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대표 신에너지차 업체 '비야디'(BYD)가 미국 자율주행 배송 스타트업 '누로'(Nuro)와 손잡고 배송용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에 나선다. 기술력 시너지를 토대로 라스트마일 산업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나타내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BYD는 최근 누로와 배송용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 기술력을 통합해 보다 저렴하고 친환경적이며 편리한 자율주행 배송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먼저 자율배송 차량의 탑재 능력 강화와 새로운 안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맞춤형 스토리지를 장착해 기존 차량의 두 배 규모로 화물 적재량을 늘리고 외부 에어백을 장착해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겠다는 목표다. BYD가 블레이드 배터리 등 하드웨어를 담당하고 누로가 자율주행 센서 등 소프트웨어를 맡는 방식으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특히 화물칸에 따로 온도 제어 장치를 추가해 상품별 특성에 따른 온도 유지 능력을 갖출 방침이다. 스텔라 리(Stella Li) BYD 북미지역총괄 부사장은 "미국 거리에서 더 안전한 배송 환경을 조성한다는 상호 목표를 가지고 자율배송 차량을 함께 만들겠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자율주행 배송 스타트업 '누로'(Nuro)가 대규모 투자 자금을 유치하며 기업 가치를 크게 높였다. 자율배송 로봇 서비스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누로는 최근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Tiger Global Management) 주도로 열린 시리즈D 펀딩에서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구글 등으로부터 6억달러의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 누로는 구글 자율주행 사업부에서 일하던 엔지니어 2명이 지난 2016년 설립한 회사다. 이에 따라 누로의 기업 가치는 2년 전 50억달러에서 86억달러(약 10조 1609억원) 규모로 치솟았다.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와 구글은 이번에 추가로 자금을 투자했다. 앞서 이전 라운드에서 이 회사에 출자한 바 있다. 타이거글로벌 매니지먼트는 이번이 첫 투자다. 이번 라운드에는 △식료품 체인점 크로거 △중국 벤처캐피털 가오롱 캐피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앤드 리서치 컴퍼니 △토요타 투자 자회사 우븐 캐피털 △영국 투자기업 베일리 기포드 등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누로는 그동안 6번의 투자 라운드를 진행했다. 지난 2017년 시리즈A 펀딩에서 9200만달러를 투자받았고 2년 뒤 시리즈B에서 소프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누로가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 자율주행 전기배달차 생산·테스트 시설을 짓는다. 내년부터 본격 가동해 미국 전역으로 자율주행 배달 서비스 지역을 넓힌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누로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 4000만 달러(약 464억원)를 쏟아 자율주행 전기배달차 공장과 테스트 트랙을 구축한다. 74에이커(약 29만9467㎡)의 테스트 시설을 비롯해 최소 80에이커(약 32만3748㎡)에 달하는 부지를 개발한다. 신설 공장에서는 3세대 자율주행 전기배달차 'R3' 수만 대를 생산할 것으로 추정된다. 누로는 올해 가을 착공해 내년 완공할 예정이다.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파트너사로 BYD 미국법인(BYD North America)을 선정했다. BYD 미국법인은 조립식 전기차 플랫폼을 제공하고 누로는 소프트웨어·디지털 인프라 설계·개발·운영을 맡는다. 누로는 라스베이거스 모토 스피드웨이(Las Vegas Motor Speedway)도 인수했다. 내년부터 자율주행차의 주행 테스트 시설로 활용할 예정이다. 네바다주는 이번 투자로 250개 숙련 일자리를 창출하고 22억 달러(약 2조553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