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전기차 생산 차질의 원인 제공차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사인 일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와 독일 보쉬를 지목했다. 칩 부족에 따른 하반기 실적 악화 우려가 커지면서 양사가 공급량을 늘리도록 압박한 것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지난 11일 트위터에서 "우리는 특정 표준 자동차 칩과 관련한 극도의 공급망 제한 아래 운영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가장 문제가 많은 기업은 르네사스와 보쉬다"라고 밝혔다. 르네사스는 지난 3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을 주로 생산하는 나카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지난달 말에야 정상화했다. MCU는 하나의 집적회로 안에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버스 등 최소한의 컴퓨터 요소를 내장해 만든 초소형 칩이다. 자동차 한 대에 200~300개가 들어간다. 보쉬는 독일 드레스덴에 10억 유로(약 1조3750억원)를 쏟아 차량용 반도체 공장을 지었지만 수급난을 해결하기에 역부족이다. 고객사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미국 포드는 르네사스 공장 화재를 계획된 생산 일정의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폭스바겐은 올 1월 로이터에서 "보쉬를 비롯한 주요 공급사에 손해배상을 청구하
[더구루=정예린 기자] 화웨이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스타트업 지원에 1억 달러(약 1157억원)를 쏟는다. 유망 기업 100여 곳을 발굴해 스타트업을 위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이달 초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동시에 열린 '화웨이 클라우드 스파크 파운더스 서밋(Huawei Cloud Spark Founders Summit) 2021'에서 향후 3년간 1억 달러를 투자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스타트업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스파크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000개의 스타트업 중 최종 100곳을 선발한다.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스리랑카, 베트남 등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지속 가능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외에 △스타트업의 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화웨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설계된 '스파크 핏스톱 프로그램' △스타트업 생태계를 통해 기업 혁신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맞춘 '스파크 혁신 프로그램' △화웨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발자를 지원하는 '스파크 개발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이니셔티브도 실시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이 B737의 엔진 커버 부품 공급사로 터키항공우주산업(TAI)를 선택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오는 2025년부터 TAI로부터 보잉 737 팬 카울(Fan Cowl Doors) 정밀부품을 공급 받는다. TAI가 B737 팬 카울 제작 50%를 담당하고, 나머지 절반은 인도 타타가 생산한다. TAI는 보잉 787 드림라이너 엘리베이터, 화물 차단막, 수평 선단, 737 엘리베이터를 제작하기 위해 이미 보잉과 계약을 맺고 파트너십을 이어오고 있다. 보잉 항공기에 수천 개의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셈이다. TAI로부터 새롭게 공급 받을 카울 도어는 흡입구와 역추력장치(thrust reverser) 사이에 있는 엔진의 팬 케이스 위로 공기역학적인 표면을 제공하고 엔진에 장착된 구성 요소 및 액세서리를 보호한다. 각 엔진 주위에는 두 개의 팬 카울 도어(좌측, 우측)가 있어 엔진 구성 요소 및 액세서리의 서비스 및 유지 관리를 위해 접근할 수 있다. 보잉은 그동안 에어버스로부터 B737 엔진 팬 카울을 공급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에어버스는 지난 2013년부터 스페인에 위치한 공장에서 737 팬 카울을 제작, 납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수소전기차 회사 니콜라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래 수소충전소 연구에 나선다. 수소차부터 충전소까지 생태계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며 사기 의혹을 해소하고 재기에 힘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니콜라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에너지 효율 및 재생에너지 사무소'(EERE)로부터 200만 달러(약 23억원)의 보조금을 획득했다. 수소충전소 연구·개발(R&D)에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니콜라가 연구 중인 수소충전소는 자율 연료 공급 기술을 탑재한 기기다. 대형차 충전에 20분 미만이 소요된다. 빠르고 효율적인 충전을 보장하며 유지·보수 노력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니콜라는 작년 9월 미국과 캐나다 등에 수소충전소 1200개를 짓겠다고 발표했었다. 올해 4월 미국 트럭서비스 업체 TA(TravelCenter of America)와 캘리포니아주에 대형 수소트럭용 수소 충전소 구축에 손을 잡았다. 2023년 1분기 오픈한다. 미 에너지부가 지원을 결정하며 니콜라의 수소충전소 연구·설치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니콜라는 수소 인프라 구축에 매진하며 수소 생태계를 키운다는 방침이다. 니콜라는 올해 4분기 수소전기트럭
[더구루=윤진웅 기자] 나스닥 상장을 앞둔 미국 전기트럭 스타트업 '엑소스'(Xos)가 전기트럭 내구성 테스트를 완료했다. 완성도 높은 제품 생산력을 갖춘 만큼 향후 판매 계약 등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배터리 공급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수주도 늘어날 전망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엑소스는 최근 전기트럭 내구성 테스트를 끝냈다. 내구성 테스트는 미국 인디애나주 뉴 칼라일( New Carlisle)의 자동차 성능 테스트 시험장에서 진행됐다. 엑소스는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드라이버를 투입, 4000마일 이상 주행했다. 특히 일반도로부터 험지 등 통상 수명 주기인 20만 마일을 운행하며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도로 환경을 조성했다. 20만 마일은 자동차 내구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통한다. 보통 연간 1만2000마일을 주행 평균으로 계산해 신차 출고 후 적어도 15~16년 동안 롱런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엑소스는 이번 테스트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속해서 전기트럭 성능을 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엄격한 테스트를 통해 출시 시간을 단축하고 설계 품질을 개선, 신제품에 대한 검증 비용을 절감한다는 방침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도 배터리 기업 '아마라 라자(Amara Raja)'가 약 1조원을 투자해 기가팩토리를 건설한다. 정부가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적극적인 지원에 화답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라 라자는 향후 5~8년에 걸쳐 10억 달러(약 1조 1613억원)를 쏟아 10~12GW 용량의 배터리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연내 투자 계획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도 정부의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제도에도 참여한다. PLI는 인도 정부가 자국 제조업 투자 촉진을 위해 마련한 정책이다. 현지에 공장을 두고 생산량을 늘리는 기업들에게 인센티브 및 보조금 지급, 세금 환급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11월 높은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인도 배터리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화학전지(Advanced Chemistry Cell·ACC) 제조 사업 관련 PLI 정책을 발표했다. 24억5900만 달러(약 2조8571억원) 규모의 예산을 책정, 향후 10년간 생산비 절감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한다. 중앙정부의 보조금 외에 각 주정부도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는
[더구루=김다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이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자 미국의 선도적인 로롯업체 '버크셔 그레이'(Berkshire Gray)의 식료품 피킹 로봇이 인기를 끌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버크셔 그레이는 온라인 당일 식료품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소매업체와 피킹 로봇에 대한 2300만 달러(약 270억원) 주문을 확보했다. 버크셔 그레이는 인공지능 기반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업체로 월마트, 타깃, 페덱스 등 주요 기업고객의 물류창고의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회사는 오는 3분기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상장을 앞두고 있다. 버크셔 그레이는 온라인 주문 매장 픽업, 매장별 주문 온라인 배송 및 식료품 및 편의점 부문에서 중요한 솔루션 모델을 지원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이머커스 시장에서 식료품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하면서 주목도가 높아졌다. 미국 농무부(USDA)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는 식품·식료품에 연간 약 1조7000억 달러(약 2000조원)를 지출한다. 전체 미국 인구의 52%는 오는 2022년까지 디지털 식료품 구매자가 될 전망이다. 향후 온라인 및 모바
[더구루=오소영 기자] 애플이 올해 인도에서 60%의 매출 성장률을 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인도 시장을 잡기 위한 현지화 전략이 강화될 전망이다. 14일 인도 시장조사업체 CMR(CyberMedia Research)에 따르면 애플 인도법인은 2021년 회계연도에 약 30억 달러(약 3조47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 대비 60% 상승이 추정된다. 아이폰 XR과 SE, 11, 12 시리즈 등이 높은 인기를 얻으며 매출이 큰 폭으로 뛰었다. 제품 가격대를 다양화해 저가부터 프리미엄 수요까지 모두 잡았다고 CMR은 분석했다. 애플의 글로벌 매출에서 인도 비중은 약 1%로 미미하다. 인도 시장점유율도 판매량 기준 5% 정도에 불과하지만 가파른 성장세로 인도가 애플의 핵심 생산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애플은 대만 폭스콘, 위스트론과 5년간 3조6000억 루피(약 56조원) 상당의 아이폰 생산 계약을 맺었다. 페가트론은 올 하반기부터 아이폰 생산량을 늘리고자 공장 증설을 추진했다. 라비 샨카르 프라사드(Ravi Shankar Prasad) 인도 통신전자정보기술부 장관은 작년 9월 "애플이 8개 OEM 공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회사 'SVOLT 에너지 테크놀로지(蜂巢能源科技·이하 SVOLT)'가 새로운 공장을 설립한다. 2025년까지 글로벌 생산량을 200GWh 이상으로 늘린다는 목표 하에 공격적인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SVOLT는 중국 난징시 리수이구에 위치한 리수이 경제 기술 개발구(LETD)에 14.6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 시설을 짓고 있다. 7억3000만 유로(약 1조15억원)가 투입된다. 리수이 생산 기지 설립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차로 3억4000만 유로(약 4665억원)을 투자해 6.6GWh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2차에 3억9만 유로(약 5251억원를 들여 부지를 23헥타르(약 23만㎡) 늘리고 8GWh의 생산량을 추가한다. 홍신 양 SVOLT 사장은 지난 6월 열린 LETD와의 서명식에서 "SVOLT는 생산능력을 확장하고 양산 속도를 가속화하는 등 현재 중요한 단계에 서 있다"며 "난징 리수이구와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SVOLT의 생산능력을 더욱 확대하고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시켜 에너지 신산업과 지역 경제 및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SVOLT는 중국 주요 도시와 독일을 중심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브라질 정부가 미국과의 관계 때문에 화웨이를 5G망 구축 사업에서 전면 배제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일부 공공 기관용 네트워크 입찰에서는 제한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파비오 파리아 브라질 통신부 장관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합동위원회(CCTCI) 및 교육위원회(EC)의 청문회에서 5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경매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파리아 장관은 "우리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전쟁 한 가운데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며 "민감한 네트워크가 필요한 정부의 사설망에는 (화웨이 장비 사용이) 제한되지만 광역 네트워크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허용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달 초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을 만나 보안 관련 화웨이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5G 사업에서 배제할 것을 요청했다. 이는 브라질 주재 미국대사관이 트위터를 통해 설리반 보좌관이 파리아 장관과도 만나 사이버 보안 등에 대해 논의했으며 미국이 화웨이의 5G 사업 참여에 대해 강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밝히며 드러났다. 주브라질 중국대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업체 '리 오토'(Li Auto)가 유럽 생산거점 설립을 추진한다. 최근 홍콩증시에 H주를 상장하며 얻은 탄력을 토대로 중국을 넘어 유럽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신옌안(Shen Yanan) 리 오토 사장은 최근 중국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전기차 시장을 뛰어넘기 위한 전략으로 유럽 생산거점 마련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원 오브 뎀'(One of them)이 아닌 '온리 원'(Only one)이 되겠다는 것. 그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려면 중국 소비자들과 다른 니즈를 가진 고객을 사로잡을만한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며 "최근 해외 시장 전담팀을 따로 꾸려 세밀하게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본격적인 전기차 업체의 경쟁은 2025년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10년 뒤인 2035년에 패권을 차지하는 업체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 시앙(Li Xiang)과 함께 리 오토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신옌안 사장은 리 오토의 △미래 전략 △비즈니스 개발 △판매 및 마케팅 △공급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의 전기항공기 회사 '릴리움(Lilium)'의 스팩 합병이 초읽기에 돌입했다. 내달 주주들의 동의를 얻어 합병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퀠 애퀴지션(Qell Acquisition)은 내달 10일(현지시간) 릴리움과 합병을 위한 주주 특별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주주들의 동의를 얻어 3분기 내에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앞서 릴리움과 퀠은 지난 4월 합병 계약을 맺었다. 릴리움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최대 8억3000만 달러에 이르는 자금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릴리움은 다니엘 위간트를 비롯한 엔지니어와 뮌헨기술대 박사과정 학생 4명이 2015년 공동 설립한 신생 전기항공기 회사로 독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는 스타트업으로 꼽힌다. 2017년 이후 2~5인승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시제품을 꾸준히 선보였다. 최근에는 미국 우주항공기업 하니웰과 손잡고 40~200㎞를 주행할 수 있는 7인승 전기항공기 개발해 2024년부터 유럽 및 미국에서 상업운행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지난해에는 중국 IT공룡 텐센트 주도로 2억40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의 자회사인 아이디퀀티크(IDQ)가 유럽 통신업체 콜트 테크놀로지 서비스(Colt Technology Services, 이하 콜트)와 양자 보안 서비스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콜트는 IDQ의 양자 암호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 성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IDQ와 콜트는 최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양사는 기존 광통신망에 대한 양자 보안 솔루션 통합을 모색하기로 했다. 양사는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콜트의 광파 전송망(optical wave network)과 IDQ의 양자 암호화 솔루션을 결합한 새로운 통신 기술을 테스트했다. 해당 시험은 광파 전송망에 양자 키 분배(QKD)와 사전 공유키(PSK), 사후 양자 암호화(PQC) 등 다양한 양자 암호화 기능을 통합, 시연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IDQ는 이번 시험 운영을 통해 QKD 시스템인 '클라비스 XG(Clavis XG)'와 양자 안전키 교환 플랫폼인 '클라리온 KX(Clarion KX)'이 성능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콜트는 이번 시험 결과를 토대로 자사의 네트워크 전반에 IDQ 양자 암호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페이스X의 위성통신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와 아마존의 카이퍼(Kuiper)가 인도 위성통신 장비업체와 첫 계약을 체결했다. 스타링크와 카이퍼의 인도 서비스 출시가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머니컨트롤에 따르면 스타링크와 아마존 카이퍼는 초소형 지구국(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기업과 첫 사업계약을 맺었다. 계약을 체결한 업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인도 VSAT 업체인 휴즈 커뮤니케이션즈(Hughes Communications), 넬코(Nelco), 인마샛(Inmarsat)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VSAT는 지름 0.6m~1.8m 크기의 소형 안테나가 통합된 위성 통신용 지구국으로, 크기가 작고 설치가 간편해 개인도 손쉽게 위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비다. 스타링크와 프로젝트 카이퍼도 소형 안테나로 구성된 별도의 키트를 구매해야하는 만큼, 이번 계약으로 양 서비스는 인도 내 이용자에게 위성 통신 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 업계는 VSAT와의 계약으로 스타링크와 아마존 카이퍼의 인도 서비스 정식 출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