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소형화, 모듈화를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초고진공(XHV) 기술을 개발했다. 아이온큐는 더 컴팩트해진 진공 시스템을 앞세워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온큐는 차세대 이온 트랩 진공 패키지 시제품을 완성했다. 아이온큐는 소형 이온 트랩 진공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는 최첨단 초진공 조립 체임버도 만들었다. 아이온큐는 초전도 방식을 활용하는 구글, IBM, 리게티 등과 다르게 이온 트랩 기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다. 초전도 방식은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상대적으로 오류율이 높고, 초저온 상태 유지를 위한 비용이 많이 든다. 아이온큐의 이온 트랩 방식은 양이나 음의 전하를 가지고 있는 원자를 전기장과 레이저로 제어하는 양자컴퓨터 기술이다. 이온은 같은 원자를 가지고 있다면 물리적 특성이 거의 동일해 안정적이면서 균질한 큐비트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다른 방식보다 오류율이 낮을 뿐 아니라 초저온 상태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온 트랩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초고진공, 무진동 환경을 구축, 안정적인 통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아이온
[더구루=홍성일 기자] 박관호 위메이드 회장의 경영 일선 복귀 후 첫 대작 게임인 레전드 오브 이미르가 출시됐다. 지난해 박관호 회장 복귀 이후 흑자전환에 성공한 위메이드가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위메이드는 20일 PC와 모바일 플랫폼에서 레전드 오브 이미르를 출시했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출시 첫날 구글플레이 인기 게임 1위에 올랐다. 애플 앱스토어에서는 매출 순위 4위에 오르며 괜찮은 스타트를 끊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첫 날 이용자들이 평가한 구글 평점도 5점 만점에 4.6점을 기록했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으로, 북유럽 신화 세계관 속 9000년마다 반복되는 세상의 종말 '라그나로크'가 일어나기 전까지의 이야기를 담았다. 위메이드는 레전드 오브 이미르에 △북유럽 신화 특유의 거친 감성을 표현한 진중한 아트 △전투 스타일과 무기에 따른 클래스 4종 △타격감과 과정에 중점을 둔 전투 시스템 △자동과 수동 플레이로 즐기는 다채로운 콘텐츠를 구현해 색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박관호 회장이 대표이사로 경영 일선에 복귀한 이후 처음으로 선보이는 대작 타이틀
◇니즈퍼샌드 니즈퍼샌드가 블록체인 디파이(De-fi) 메신저 토마톡(TomaTok)을 원스토어에 론칭했다. 토마톡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채팅 메신저로, 음성을 텍스트로 전환해 대화할 수 있는 '음성 인식 기능'이 탑재됐다. 또한 80개국 언어를 지원, 실시간 번역 서비스도 제공한다. 니즈퍼샌드는 그룹 채팅 번역 서비스도 지원된다고 설명했다. 프리콜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로 연결되는 음성 통화 서비스로 기록이 남지 않는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솔라나 계열 토큰 서비스와 블록체인 토큰 UX/UI도 지원한다. 니즈퍼샌드 관계자는 "토마톡은 조만간 AI 기능을 탑재해 전세계 다양한 이용자들에게 암호화폐 자산 관리 및 챗 서비스 등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앱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구글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 앱 등록 심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곧 다운로드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무랩스 블록체인 기술 기업 나무랩스가 2월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나무랩스는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웹3 전환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에 무료 전문가 상담을 제공하고, 상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별 프로모션에는 △웹3 전문가와의 1:1 무료 상담, 기
◇SK텔레콤 SK텔레콤(SKT)과 하나은행이 공동 운영하는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2기' 프로그램 데모데이가 개최됐다. 프로그램 참가 스타트업들은 6개월간의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투자 유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선다. SKT는 18일 을지로 T타워에서 AI(인공지능)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2기 데모데이를 열었다.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2기 프로그램은 지난해 하반기 운영됐다.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2기에는 1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15개 AI 스타트업이 참가했다. 해당 스타트업들은 6개월간 사무공간, 기술 멘토링, 투자 유치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받았다. 참가 스타트업은 △코넥시오에이치 △필상 △메사쿠어컴퍼니 △웍스AI △루센트블록 △브이터치 △에임인텔리전스 △툰스퀘어 △루시드랩 △엑스엘에이트에이아이 △큐빅 △썸테크놀로지스코리아 △앤트 △올거나이즈코리아 △인핸스 등이다. 데모데이에서 참가 스타트업들은 7분간 피칭을 진행했다. 브이터치는 스마트폰 조작 없이 음성으로 AI를 제어하는 음성인식 반지 '위즈퍼링'을 시연했고, 툰스퀘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3관왕 수상 성과를 발표했다. 큐빅은 '진짜 같은 가짜 데이터'
◇데브시스터즈 데브시스터즈의 협동액션 게임 '쿠키런: 모험의 탑'이 일본 정식 출시를 앞두고 비공개시범테스트(CBT)를 시작했다. 데브시스터즈는 21일부터 내달 3일까지 11일간 CBT를 실시하고 이용자들에게 피드백을 적극 수렴, 게임 완성도를 높인다는 목표다. CBT 중에는 스토리 모드와 레이드 모드, 유리미궁, 탑의 균열 등 핵심 콘텐츠가 제공된다. 쿠키런: 모험의 탑은 높은 현지화 완성도를 요구하는 일본 시장에서 최적의 게임 서비스와 현지화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요스타(Yostar)와 일본 지역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으며 지난 달 15일부터 현지 사전등록을 진행했다. 현지 팬들도 정식 출시를 기다리며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 팬은 "학창시절부터 했던 쿠키런, 3D 액션 장르의 새로운 모습이 정말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다른 팬은 "쿠키가 일본어로 말을 하게 된다니 일본어 버전 계속 기다리고 있었다"며 일본 성우진의 보이스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NHN 엔에이치엔(이하 NHN)은 모바일 게임 '한게임 섯다&맞고'에 최상위 랭킹을 위한 경쟁 콘텐츠인 '독도수호전'과 '독도공방전'을 추가했다. 독도수호전은 한게임 섯다&맞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Sensor Tower)가 APAC(아시아태평양) 어워즈 2024 수상자를 발표했다. 2024년 한국 모바일 게임이 약진하며 중국 게임과 APAC 모바일 게임 시장 양강구도를 형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센서타워는 'APAC 어워즈 2024'를 통해 41개 최고 모바일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번 어워즈에서 한국 모바일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은 총 9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이번 어워즈에서는 지난해 3개 부문에서만 수상을 했던 한국 모바일 게임이 6개 부문에서 수상작을 배출하며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한국 게임은 △쿠키런: 모험의 탑(최고의 액션 RPG, 데브시스터즈) △로드나이(최고의 몰입형 MMORPG, 스마일게이트) △고양이 오피스(최고의 타이쿤 게임, 트리플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최고의 라이브옵스 게임, 크래프톤)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최고의 IP 기반 게임, 넷마블)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최고 불후의 게임, 컴투스) 등이다. 한국 게임 외에도 중국 게임이 6개 부문에서 수상작을 배출했으며 일본 3개, 인도와 베트남이 각각 1개 부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독자 개발한 72비트 초전도 양자 컴퓨터 '오리진 우쿵(本源悟空)'이 가동을 시작한 이후 2000만명이 넘는 방문자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딥시크를 앞세운 인공지능(AI)에 이어 양자컴퓨터 분야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초전도 양자 컴퓨터 오리진 우쿵의 원격 방문자 수가 2000만 건을 넘어섰다. 오리진 우쿵은 가동 이후 총 33만9000개 양자 컴퓨팅 작업을 수행했다. 지난해 6월 발표된 자료에서는 총 방문자수 800만명, 양자 컴퓨팅 작업은 18만 건이 진행됐었다. 오리진 우쿵에 대한 접속은 총 139개 지역에서 이뤄졌으며 미국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외에도 오리진 우쿵에 많이 접속한 나라는 러시아, 일본, 캐나다 등이었다. 오리진 우쿵은 중국 최초의 양자컴퓨터 상용화 기업 오리진 퀀텀(Orign Quantum·本源量子)이 개발한 3세대 초전도 양자 컴퓨터다. 오리진 퀀텀은 2017년 설립됐으며 2020년 6큐비트 1세대, 2021년 24큐비트 2세대 양자컴퓨터를 공개한 바 있다. 오리진 우쿵에는 72개의 계산 큐비트와 126개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동일본여객철도주식회사(이하 JR 동일본)가 네이버의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ZEPETO)에 가상세계를 구축했다. 제페토는 일본 내 기업, 공공기관, 지방정부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생태계를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JR 동일본은 20일 제페토에 오리지널 월드 '겟 트레인(GET TRAIN)'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겟 트레인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역들을 제페토 상에 구현한 것으로, 이번 출시에서는 도쿄 순환철도인 야마노테선에 위치한 역들이 업데이트됐다. JR 동일본은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역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겟 트레인에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역 곳곳에 떨어져 있는 에너지 박스를 모으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용자는 목표를 달성하면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에너지는 가챠 존에서 아이템을 뽑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획득한 아이템은 아바타에 장착할 수 있다. JR 동일본은 향후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JRE 월렛'과 겟 트레인을 연동해 특전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제페토는 네이버제트가 운영하는 2차원 아바타 중심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제페토는 2018년 출시 이후 국내를 비롯해 미국·프랑스·일본 등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기업 피규어AI(Figure AI)가 차세대 비전언어행동(VLA·Vision Language Action) 플랫폼을 공개했다. 오픈AI와 결별한 이후 독자적인 AI 휴머노이드 개발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피규어AI는 20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를 위한 VLA 플랫폼인 '헬릭스'를 소개했다. VLA는 로봇이 시각적 입력과 언어적 지시를 통합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델을 말한다. 이는 로봇의 자율성과 적응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규어AI 소개 자료에 따르면 헬릭스는 전신 상체를 제어하는 최초의 VLA 모델이다. 손목과 몸통, 머리, 개별 손가락을 포함해 휴머노이드 상체 전체를 고속·연속으로 제어한다. 또 두 로봇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최초의 VLA다. 헬릭스가 탑재된 로봇은 자연어 프롬프트를 따라 거의 모든 작은 가정용품을 집어 올릴 수 있다. 헬릭스는 또 단일 신경망 가중치 세트를 사용해 작업별 미세 조정 없이 모든 동작을 학습한다. 아울러 완전히 온보드 인베디드 저전력 소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실행하는 최초의 VLA다. 피규어AI는 앞서
[더구루=김병용 기자] 중국 최대 핀테크 기업인 앤트그룹(Ant Group)이 휴머노이드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빅테크들의 참전이 이어지며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판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앤트그룹의 휴머노이드 자회사인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Shanghai Ant Lingbo Technology)'가 본격적으로 인력채용을 시작했다. 앤트그룹은 지난해 12월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를 설립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고 선언했다. 앤트그룹은 초기 자본금으로 1억 위안(약 198억원)을 투입했다. 앤트그룹은 휴머노이드,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 기술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체화지능은 물리적 실체를 가지고 실제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중국 구인구직 플랫폼 '보스즈핀(Boss Zhipin)'에 따르면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는 휴머노이드 로봇 모션 제어, 하드웨어 구조 관련 연구 인력을 모집한다.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는 로봇 모션 제어 직원에게는 최대 104만 위안(약 2억600만원), 하드웨어 구조 부문 직원에게는 최대 112만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미국 미네소타주 로즈마운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인근 토지를 추가로 매입했다. 당장은 새로 매입한 토지를 어찌할지 계획을 세우지는 않았지만 로즈마운트 데이터센터 증설을 준비하고 있는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 자회사인 짐니스트 LLC(Jimnist LLC)는 로즈마운드 데이터센터 인근 80만9000제곱미터(㎡) 부지를 매입했다. 거래 규모는 7000만 달러(약 1000억원)다. 짐니스트 LLC는 미네소타주 세무부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데이터 센터(data center)' 용도로 해당 부지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메타 관계자는 "미래의 사업적 필요에 대비해 토지를 구매한다"며 "현재 해당 토지에 건물을 지을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로즈마운트 시 정부도 "메타가 인수한 토지에 대한 개발 신청을 접수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메타는 현재 로즈마운트에 8억 달러(약 1조1500억원)를 투입해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113만㎡ 부지 위에 건설되고 있는 로즈마운트 데이터센터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메타는 엑셀 에너지(Xcel Energy)와 인프라 구축 계약을 체결하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독일 수처리 기술 기업 세라필텍(CERAFILTEC)에 물 관리 솔루션을 독점 발주한다. 미국에 세계 최대 규모로 AI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 xAI는 세라필텍의 지속 가능한 물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 모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세라필텍에 따르면 xAI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첨단 세라믹 멤브레인 바이오리액터(MBR)를 건설할 예정이다. 올해 내 완공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리액터는 도시 폐수를 재활용해 데이터센터 냉각수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세라필텍은 이를 통해 하루 약 4920만 리터의 생활 폐수를 재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I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과정에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냉각수를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수자원 낭비와 환경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일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형 원자로(SMR) 도입까지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xAI는 세라필텍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 파트너사로 선정했다. 독일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