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7월 인도 내수 시장에서 마힌드라를 제치고 2위를 되찾았다. 기아도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실적을 기록, 상위권을 유지했다. 4일 인도자동차판매협회(FADA) 등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총 4만2661대를 판매하며 브랜드 판매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지난 2월부터 줄곧 4위에 머무른지 약 5개월 만이다. <본보 2025년 7월 2일 참고 현대차, 6월 인도 내수 '3위' 올라…2위 탈환 교두보> 현대차는 전년 동월(4만1331대) 대비 3.2%, 전월(3만9201대) 대비 8.8% 상승했다. 점유율은 13.2%를 기록했다. 기아는 지난달 2만2135대를 판매, 6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6.4%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2만507대) 대비 8% 증가했다. 1위는 13만7776대를 판매한 마루티 스즈키가 차지했다. 점유율 39.6%에 달한다. 3위와 4위는 마힌드라와 타타모터스가 차지했다. 각각 4만1476대(점유율 10.5%)와 3만9795대(11.4%)를 판매했다. 토요타는 2만4777대(7.7%)를 판매, 5위를 기록했다. 현대차 실적은 인도 국민 모델 ‘크레타’가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디지털 지갑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사의 모바일 지갑 애플리케이션(앱)인 '삼성월렛(Samsung Wallet)'의 서비스를 본격 확대하며 현지 소비자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4일 삼성전자 일본 법인에 따르면 이번달부터 삼성월렛에 △JCB 카드 △NTT도코모의 d결제·d포인트 △PGM 포인트를 새롭게 연동했다. 사용자들은 하나의 앱에서 신용카드, QR코드 결제, 포인트 카드, 골프장 예약 서비스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삼성월렛은 지난 2월부터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의 일본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서비스 연동 범위를 점차 확대해왔다. 초기에는 오리코 마스터카드(Orico Mastercard), 페이페이(PayPay), V 포인트(V Point), Ponta 포인트(Ponta Point) 등이 지원됐다. 지난 5월부터는 전일본공수(ANA)와 피치 항공(Peach Aviation)의 현지 항공권도 삼성월렛에 탑재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삼성월렛은 일본 내 스마트폰 제조사 중 처음으로, 일본 최대 QR코드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인 페이페이(PayPay)를 지원한 데 이어 일본 3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일본 닛폰스틸, 인도 JSW그룹과 호주 와일라 제철소 인수에 나선다. 정식으로 제안서를 접수하고 평가 절차를 밟고 있다. 호주를 저탄소 생산의 주요 거점으로 육성하며 현지 정부의 숙원 과제였던 와일라 제철소 재건의 협력자로 나섰다. 호주 철강사 블루스코프(BlueScope)는 4일(현지시간) 포스코와 닛폰스틸, JSW그룹과 국제 컨소시엄을 꾸려 와일라 제철소 입찰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블루스코프 측은 "시가총액 1150억 호주달러(약 103조원), 총 제강능력이 약 1억3000만 톤(t)에 달하는 컨소시엄"이라고 평가하며 "컨소시엄은 와일라를 저탄소 철강 생산의 유망 거점으로 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글로벌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스코는 현지 당국의 제안에 따라 지난달 22일 컨소시엄을 꾸렸다. 지난 1일 마감시한에 맞춰 매각을 주관하는 코다멘타(KordaMentha)에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컨소시엄 비율과 매입 가격 등 세부 사항은 향후 입찰이 진전되면 확정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약 15곳으로 알려졌다. 코다멘타는 소수 업체로 추려 2단계 절차를 밟는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판매되는 전 차종에 걸쳐 대대적인 상품성 개선에 나섰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2.5%p)이 사라지면서 일본·유럽 완성차 브랜드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격 경쟁이 불가피해지자, 제품력 우위를 앞세워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4일 현대차에 따르면 미국법인(HMA)은 현지에서 판매 중인 총 16개 차종 전체 라인업을 업데이트한다. 대상 모델른 △팰리세이드 △아이오닉 9 △아이오닉 6 N △수소차 넥쏘 △아이오닉 6△아이오닉 5 N △아이오닉 5 △산타크루즈△투싼 △싼타페 △코나 △코나 일렉트릭 △베뉴△엘란트라△ 엘란트라 N △쏘나타 등이다. 가장 주목할 모델은 완전 변경된 2026 팰리세이드와 현대차 SUV 아이오닉 9이다. 팰리세이드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과 오프로드 특화 ‘XRT 프로(PRO)’ 트림이 추가됐다. 아이오닉 9의 경우 최대 539km 주행거리와 350kW 급속충전 기능, NACS 단자와 CCS 어댑터 등을 갖췄다. 이들 모델 모두 △보스 14스피커 오디오 △파노라마 디스플레이 등 프리미엄 사양을 적용했다. 아이오닉 6 N과 수소차 넥쏘는 완전 변경 모델로 출시한다. 아이오
[더구루=김예지 기자] LG전자가 방글라데시 란콘그룹(RANCON Group)과 냉난방공조(HVAC) 솔루션 사업 확대에 나선다. LG전자는 동남아시장 오랜 파트너이기도 한 란콘그룹의 현지 유통망을 통해 주거·상업용 HVAC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4일 현지 매체 더데일리스타에 따르면 LG전자는 란콘그룹과 HVAC 사업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LG전자는 파트너십을 통해 현지 고객 맞춤형 에어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룸 에어컨 △산업용 칠러 △가변 냉매 유량(VRF) 시스템 △공기청정기 등을 출시한다. 이 제품들은 인버터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고효율 운영이 가능하다. 일부 모델에는 미세먼지·유해물질 제거에 효과적인 고성능 미립자 공기(HEPA) 필터와 이온화 공기 정화 기술도 탑재됐다. 란콘 그룹은 LG전자의 오랜 파트너로 현지 유통망과 유력 판매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LG전자는 란콘그룹의 영업망과 현지 사업 노하우를 활용해 법인이 없는 방글라데시에서 활발히 사업을 펼치고 있다. 로모 루프 초우드후리(Romo Rouf Chowdhury) 란콘그룹 전무이사는 "에너지 절감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LG와의 협력은 새로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그리스 신생 선사인 카를로바 마리타임(Carlova Maritime)으로부터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척을 수주했다. 올해에만 총 10척의 VLCC를 수주하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는 한화오션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VLCC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카를로바 마리타임은 한화오션에 30만DWT급 VLCC 1척을 발주했다. 신조선은 전통연료 추진방식으로 건조돼 오는 2027년 4분기에 인도될 예정이다. 선가는 1억 2500만~1억 2600만 달러(약 1730억~1750억원) 사이로 알려졌다. 지난 4월 설립된 카를로바 마리타임은 150년 이상 사모스 증기선 회사의 계승회사이다. 5척의 유조선과 2척의 벌크선을 보유하고 있다. 사모스 증기선이 전통적으로 일본 조선소에 신조선을 발주해왔지만 인도 가능일이 늦어 한화오션에 신조 주문했다. 한화오션은 글로벌 해운사들로부터 인정받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VLCC를 수주하고 있다. 올해만 해도 이미 10척의 VLCC를 수주했다. 한화오션이 최근 그리스 대형 선사 차코스 에너지 내비게이션으로부터 VLCC 2척을 수주했다. 지난달에는 스위스 선사 어드밴
[더구루=길소연 기자] 급성장했던 미국 풍력산업이 관세 정치이슈 '역풍'을 맞을 위기다. 미국 풍력시장은 올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91%의 성장을 기록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 법안 통과로 태양광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 혜택 축소·폐지됨에 따라 미국 풍력 산업은 물론 씨에스윈드 등 미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업체들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풍력 에너지 산업은 OBBBA 법안으로 청정에너지 분야 보조금과 세금 혜택이 대폭 삭감됨에 따라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속도가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OBBBA는 세제 혜택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경한다. 오는 2032년까지 운영될 예정이었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30% 세액 공제 혜택을 대폭 축소했다. 2026년부터 연 단위로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2028년에는 아예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는다. 혜택을 누리기 위해선 2026년 전에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 세제 혜택이 사라짐에 따라 기업들의 미국 내 신규 투자나 추가 시설 확장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우려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중공업이 화물선 '달리'호의 교량 충돌 사고 여파로 소송을 당했다. 설계 결함 의혹으로 선주와 선박 관리 업체로부터 피소됐다. 현지 정부의 원인 조사가 끝나기 전에 선주사가 선제적으로 소송을 제기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HD현대도 쉽지 않은 싸움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4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와 '더 마린타임 이그제큐티브' 등 외신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그레이스 오션 프라이빗과 시너지 마린으로부터 소송을 당했다. 양사는 달리와 볼티모어항 '프랜시스 스콧 키 브릿지'의 충돌 사고의 책임을 물었다. 이 사고는 작년 3월 26일 오전 1시 30분경 스리랑카로 가기 위해 항구를 떠난 달리호가 다리를 들이받으며 발생했다. 충격으로 교각이 붕괴했고 다리 위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 6명이 사망했다. 달리호는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해 2015년 인도했다. 그레이스 오션 프라이빗이 달리를 소유해 운영했으며, 시너지마린이 선박 관리를 담당했다. 원고 측은 HD현대중공업에 사고 책임이 있다며 펜실베이니아 동부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구체적으로 선박 내부 전기 공급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오로라 이노베이션(Aurora Innovation, 이하 오로라)이 자율주행트럭의 야간 운행을 본격화한다. 오로라의 자율주행트럭 야간 운행이 24시간 365일 쉬지않고 작동하는 장거리 물류 시스템 구축의 시작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오로라는 야간 자율주행기능에 대한 검증을 마무리하고, 자율주행트럭 야간 운행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오로라는 지난 4월 말부터 댈러스와 휴스턴을 연결하는 I-45 고속도로에서 주간에 상업 자율주행트럭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로라는 야간 운행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오로라 드라이버(Aurora Driver)와 연동되는 퍼스트라이트 라이다(FirstLight Lidar)의 성능을 끌어올렸다. 오로라에 따르면 퍼스트라이트 라이다는 어둠 속에서도 전방 450m 이상 떨어진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인간보다 최대 11초 빠르게 식별이 가능한 능력이다. 오로라 드라이버는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 플랫폼이다. 오로라는 야간 운행 성능 확보로 자율주행 트럭 활용도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봤다. 이에 장거리 노선의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해, 수익
[더구루=길소연 기자]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이 폴란드 국가자산부 차관과 만나 양국간 방산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그동안 K-방산 추가 수출을 위해 '전방위 협력 세일즈전'을 펼쳐온 석 청장은 폴란드 측과 만나 양국 방산 현안은 물론 폴란드 전력 증강을 위한 추가 수출 필요성에 대해 상호 공감대를 형성했다. 4일 폴란드 국가자산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에 석종건 방사청장과 회동 사실을 알렸다. 콘라드 골로타 폴란드 자산부 차관은 "석 청장과 만나 한국 기업의 폴란드 투자와 구매한 무기의 기술 이전을 포함한 국방 협력을 중점 논의했다"고 말했다. 골로타 차관은 외국 파트너로부터의 방위 구매가 폴란드의 경제적 및 기술적 발전과 연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 청장은 이 자리에서 폴란드와 더욱 심층적이고 장기적인 협력을 구축하고자 하는 정부 차원의 지원과 협력 의지를 피력하고,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사업 추진을 가속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석 청장은 △K2 전차 △K9 자주포 △FA-50 전투기 △천무 다연장포 등의 K-방산 폴란드 수출의 방향타 역할을 해왔다. 한국 방산업체의 우수한 방산 역량을
[더구루=김예지 기자] LG전자가 중남미 최대 인프라 프로젝트인 페루 호르헤 차베스 신공항에 500대 이상의 첨단 공조시스템을 공급하며 글로벌 사우스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효율·고성능 제품군을 앞세운 이번 대규모 공급은 LG전자의 중남미 B2B 사업 확대 전략의 핵심으로, 병원·상업시설·산업단지 등 다양한 프로젝트 수주 확대에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4일 페루 경제 매체 비즈니스 엠프레사리알(Business Empresarial)에 따르면 LG전자 페루법인은 호르헤 차베스 신공항에 첨단 공조시스템을 대규모로 공급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탑승교 △램프 △사무실 △기술실 △승객 프로세싱 구역 등 공항 주요 시설 전반에 걸쳐 이뤄졌다. 우선 LG전자는 프리미엄 중앙공조 시스템을 공급했다. 공급 제품은△멀티 V5 △멀티 V S 벽걸이형 △멀티 V S 천장형 △4방향 카세트형 △패키지형 유닛 △팬코일 등으로 구성됐다. LG전자는 현지 공항의 운영 여건과 다양한 공간 구조를 고려해 직팽식(Direct Expansion)과 냉수식(Chilled Water) 시스템을 혼합 적용해 에너지 효율성과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고사양 제품군에는 고효율 팬, 친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