 구축 등의 내용을 담은 '기가(GIGA) 스쿨 구상: Global and Innovation Gateway for All'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기가 스쿨 구상 도입 3년차를 맞아 일선 교육현장에서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에 대한 활용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주요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에 나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제품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다. 일각에서는 규제에 의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실드AI(Shield AI)가 차세대 AI 기반 무인 스텔스 전투기를 한국 판매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실드AI는 유사시 한반도 연안 도서를 방어하는데 차세대 무인 수직이착륙(VTOL) 스텔스 전투기 'X-뱃(X-BAT)'의 탁월한 능력이 발휘될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