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故 김정주 넥슨 창업자가 투자했던 이륜 전기차 기업 '릿 모터스(Lit Mortors)'가 오랜 공백기를 깨고 다시 사업을 재개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릿모터스는 C-1 이륜 전기차 모델의 사전예약을 재개했다. 2015년 사전 주문 이후 2년간 출시를 못해 계약금을 반환한 이후 약 5년여만에 C-1의 사전예약이 재개된 것이다. 이번에 공개된 C-1의 가격은 3만2000달러로 2015년에 비해 8000달러 인상됐다. C-1 사전예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은 250달러의 계약금만 지불하면 된다. C-1은 2011년 공개된 콘셉트로 이중 자이로스코프를 활용해 넘어지지 않는 이륜차로 알려졌다. 릿 모터스는 2015년 2만4000만 달러에 사전 예약을 시작했지만 2년간 출시를 하지 못했다. 이후 홈페이지 등에도 별도의 정보가 올라오지 않는 등 별다른 활동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던 지난해 4월 중간에 회사를 떠났던 창업자 대니얼 킴이 5년만에 회사에 복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활동이 재개됐다. 릿모터스는 2026년까지 C-1 모델을 1만 대 생산하고 2027년부터 2031년까지는 생산량을 극적으로 늘려 10만 대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 미국법인이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를 이용해 게임 내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15일 넥슨 아메리카는 게임 내 아이템 구매에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한국시간 15일 0시부터 북미에서 암호화폐를 통한 아이템 구매가 가능해졌다.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대상인 되는 코인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제미니 달러, 바이넌스 USD 등 멀티 코인 결제를 지원하며 평가액은 비트페이에 의해 설정된다. 넥슨 아메리카 관계자는 "넥슨은 게임 내 결제 방법으로 암호화폐를 도입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들의 목소리를 주의 깊게 들었다"며 "혁신적인 결제 기능을 유저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다만 넥슨은 이번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도입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과는 관계가 없다며 현재 추가적인 암호화폐 자산 취득 계획도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넥슨은 김정주 창업주의 주도로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1억 달러를 투입해 비트코인 1717개를 매수했다. 평균단가는 약 6580만원다. 지난 2017년에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을 인수했고 유럽 최대 암호화폐 거래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최대 희토류 및 우라늄 생산 기업 에너지퓨얼스(Energy Fuels)가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채굴된 고농도 우라늄 확보에 나선다. 원자력 발전의 핵심 연료인 우라늄을 현지에서 확보해 자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한편, 에너지 안보 확보에도 나서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웨스턴 우라늄 앤드 바나듐(Western Uranium & Vanadium, 이하 웨스턴) 등에 따르면 에너지퓨얼스는 최근 웨스턴과 연간 최대 2만5000톤(t) 규모의 우라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우라늄 등급에 따라 납품 단가가 산정될 전망이다. 계약에 따라 웨스턴은 다음달부터 미국 콜로라도 주 썬데이 광산단지에서 채굴한 고농도 우라늄을 유타주에 위치한 에너지퓨얼스의 화이트 메사 제련소에 납품할 예정이다. 화이트 메사 제련소는 현재 미국에서 유일한 전통 우라늄·바나듐 제련소로 꼽힌다. 미국 콜로라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웨스턴은 고등급 우라늄과 바나듐 자원을 보유한 광산 개발 전문 기업이다. 썬데이 광산단지를 비롯해 콜로라도, 유타 등 다수 전통 광산을 운영하고 있다. 에너지퓨얼스는 미국 최대 우라늄과 희토류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소재기업 '에코그라프(EcoGraf)'가 독자 개발한 'HF프리(HFfree)' 정제 기술의 상용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글로벌 배터리 제조업체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소재 업계의 새로운 공급망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에코그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호주 특허청으로부터 두 번째 HF프리 특허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이번 특허는 음극재 생산뿐 아니라 △고순도 흑연 제품 제조 △리튬이온배터리에서 회수한 음극재 재활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HF프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보호 범위를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HF프리는 불화수소(HF)를 쓰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흑연을 정제하는 기술이다. 호주 퍼스에 위치한 제품인증시설(PQF)에서 HF프리 기술을 활용해 고순도 구형정제흑연(SPG)을 생산, 99.99%의 순도와 고객이 요구하는 주요 화학적 기준(철·실리콘·황·알루미늄 함량 등)을 충족하는 성능을 입증했다. 에코그라프는 지난 2월에도 PQF에서 배터리 음극재 원료인 고순도 SPG를 연속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화학 기업과 비구속적 계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