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임플란트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오스템임플란트가 현지 시장을 주도할 핵심 플레이어로 선정됐다. 14일 중국 산업컨설팅업체 공옌망(共研网)에 따르면 올해 중국 임플란트 시장 규모는 111억8000만위안(약 2조5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해(84억위안·약 1조5400억원)에 비해 33%가량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다. 코트라는 △중국 인구 구성 변화 △의료기술 발전 △정부 정책 지원 등을 성장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치아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65세~74세 노인 인구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보건당국이 지난 2017년 발표한 '제4차 중국 구강건강 역학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해당 연령대 중국 노인의 평균 보유 치아 수는 22.5개지만 실제로 기능을 발휘하는 치아 수는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8020(80세 노인이 최소 20개 기능성 치아 보유)’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향후 중국 임플란트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배경이다. 코트라는 중국 임플란트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주요 기업으로
[더구루=한아름 기자] 캐나다 바이오기업 리바이브 테라퓨틱스(이하 리바이브)가 동결건조형 부시라민을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 신종 전염병·희귀 질환 치료제로의 잠재력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리바이브는 캐나다 워털루대학교(University of Waterloo)와 함께 연내 동결건조형 부시라민을 개발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부시라민은 국내에서 종근당과 경동제약 등이 판매하고 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SK바이오팜이 국제 암 학회에 참여하며 영토 확장에 나선다. 미국 연구개발(R&D) 자회사 프로테오반트 테라퓨틱스(Proteovant Therapeutics·이하 프로테오반트)와 함께 분자 표적·항암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분자 표적·항암제는 프로테오반트의 표적단백질분해(TPD) 플랫폼 기술로 발굴됐다. 뇌전증 치료제 연구에 집중하던 SK바이오팜이 항암제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아이슬란드 바이오기업 알보텍의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판매 승인을 불허했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출시 준비 중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동아ST가 반사 이익을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스텔라라 글로벌 매출은 97억2000만달러(약 13조원)를 기록한 블록버스터 약물인 만큼, 시장 일부만 대체해도 막대한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KGC인삼공사 정관장이 글로벌에 청소년 전문 브랜드 '아이패스' 알리기에 팔을 걷었다. 인지력·피로 개선 효과를 알려 아이패스 제품력을 강조할 방침이다. KGC인삼공사 정관장은 12일 글로벌 시장에 아이패스 홍보에 나섰다. 한국 학부모들이 자녀를 위해 구입하는 건강기능식품이라고 소개했다. 두뇌건강·육체피로 등에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학습환경을 개선하고 학업 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이패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억력 개선, 피로개선, 면역력 개선 등 5가지 기능성을 인정받은 정관장 홍삼을 주원료로 한다. 홍삼 유효 성분인 '포스파티딜세린'이 들어 있어 인지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포스파티딜세린은 뇌세포를 구성하는 인지질의 핵심 성분으로, 체내 합성이 불가해 외부로부터 충분히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패스가 학생 전문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 자리잡았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실제 아이패스는 2013년부터 10년간 95만명의 학부모가 구입해 누적 매출액 4000억원을 기록한 대표 청소년 전문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시장 조사기관 닐슨IQ코리아 조사결과 2013년부터 9년 연속 청소년 홍삼
[더구루=이연춘 기자] 셀트리온이 11일(현지시간) 유럽 피부과학회(EADV Congress 2023,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 'CT-P43'의 글로벌 임상 3상 52주 결과를 발표했다. EADV는 유럽의 저명한 피부과학회로 이달 11일에서 14일까지 나흘간 독일 베를린과 온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셀트리온은 이번 학회서 판상형 건선(Plaque Psoriasis) 환자 5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임상 3상 52주 결과를 포스터를 통해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스텔라라 투여군과 CT-P43 투여군으로 나눠 이번 임상을 진행했으며, 스텔라라 투여군은 투여 16주차부터 CT-P43으로 교체 투여 또는 스텔라라 투여 유지 후 52주까지의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임상기간 동안 스텔라라 투여군과 CT-P43 투여군 간 유효성과 안전성에서 유사성을 확인했으며, 스텔라라에서 CT-P43으로 교체 투여 후 52주까지 모니터링한 결과에서도 스텔라라 투여 유지군 대비 유효성이 유사하게 유지됐다. 안전성에서도 임상 기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 시오노기제약이 미국 전염병학회 학술대회 '2023전염병학회'(IDWeek 2023)'에 참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성분명 엔시트렐비르)의 치료 효과 알리기에 나선다. 일동제약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동제약은 지난 2021년 시오노기제약과 조코바에 대한 공동개발에 협약했고 국내 판권을 확보했다. 조코바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12일 시오노기제약에 따르면 오는 15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전염병학회 학술대회에 참여해 조코바의 실제 임상 사례를 발표한다.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뿐 아니라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규제 당국도 이번 학술대회에 참여해 전염병에 관한 연구·치료법을 논의하는 만큼, 조코바 인지도가 제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시오노기제약은 조코바의 시판후 약물 감시 사례 연구(Post-Market Surveillance·PMS)를 발표한다. 실제 일본 의료 현장에서 조코바를 처방하고 쌓인 데이터를 분석해 조코바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알린다. 시오노기제약에 따르면 지난 7월 20일 기준 PMS 연구 결과 1682명의 환자가 등록됐으며, 조코바 투여 후 해열에
[더구루=이연춘 기자] 유한양행이 '신약'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약품과 JW중외제약이 뒤를 이었다. 1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9월 국내 10개 제약사의 신약 관련 포스팅 수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10개 제약사는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유한양행 ▲한미약품 ▲JW중외제약 ▲대웅제약 ▲동국제약 ▲종근당 ▲GC녹십자 ▲휴온스 ▲광동제약 ▲동아제약 등이며 조사시 '제약사 이름'과 '신약' 두 키워드간 한글 기준 15자이내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수도 있다. 유한양행은 지난 9월 '신약' 관련 총 포스팅수가 1,125건으로 나타나며 10개 제약사 가운데 신약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지난 9월 신약 관련 이슈를 살펴본 결과 한미약품은 876건의 정보량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분석 기간 JW중외제약은 신약 관련 포스팅 수가 717건으로 나타나며 관심도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대웅제약이 625건의 정보량으로 뒤를 이었고 동국제약이 331건으
[더구루=한아름 기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헤일리온(전 GSK컨슈머헬스케어) 지분을 매각했다. GSK는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매각을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HK이노엔(HK inno.N)의 숙취해소제 컨디션이 국내 대형 면세점에 모두 입점되며 글로벌 고객과 접점을 넓히고 있다. HK이노엔은 컨디션스틱과 컨디션환이 지난 달 롯데면세점에 입점하면서 신세계면세점, 신라면세점, 현대백화점면세점, 신라아이파크면세점 등 주요 면세점에 모두 입점했다고 11일 밝혔다. 컨디션스틱과 컨디션환은 국내 대형 면세점의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글로벌 고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컨디션스틱과 컨디션환이 입점된 오프라인 면세점은 ▲롯데면세점 명동본점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점 ▲신라면세점 서울점 ▲신라면세점 김포공항점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점 T1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점 T2 ▲신라면세점 제주점 ▲현대백화점면세점 동대문점 ▲현대백화점면세점 무역센터점 ▲신라아이파크면세점 총 11곳이다. 인터넷 면세점은 ▲신세계면세점 ▲신라면세점 ▲현대면세점 ▲신라아이파크면세점 총 4곳에 입점됐으며, 10월 중 롯데면세점에도 입점될 예정이다. HK이노엔 이커머스팀 담당자는 "최근 엔데믹의 영향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고객을 공략하기 위해 컨디션의 면세점 입점을 적극 추진했다"며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스라엘 바이오벤처 바이옴엑스(BiomX)가 낭포성섬유증 치료제 'BX004'의 1b/2a상 파트2 환자에 대한 투약을 완료했다. 종근당과 한독이 해외 바이오 투자에서 성과를 거둘지 관심이 집중된다. 종근당과 한독은 지난 2018년 바이옴엑스에 투자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위스 제약사 노바티스(Norvatis)로부터 스핀오프한 산도즈(Sandoz)가 홀로서기에 나섰다. 유럽에 연구소·공장을 신설해 의약품 경쟁력 및 회사 역량, 공급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에 수혜가 점쳐진다. 산도즈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SB17' 파트너사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주요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에 나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제품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다. 일각에서는 규제에 의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실드AI(Shield AI)가 차세대 AI 기반 무인 스텔스 전투기를 한국 판매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실드AI는 유사시 한반도 연안 도서를 방어하는데 차세대 무인 수직이착륙(VTOL) 스텔스 전투기 'X-뱃(X-BAT)'의 탁월한 능력이 발휘될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