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홀딩스의 파트너사가 지분 투자한 뉴칼레도니아 코니암보 니켈 광산의 운명이 곧 결정된다. 스위스 글렌코어는 이미 투자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니켈 시장까지 암울해 니켈 생산시설의 폐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일(현지시간) 더 칼레도니아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KNS(Koniambo Nickel SAS)는 곧 경영위원회 회의를 열고 뉴칼레도니아 코니암보 니켈 광산 사업장의 폐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당초 이날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미뤄졌다. 내주 프랑스 파리에서 뉴칼레도니아 정부, 현지 니켈 기업 SMSP(Société Minière du Sud Pacifique SA), 글렌코어 등이 회동해 사업 향방을 먼저 논의한 후 뉴칼레도니아에서 다시 회의를 열기로 했다. KNS는 SMSP 51%, 글렌코어 49%로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KNS는 경영난 속에 글렌코어가 발을 빼기로 하며 위기를 맞았다. 글렌코어는 작년 9월 "생산·재무 목표를 달성하고자 수년간 노력했으나 비용 구조와 시장 상황 관련 통제할 수 없는 요인으로 KNS는 상당한 손실을 입고 있다"며 "2024년 2월 29일까지 운영 자금을 제공하겠다고 KNS 이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위스 글렌코어가 호주 갈란리튬으로부터 염화리튬을 구매한다. 매년 아르헨티나 염호에서 추출한 리튬 5400톤(t)을 5년 동안 공급받는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갈란리튬에 따르면 이 회사는 글렌코어와 구속력 있는 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갈란리튬은 옴브레 무에르토 웨스트(HMW) 프로젝트에서 생산한 염화리튬을 공급한다. 공급량은 1단계 투자에 따른 생산량 전량으로 연간 5400t으로 추정된다. 공급 기간은 상업생산 시작일로부터 약 5년이다. HMW는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갈란리튬은 지난 9월 1단계 투자에 착수했다. 2025년 상반기 생산을 목표로 한다. 2단계 개발도 추진해 생산량을 늘린다. 개발 비용을 확보하고자 염화리튬 공급을 대가로 글렌코어로부터 7000만~1억 달러(약 910~1300억원) 상당의 선불금도 받는다. 공급 계약은 양사의 합의 하에 갱신이 가능하다. 후안 파블로(JP) 바르가스 데 라 베가 갈란리튬 매니징 디렉터는 "2025년 상반기 상업 생산을 시작하는 여정에서 매우 중요한 이정표의 달성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글렌코어와의 계약은 프로젝트의 퀄리티와 갈란 팀의 역량·경험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위스 글렌코어가 캐나다 시그마리튬에 친환경 리튬 공급 대가로 상당한 선불금을 지급했다. 전기차 시대를 맞아 전략 광물로 부상한 리튬 시장에 가세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시그마리튬에 따르면 이 회사는 세 번째 '트리플 제로 그린' 리튬 선적에 대해 글렌코어로부터 구매 비용의 절반을 선불로 받았다. 트리플 제로 그린은 △탄소 중립 △유해 화학물질 제로 △광미 제로 등을 실현하며 생산한 친환경 리튬을 뜻한다. 시그마리튬은 지난 4월부터 브라질 공장을 가동해 트리플 제로 그린 리튬 생산을 시작했다. 지난 9월 글렌코어에 2만2500t을 공급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힌 후 두 달도 안 돼 세 번째 선적을 마쳤다. 공급 물량은 약 2만t이다. 선불액에는 9%의 프리미엄을 반영해 산정됐다. 글렌코어가 선불금까지 지급하며 리튬을 확보하려는 이유는 리튬의 중요성에 있다. 리튬은 가볍고 전기 전도성이 좋아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꼽힌다. '하얀 석유'라 불리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세계적인 리튬 회사 미국 앨버말은 2030년 글로벌 리튬 공급량보다 수요량이 50만t 더 많을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리튬 시장이 커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가 배터리 전자여권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작업에 참여했다. 전자여권 시제품 개발을 이끌며 배터리 밸류체인 전반의 투명성 향상에 앞장선다. [유료기사코드] 글렌코어가 글로벌 배터리 얼라이언스(GBA)가 추진하는 배터리 전자여권 개발 프로젝트의 개념 증명(Proof of Concept) 작업에 참여했다고 지난 26일(현지시간) 밝혔다. 개념 증명은 신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효용과 기술적인 관점 등을 검증하는 단계를 뜻한다. 글렌코어의 콩고 합작사인 카모토 쿠퍼 컴퍼니(글렌코어 지분 75%)와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가 협력해 최초의 파일럿 전자여권 개발을 주도했다. 최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시제품을 공개하고 상용화에 한발 다가섰다.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원재료 채굴 과정에서의 인권 침해와 환경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미국 인권 법률 구호단체인 국제권리변호사회(IRA)는 2019년 코발트 광산의 어린이 노동 착취를 부추겼다며 테슬라를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을 상대로 소송을 냈었다. 환경과 인권 이슈에서 자유로운 원재료 확보는 전기차·배터리 업계의 중요한 과제다. 배터리 전자여권은 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위스 광산 공룡 글렌코어가 리튬 시장에 뛰어든다. 폐배터리 재활용에 이어 리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배터리 핵심 광물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글렌코어는 거래 품목에 리튬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통합한 구리·아연 마케팅 사업부에서 리튬 사업까지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1974년 설립된 글렌코어는 세계 4위 원자재 기업이다. 전 세계 코발트 공급량의 3분의 1을 담당한다. 망간과 구리, 납, 석탄 등 주요 원자재의 거래를 장악하고 있다. 글렌코어는 사업을 다각화하며 배터리 핵심 광물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글렌코어는 지난 2월 영국 브리티시볼트와 재활용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신공장은 노스플리트에 위치한 글렌코어의 금속 정제업체 ‘브리타니아 정제 금속’(Britannia Refined Metals)의 생산시설 인근에 들어선다. 2023년부터 가동되며 연간 최소 1만t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춘다. 지난 5월에는 북미 최대 배터리 재활용 회사 '라이사이클'(Li-Cycle)에 투자했다. 글렌코어는 전환사채 2억 달러(약 2830억원)를 출자해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위스 광산업체 글렌코어가 북미 최대 배터리 재활용 회사 '라이사이클'(Li-Cycle)에 지분 투자한다. 배터리 재활용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며 원자재 시장 수요에 대응한다. [유료기사코드] 글렌코어는 5일(현지시간) "라이사이클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글렌코어는 전환사채 2억 달러(약 2540억원)를 출자했다. 4일 라이사이클의 종가(7.19달러)보다 약 38% 높은 주당 9.95달러에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주식 전환 시 글렌코어는 라이사이클의 지분 약 10%를 확보하게 된다. 또 이사회 구성원 중 1인을 지명할 수 있다. 글렌코어에서 재활용 사업을 총괄하는 쿠날 신하(Kunal Sinha)가 라이사이클의 이사회에 참여할 계획이다. 글렌코어와 라이사이클은 오는 2분기 상업 계약도 체결한다. 글렌코어는 라이사이클에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인 스크랩과 리튬과 니켈 등이 포함된 검은 가루 형태의 블랙매스를 공급한다. 라이사이클이 더 많은 배터리 원자재를 생산하도록 돕는다. 2016년 설립된 라이사이클은 배터리를 재활용해 핵심 원자재를 추출하는데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쿠로게임즈가 개발한 모바일 오프월드 역할수행게임(RPG) 명조:워더링 웨이브가 한국에서 개최한 행사로 인해 중국 내에서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쿠로게임즈 측은 비판이 이어지자 협력사와 소통 오류로 발생한 문제라며 사과했지만 논란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명조:워더링 웨이브의 탭탭(중국 안드로이드용 게임 마케플레이스) 평점이 8.3점에서 5.1점으로 폭락하고, 동영상 플랫폼 빌리빌리 공식 계정 팔로워는 12만명이 줄어들었다. 일부 이용자는 한 달동안 인앱 결제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명조:워더링 웨이브 중국 이용자의 움직임은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한국에서 개최된 명조 X 갤럭시 스토어 칸타렐라 테마·굿즈 패키지 이벤트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으로 발생했다. 이날 행사는 쿠로게임즈와 삼성전자가 협업한 행사로 갤럭시 스토어를 이용하는 명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정판 굿즈를 판매하는 행사였다. 쿠로게임즈는 한국 갤럭시 스토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중국에서 플레이하는 이용자의 접근을 제한하기로 했다. 문제는 행사 주최측이 행사장 전면에 '한국인만 입장이 가능하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로보틱스 기업 유니트리(UNITREE, 宇树科技)가 새로운 생산시설을 확보했다. 유니트리는 신공장을 기반으로 중국 내 휴머노이드 수요를 충족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유니트리는 항저우 본사 인근에 1만 제곱미터(㎡) 규모의 공장을 새로이 개장했다. 유니트리 신공장은 항저우 시 지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구축됐다. 항저우 시 정부는 유니트리를 비롯한 기술 스타트업에 대규모 정책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항저우에는 △딥시크 △게임사이언스 △유니트리 △딥로보틱스 △브레인코 △매니코어 테크 등 이른바 'IT 육룡'의 본사가 자리잡고 있다. 유니트리는 신공장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 양산 체제를 갖춘다. 유니트리는 핵심 부품 생산과 최종 조립을 담당하고, 별도 부품은 파트너사와 공급망을 구축해 양산 체제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유니트리 관계자는 "근무 시간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생산 능력을 점차 향상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6년 설립된 유니트리는 4족 보행 로봇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해왔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사족보행 로봇 시장 점유율 70%를 달성하기도 했다. 유니트리는 4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