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이 인공지능(AI)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 조기 경고 시스템을 개발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초기 인지를 통해 막대한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미국 국립표준기술원과 외신에 따르면 NIST 소속 와이 청 '앤디' 탐 연구원(Wai Cheong "Andy" Tam)은 시안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협력해 AI를 활용한 배터리 화재 조기 경보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배터리 화재 발생 최대 2분 전 화재 발생을 경고한다. 연구팀은 배터리 화재 조기 경고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고 발생을 막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배터리 화재 조기 경고 시스템은 와이 청 '앤디' 탐 연구원이 배터리 폭발 영상을 분석하던 중 독특한 소리를 들으면서 개발이 시작됐다. 와이 청 '앤디' 탐 연구원은 배터리가 발화하기 전 '딸깍'하는 독특한 소리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분석결과 해당 소리는 화학 반응으로 배터리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하드
[더구루=정등용 기자] 소형모듈원자로(SMR) 업체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가 내달 워런트 상환을 진행한다. 자본 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유료기사코드] 뉴스케일파워는 오는 12월19일 오후5시 액면가 주당 0.0001달러인 클래스A 보통주를 매입하기 위해 발행된 모든 워런트를 워런트당 0.01달러에 상환한다고 지난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뉴스케일파워는 지난 2020년 11월23일 작성된 워런트 계약에 따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스프링밸리어퀴지션 코퍼레이션(Spring Valley Acquisition Corporation)과 워런트 대리인인 콘티넨탈 스톡 트랜스퍼 앤 트러스트 컴퍼니(Continental Stock Transfer & Trust Company)가 상환 통지서를 미상환 워런트의 등록 보유자에게 전달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워런트 보유자는 상환일까지 워런트당 11.5달러의 행사 가격을 지불해 보통주를 받을 수 있다. 상환은 주식 매도 가격 조건을 충족한 후 이뤄지며, 30일 기간 내 20개 거래일 동안 주식이 주당 18달러를 초과해야 한다. 미행사 워런트는 상환일 이후 모두 무효화 된다. 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행동주의 공매도 투자자 케리스데일캐피탈(Kerrisdale Capital)이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오클로(Oklo)의 기업가치가 크게 부풀려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는 2027년 첫 소형원전 가동 목표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고 지적했다. [유료기사코드] 케리스데일은 20일(현지시간) 오클로 공매도 보고서를 발간하며 "오클로의 투자 사례는 거의 모든 측면에서 회의적이다"고 밝혔다. 케리스데일은 "오클로는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은 설계도 없고 수년간 수익도 없으며 계획된 10~50㎿e 마이크로리액터에 대한 입증된 상업적 실행 가능성도 없다"면서 "핵 관련주에 대한 관심만으로 주가가 300% 급등한 화제주(Story Stock)인 오클로는 수백 개의 원전 운영자가 되기 위한 노력에서 엄청난 기술적·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클로는 전형적인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방식으로 제품 상횽화에 필료한 시간과 자본을 크게 과소평가해 부풀려진 단위 경제를 기반으로 시장에 상장했다"면서 "3분기 실망스러운 실적으로 주가가 크게 하락했지만 이후 석유회사 최고경영자(CEO)이자 오클로 이사회 멤버인 크리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IBM과 AMD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인프라 강화를 위해 협력을 확대한다. AMD는 엔비디아에 이어 데이터센터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IBM는 AMD와 인스팅트 MI300X AI 가속기 도입계약을 체결했다. IBM는 이번 계약으로 기업용 생성형 AI 모델,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 성능 및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다. 계약에 따라 AMD는 인스팅트 MI300X AI 가속기를 IBM 클라우드에 공급한다. IBM은 공급받은 가속기를 자체 AI모델 왓슨x(watsonx)와 데이터 플랫폼에 통합한다. 이를통해 왓슨x의 성능 강화와 클라우드 사업 확대를 동시에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IBM에 공급되는 AMD 인스팅트 MI300X는 CDNA3 아키텍처 기반의 XCD(Accelerated Compute Die) 8개와 192GB 용량의 HBM(고대역폭메모리)3 메모리를 갖추고 있다. 데이터센터 AI와 고성능컴퓨팅(HPC)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같은 서버에서 더 많은 LLM을 실행할 수 있어 전력과 투자비, 운영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AMD는 지난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새로운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출시했다. 엔비디아는 새로운 제품을 앞세워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세계 최대 규모 슈퍼컴퓨팅 기술 전시회 '슈퍼컴퓨팅(SuperComputing, 이하 SC)24'서 'H200 NVL PCle GPU'를 공개했다. SC24는 미국 컴퓨터 학회(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산하 컴퓨터 학회(Computer Society, CS)가 198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연례 슈퍼컴퓨터 전시회로 고성능컴퓨터(HPC) 관련 최신 기술이 전시된다. 이번에 공개된 H200 NVL PCle GPU는 호퍼(Hopp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된 GPU다. 엔비디아는 H200 NVL PCle GPU가 AI, HPC용 저전력 공랭식 기업용 랙 디자인을 찾는 조직들에 이상적인 제품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H200 NVL PCle GPU는 기존
[더구루=홍성환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의 아버지' 샘 알트만 오픈AI 창업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레인AI(Rain AI)의 신규 투자 유치에 발 벗고 나섰다. AI 칩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독점 체제를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샘 알트만은 레인AI 신규 투자 라운드 협상에 참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투자자와 만나 레인AI 투자를 설득하고 있다. 레인AI는 기업가치 6억 달러(약 8400억원)를 목표로 1억5000만 달러(약 2100억원) 규모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를 추진하고 있다. 알트만은 앞서 지난 2022년 2500만 달러(약 350억원) 규모 시리즈A 라운드에서 100만 달러(약 14억원)를 투자한 것으로 전해진다. 2017년 설립한 레인AI는 AI 반도체 스타트업이다. 인간 두뇌 기능을 복제하도록 설계된 신경망처리장치(NPU) 칩을 개발하고 있다. 프란시스코 오픈AI 본사에서 1㎞가량 떨어진 곳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업체는 방대한 정보를 서버 메인 메모리에 보관하는 대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인메모리 컴퓨팅 기술을 통해 전력 소비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 항공사 루프트한자가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선다. 인공지능(AI),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루프트한자는 2028년까지 관리직의 20%를 감축할 계획이다. 감축 규모는 400명 가량이다. 루프트한자는 인력 감축 명목으로 해고는 진행하지 않는다. 대신 퇴직, 이직 등 자연감소를 통해 인력 감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루프트한자는 인력 감축 발표와 함께 관리직 부문 채용을 중단했다. 루프트한자가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선 것은 실적 악화 때문이다. 루프트한자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9% 감소했으며, 2026년에는 8억 유로(약 1조1744억원)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루프트한자의 실적 악화는 높아진 비용, 중국 저가 항공사들의 공세 등이 원인으로 뽑힌다. 루프트한자는 인력을 감축하는 부문에 대해서는 AI·자동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특히 프랑크푸르트·뮌헨 공항 관제 업무에도 AI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폭스바겐에 이어 루프트한자까지 인력감축에 나서자 AI와 자동화의 확산이 기업들의 일자리 축소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며 우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애플페이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온라인 간편 결제 기능에 힘을 싣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애플이 애플페이 생태계 확대를 통한 수익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플레이트(Plates)'라는 제목의 새로운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는 접시 컬렉션을 수집하는 여성이 빈자리에 들어갈 접시를 인터넷에서 발견, 결제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특히 영상에서는 애플 페이의 간편 결제 기능을 이용해 접시를 1초 만에 결제하는 모습이 강조됐다. 새로운 애플의 영상은 광고 제작업체 핀치(FINCH)와 협업을 통해 제작됐다. 감독은 핀치 소속의 영상 감독 닉 볼(Nick Ball)이 맡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광고가 애플페이 간편 결제 편리성을 강조, 신규 이용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시장조사기관 PYMNTS 인텔리전스(PYMNTS Intelligence)는 애플페이 10주년 분석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애플페이를 통한 추가 수익 확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PYMNTS 인텔리전스는 애플이 향후 5~10년 내에 애플페이를 통한 수익화에 나설 가능성
[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홀딩스가 미국 자회사 아쿠쉬네트(Acushnet) 판매 호조에 힘입어 함박웃음이다. 아쿠쉬네트가 휠라홀딩스 실적 개선을 주도하는 효자 자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휠라홀딩스가 지난 3분기 올린 매출은 1조494억58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늘어났다. 아쿠쉬네트 매출이 8.4% 증가한 8441억600만원을 기록한 데 힘입어 휠라 매출이 소폭 감소했음에도 휠라홀딩스 전체 실적은 개선됐다. 아쿠쉬네트가 타이틀리스트(Titleist) 브랜드를 통해 선보인 골프용품 판매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 3분기 타이틀리스트 골프채 매출은 18.2% 증가한 2억1390만달러(약 3060억원), 타이틀리스트 골프장비 매출은 8.2% 늘어난 5160만달러(약 720억원)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 8월 타이틀리스트 GT메탈(GT Metal) 라인 골프채 신제품을 출시하고 신규 수요 창출에 적극 나선 아쿠쉬네트의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타이틀리스트 GT메탈 라인 골프채 신제품 GT2·GT3·GT4 등은 우수한 비거리, 뛰어난 디자인 등이 호평받으며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엔비디아(Nvidia)의 양자처리장치(QPU) 플랫폼 '쿠다-Q(CUDA-Q)'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기술을 선보였다. 아이온큐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토대로 양자컴퓨팅 기술의 상업적 이용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1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규모 슈퍼컴퓨팅 기술 전시회 '슈퍼컴퓨팅(SuperComputing, 이하 SC)24'에서 업계 최초로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 워크플로를 시연했다. SC24는 미국 컴퓨터 학회(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산하 컴퓨터 학회(Computer Society, CS)가 198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연례 슈퍼컴퓨터 전시회로 고성능컴퓨터(HPC) 관련 최신 기술이 전시된다. 이번 시연은 아이온큐 포르테(IonQ Forte) 양자컴퓨터와 아이온큐 하이브리드 서비스 제품군, 엔비디아 쿠다-Q 및 A100 텐서코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결합해 진행됐다. 아이온큐는 이번
[더구루=홍성환 기자] '비트코인 빚투'로 유명한 미국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가 약 2조4000억원 규모 자금조달에 나섰다. 비트코인 매입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17억5000만 달러(약 2조4000억원) 규모로 선순위 무담보 전환약속어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만기는 2029년 12월이고, 금리는 0%다. 특정 조건에 따라 2026년 12월 일부·전액 현금 상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조달한 자금을 활용해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전 세계에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이다. 이 회사의 공동 창업자 마이클 세일러 회장은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분산) 수단으로 2020년부터 비트코인을 매수해 왔다. 처음엔 회사 운영자금으로 사들였고, 이후에는 주식이나 전환사채를 발행한 돈으로 비트코인을 적극 사들였다. 2020년 중반 이후 비트코인 가치가 약 700% 급등하면서 이 회사의 주가는 2500% 이상 급등했다. <본보 2024년 10월 8일자 참고 : '비트코인 큰손'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AI 모델에서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핵 관련 정보 제공을 차단했다. 앤트로픽은 미국 안보기관과 협력해 내년까지 해당 시스템의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지난 4월부터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가핵안보국(NNSA)과 협력해 거대언어모델(LLM) '클로드'에서 이용자들이 위험한 핵 관련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위험한 핵 관련 정보에는 핵무기 제조를 비롯한 핵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NNSA는 레드팀을 구성했다. 레드팀은 앤트로픽이 서비스 하는 모든 LLM에서 핵 에너지 사용 방법을 검색해 악용할 수 있는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앤트로픽은 NNSA 레드팀이 클로드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활용했으며 레드팀은 내년 2월까지 테스트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앤트로픽은 테스트의 성격을 고려, 결과는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앤트로픽은 테스트 이후 관련 기관과 결과를 공유하고 자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앤트로픽 관계자는 "이번 테스트는 프런티어 A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