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NH투자증권이 베트남 투자 인력을 충원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증시 성장세가 빠른 국가 중 하나로 향후 국내 증권사들의 미래 먹거리 시장으로 평가 받는다. NH투자증권 베트남법인(NHSV)은 20일(현지시간) 투자 컨설턴트 채용 공고를 내고 하노이 본사에 근무할 인력 충원에 나섰다. 채용 공고에 따르면 투자 컨설턴트는 투자자에게 베트남 주식시장의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조언하는 역할을 한다. 목표는 고객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효율성과 수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NH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은 채용 인원에 대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 교육을 지원하는 한편 직무와 관련된 교육비도 부담할 예정이다. 또한 경력 개발 및 발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우수 직원을 뽑아 한국 본사로 파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의 이번 베트남 인력 채용은 현지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NH투자증권은 이미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베트남 시장 공략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1일 NH투자증권 베트남법인은 AI 핀테크 기업 퀀팃(Quantit)과 베트남 금융 투자 시장 확대 및 투자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벤처캐피털(VC) 알토스벤처스가 기업용 통신관리 소프트웨어 업체 라이트이어(Lightyear)에 투자했다. 라이트이어는 21일 3100만 달러(약 430억원) 규모 시리즈B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알토스벤처스가 주선했다. 릿지벤처스, 앰플로, 지그캐피탈, 수사벤처스 등이 투자했다. 라이트이어는 2019년 설립한 기업용 통신관리 소프트웨어 개발사다. 이 회사의 통신 운영체제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조달, 재고 관리, 청구서 지급을 간소화·디지털화한다. 알러요가, 팔로알토네트워크, 파이브가이즈, 판도라주얼리, 텔레닥 등 전 세계 300여개 기업이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 중이다. 라이트이어는 "기업의 통신관리 문제는 수십 년 동안 이어져 온 과제로 데이트 투명성, 워크플로 표준화, 디지털화 등의 부족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알토스벤처스는 한국계 미국인 한킴(한국명 김한준) 대표가 지난 1996년 설립한 VC다. 알토스벤처스는 초기 단계인 시드와 시리즈A 투자에 집중한다. 특히 투자한 기업의 후속 투자유치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의 대출잔액이 2000조 동(약 111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BIDV의 대출 증대 노력과 베트남 중앙은행(SBV)의 지원 정책에 따른 결과란 분석이다. 21일 BIDV에 따르면 9월말 기준 고객 대출잔액은 1953조 동(약 107조원)에 이른다. 2024년 BIDV의 월평균 대출 증가액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5개의 소형 은행의 월평균 증가액을 합친 것보다 높은 수치다. BIDV의 이러한 성장세를 감안할 때 올 연말까지 목표치인 2000조 동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성과엔 BIDV의 대출 증대 노력과 베트남 중앙은행의 지원 정책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중앙은행은 20024년 초부터 15%의 신용 성장 목표(대출증가율)를 설정하고 성과를 이룬 은행에 대해선 신용 한도를 스스로 확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대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3분기 말 기준 경제 전반의 신용 성장률은 9%에 도달했다. 연간 목표치인 15%도 실현 가능할 것이라고 중앙은행 총재는 밝혔다. BIDV에 이어서는 비엣틴뱅크와 비엣콤뱅크가 각각 160
[더구루=정등용 기자] 소형모듈원자로(SMR) 업체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가 내달 워런트 상환을 진행한다. 자본 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유료기사코드] 뉴스케일파워는 오는 12월19일 오후5시 액면가 주당 0.0001달러인 클래스A 보통주를 매입하기 위해 발행된 모든 워런트를 워런트당 0.01달러에 상환한다고 지난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뉴스케일파워는 지난 2020년 11월23일 작성된 워런트 계약에 따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스프링밸리어퀴지션 코퍼레이션(Spring Valley Acquisition Corporation)과 워런트 대리인인 콘티넨탈 스톡 트랜스퍼 앤 트러스트 컴퍼니(Continental Stock Transfer & Trust Company)가 상환 통지서를 미상환 워런트의 등록 보유자에게 전달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워런트 보유자는 상환일까지 워런트당 11.5달러의 행사 가격을 지불해 보통주를 받을 수 있다. 상환은 주식 매도 가격 조건을 충족한 후 이뤄지며, 30일 기간 내 20개 거래일 동안 주식이 주당 18달러를 초과해야 한다. 미행사 워런트는 상환일 이후 모두 무효화 된다. 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그룹의 기업벤처캐피털(CVC) 삼성벤처투자가 스웨덴 이퓨얼(e-Fuel) 스타트업 리퀴드윈드(Liquid Wind AB)에 투자했다. 클라스 프레드릭슨 리퀴드윈드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삼성벤처투자와 독일 최대 가스기업 유니퍼로부터 4400만 유로(약 650억원)를 조달했다"면서 "해운산업을 위한 친환경 연료 생산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7년 설립한 리퀴드윈드는 베스트라예탈란드주(州) 얘테보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퓨얼 스타트업이다. 특히 해운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오는 2027년 스웨덴에 첫 번째 이메탄올 공장을 가동할 계획이다. 이후 북유럽 지역에 9개 시설을 추가로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연간 최대 10만t의 이메탄올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재생합성연료라고도 불리는 이퓨얼은 일반적으로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만든 연료를 뜻한다. 수소는 전기분해로, 탄소는 포집저장기술로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나온 수소를 이산화탄소와 결합·가공해 휘발유, 경유, 항공유 등을 얻을 수 있다. 업계에서는 이퓨얼 시장 규모는 2030년 하루 13만배럴에서 2050년 2
[더구루=정등용 기자] LG가 컨택 센터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크레스타(Cresta)에 투자했다. 크레스타는 기존 제품군을 두 배 늘리고 차세대 가상 에이전트를 빠르게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크레스타는 19일(현지시간) 월드 이노베이션 랩(WiL)과 QIA가 주도한 시리즈D 라운드 자금 조달을 통해 1억2500만 달러(약 1740억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LG그룹 기업형 벤처캐피탈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액센츄어 △엔비엑스 캐피털 △퀄컴 벤처스 △워크데이 벤처스 등과 함께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이번 라움드에 참여했다. 이 밖에 △앤드리슨 호로위츠 △그레이록 파트너스 △JP모건 △세쿼이아 캐피탈 △타이거 글로벌이 재투자자 자격으로 함께 했다. 이로써 크레스타는 총 2억7000만 달러(약 3760억원) 이상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크레스타는 컨택 센터를 위한 엔드투엔드 생성형 AI 플랫폼을 지원하고 있다. 실시간 인사이트와 행동 모범 사례를 발견해 인간 상담원 전반에 걸쳐 성공적인 행동을 확장하는 동시에 가상 상담원을 활용,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전세계 다양한 기업들이 크레스타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북미의 선도적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톤브릿지벤처스와 롯데벤처스 등 국내 벤처캐피털(VC)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엣지 인공지능(AI) 프로세서 개발사 아나플래시(ANAFLASH)에 투자했다. 아나플래시는 20일 시리즈A 자금조달 라운드 일환으로 신규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국내 대표 VC 스톤브릿지벤처스가 주도한 이번 펀딩에서 △롯데벤처스와 △신성델타테크 산하 L&S벤처캐피탈 △플러그앤드플레이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아나플래시는 올해 말까지 시리즈A 라운드를 마감할 예정이다. 조달한 자금으로 배터리 구동 스마트 엣지 디바이스용 비휘발성 AI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아나플래시는 삼성전자·HGST·SK하이닉스에 근무했던 송승환 최고경영자(CEO), 삼성전자 출신 김시환 최고제품책임자(CPO)가 지난 2017년 공동 설립한 회사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본사가 있고, 한국법인(세미브레인)을 두고 있다. 아나플래시가 개발한 임베디드 비휘발성 메모리 IP '로직-이플래시(EFLASH)'는 장치가 비활성 상태일 때도 전력 소비 없이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과 달리 추가 마스크 없이 로직 공정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자산운용이 미국 유타주 경제사절단과 회동했다. 유타주 경제사절단은 투자 유치를 위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펜서 콕스 유타 주지사를 중심으로 한 경제사절단은 최근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경제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한국 금융사 중에선 한화자산운용이 유타주 경제사절단과 만남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유타주 경제사절단은 투자 유치를 위해 유타주가 가진 사업 환경과 투자 강점 등을 설명했다. 유타주 경제사절단은 유타주에 위치한 20개 기관 소속 47명의 인원으로 구성됐다. 최근 인도 태평양 지역의 핵심 시장이자 유타주 기업에게 큰 잠재력을 지닌 한국과 일본에 대한 무역 협력을 성사시키기 위해 이번 만남을 추진하게 됐다. 유타주 경제사절단은 이번 방문에서 119건의 산업 토론, B2B 미팅, 지역·국가 지도자들과의 라운드 테이블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관계 강화부터 신흥 분야 개척에 이르기까지 향후 수년간 유타주 비즈니스와 산업에서 미래 성장과 성공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구축했다고 자평했다. 이에 앞서 콕스 주지사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두 사람은 △항공 우주 △생명 과학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의 지분 5% 이상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X는 19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뉴스케일파워 지분 5.63%(551만4289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기관 투자자 가운데 세 번째로 많은 지분율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뱅가드가 7.71%(779만2646주)로 기관 투자자 가운데 가장 지분율이 높고, 미래에셋글로벌ETFs홀딩스가 5.54%(559만8729주)로 그 뒤를 잇는다. 글로벌X는 이 회사가 운용 중인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인 우라늄 ETF를 통해 뉴스케일파워에 투자하고 있다. 9월 30일 기준 이 ETF의 순자산가치(NAV)는 최근 1년간 12.29% 상승했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을 받아 SMR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뉴스케일파워의 SMR은 1기당 77㎿의 원자로 모듈을 최대 12대 설치해 총 924㎿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재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인증 절차를 진행 중으로 내년 중으로 승인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나오기 전 시점인 올해 3분기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루시드 주식을 대거 매각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으로 전기차 보조금 폐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전기차 업체 주가는 폭락한 상황이다. 19일 미국 데이터 제공업체 핀텔(Fintel)에 따르면 블랙록은 올해 3분기 루시드 주식 217만1966주를 매각하면서 지분을 4.8% 줄였다. 이로써 블랙록은 3분기 말 기준 루시드 주식을 4305만6832주 보유하게 됐으며 약 1억5200만 달러(약 2117억원) 규모다. 2분기에는 4522만8798주를 보유한 바 있다. 블랙록은 지난 3년 동안 루시드 주식을 총 3600만주 늘렸으며 지난해 4분기에는 4900만주를 넘어서며 정점을 찍었다. 올해 4월부터 6월에도 루시드 주식 439만주를 늘렸으며,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과 루시드의 합병이 이뤄졌던 지난 2021년에도 759만주를 인수했다. 그해 말에는 루시드 주식을 1260만주 이상으로 늘렸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으로 루시드 주가는 연초 대비 약 52% 폭락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 인수팀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금융그룹 SBI홀딩스가 사우디아라비아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투자에 나선다. 19일 일본 경제지 니혼게이자이(닛케이)에 따르면 SBI홀딩스는 최대 1억 달러(약 1400억원) 규모로 사우디아라비아 생명공학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운용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SBI홀딩스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벤처캐피털(VC)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앞서 지난 5월에는 현지 VC BIM벤처스와 사우디아라비아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해 중장기 발전 계획인 '비전 2030'을 추진 중이다. 이는 사우디 경제의 석유 의존을 줄이고 경제 구조를 다양화하며, 보건의료·교육·인프라·레크리에이션·관광을 증진하는 전략적 국가 진화 계획이다. 비석유 부문 수출을 2016년 16%에서 2030년 50%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암호화폐 플랫폼 분사를 추진한다. 암호화폐를 가치저장 수단으로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는데다 친(親)암호화폐 성향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는 18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의 디지털자산 글로벌 책임자인 매튜 맥더못의 발언을 인용해 골드만삭스가 암호화폐 플랫폼을 분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플랫폼은 분사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상품을 만들고 거래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맥더못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플랫폼의 기능을 확장하고 새로운 상품을 도입하기 위해 잠재적 파트너와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이다. 전자 거래 플랫폼인 트레이드웹 마켓이 새로운 법인의 전략적 파트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맥더못은 분사 계획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규제 당국의 승인에 따라 향후 1년에서 1년6개월 이내에 관련 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맥더못은 “업계가 소유하는 것이 시장의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며 암호화폐 플랫폼 분사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맥더못은 지난 7월에도 암호화폐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미국과 유럽에서 세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아이온큐'로 꼽히는 양자컴퓨터 기업 인플렉션(Infleqtion)이 미국 증시 상장에 시동을 걸었다. 자본력을 강화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인플렉션은 9일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 처칠캐피털과 합병 계약을 맺었다. 인플렉션은 기업공개(IPO)에서 기업 가치 18억 달러(약 2조5000억원)로, 5억4000만 달러(약 7500억원)를 조달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공모 일정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현재 처칠캐피탈 신탁 계좌에 보유된 현금은 4억1600만 달러(약 5800억원) 수준으로, 나머지 1억2500만 달러(약 1700억원)를 충분히 조달할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맷 킨셀라 인플렉션 공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연구·개발(R&D)에서 상용화로 이어지는 여정에서 중요한 변곡점에 도달했으며 증시 상장 도전은 회사의 놀라운 성과를 입증하는 것"이라며 "상용화를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인플렉션은 2000년 설립된 양자컴퓨터 기업이다. 중성원자 방식 양자컴퓨터를 개발 중이다. 이 컴퓨터는 레이저를 이용해 개별 중성원자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와 폭스바겐 그룹 배터리 자회사 파워코(PowerCo)가 전기 모터사이클에 탑재된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연구실 단계를 넘어 실제 차량 구동에 성공한 첫 사례로, 에너지 밀도·충전 속도·안전성·수명·비용 등 핵심 지표에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최근 독일 뮌헨에서 열린 '국제 모빌리티 박람회(IAA Mobility)'에서 전기 모터사이클 ‘두카티 V21L 레이스’에 장착된 전고체 배터리 'QSE-5'를 시연했다. 모터사이클에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QSE-5는 퀀텀스케이프 ‘코브라(Cobra)’ 생산 공정을 통해 제작된 전극 분리막 기반 전고체 배터리다. 844Wh/L의 에너지 밀도를 구현했으며, 10%에서 80%까지 충전을 12분 만에 완료할 수 있다. 또 10C 연속 방전 성능을 갖춰 트랙 주행과 같은 고출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특히 이 배터리 시스템은 아우디와 파워코가 QS 셀 특성에 맞춰 새롭게 설계했으며 최대 980개의 QSE-5 셀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Q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