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스페인 카탈루냐 주정부 주관의 투자 유치 행사에 참석해 협력을 다졌다. 배터리 원재료인 동박 공장 건설에 박차를 가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임태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상무는 지난달 23일(현지시간) 카탈루냐주에서 열린 해외 기업 투자 유치 행사(Passeu'24)에 모습을 비췄다. 이번 행사는 카탈루냐 주정부 주관으로 카탈루냐주가 가진 경쟁력을 알리고 투자 기업들과 협력을 촉진하고자 열렸다. 살바도르 이야(Salvador Illa) 주지사와 미켈 삼페르(Miquel Samper) 기업노동부 장관 등 현지 주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이번 행사를 통해 카탈루냐주와 교류할 기회를 가졌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카탈루냐주 몬로이치에 5600억원을 투자해 연산 3만 톤(t)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엔드 동박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 말에서 2027년 6월로 완공 일정을 약 2년 미뤘다. 유럽 전기차 수요 성장의 둔화를 예의주시하고 유연하게 투자한다는 전략이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유럽 배터리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량(PHEV) 판매량은 지난 1~8월 전년 동기
[더구루=오소영 기자]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이사가 기예르모 키르크파트릭(Guillermo Kirkpatrick) 주한스페인 대사와 회동했다. 부지 변경 승인을 얻어 건설에 속도가 붙고 있는 동박 공장 현황을 공유하고 지원을 협의했다. 롯데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핵심 유럽 거점 구축에 온 힘을 쏟는다. 1일 주한스페인대사관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달 말 서울 용산구 한남동 소재 대사관을 방문해 기예르모 키르크파트릭 대사와 만났다. 스페인 카탈루냐주 몬로이치에 짓고 있는 동박 공장의 진행을 점검하고 현지 정부의 지원 의지를 확인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현지 투자를 진행하며 스페인 대사관과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오는 12일 '스페인 국경일(Fiesta Nacional de España)'을 맞아 열리는 행사를 처음으로 후원한다. 롯데의 공장을 지원하고자 양국 정부도 힘을 합치고 있다. 박영효 주바르셀로나 총영사도 지난 20일(현지시간) 몬로이치를 찾아 프란 모란초 로페즈(Fran Morancho Lopez) 시장, 욜란다 페레즈 디아즈(Yolanda Perez Diaz) 제1부사장(경제)과 면담을 가졌다. 동박 공장을 위한 인허가 절차를 순조롭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스페인 몬로이치 시의회로부터 동박 공장을 지원할 인프라 구축 승인을 받았다. 시정부와 남은 인허가 절차를 완료하고 연내 공사에 돌입할 계획이다. 17일 몬로이치 시의회에 따르면 이 의회는 지난 10일(현지시간) 회의에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의 도시 계획 협약 체결 안건을 승인했다. 이 협약은 롯데의 동박 공장 건설을 지원하는 인프라 건설을 골자로 한다. 일부 의원이 협약의 법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몬로이치 시정부와 협력해 남은 절차를 마무리하고 연내 공장을 착공한다는 목표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지난해 카탈루냐주 몬로이치를 유럽 공장 투자처로 낙점했다. 4억 유로(약 5900억원)를 투자해 44만1400㎡ 부지에 스마트팩토리를 짓고, 연간 3만 톤(t)의 생산능력을 갖춘다. 내년 완공해 생산을 시작하고, 유사한 규모로 2·3공장도 신설한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작년 8월 인허가 지원과 인센티브 논의를 위해 몬로이치시, 카탈루냐 무역투자청(ACCIO)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개월 후 부지 정지 작업에 착수했다. 이르면 1분기 공사를 시작할 계획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페인 카탈루냐주 몬로이치 당국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1조원 이상 투입해 동박 공장 3개를 지을 것이라고 밝혔다. 처음 계획 대비 투자액을 상향한 것으로 드러났다. 1공장에 이어 추가 공장 건설 발표에 이목이 쏠린다. 11일 타라고나 뉴스(Diari de Tarragona)에 따르면 프란 모란초(Fran Morancho) 몬로이치 시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 작년 5월까지 6억 유로(약 8700억원)를 투자해 두 개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이야기했었다"며 "현재 3개 공장 설립에 7억 유로(약 1조100억원) 투자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최근 1공장 설립을 확정했다. 5600억원을 투자해 연산 3만t 규모의 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이달 말 부지 매입을 완료하고 10월 부지정지작업을 시작한다. 2025년 하반기 완공해 시운전하고 이듬해 상반기부터 대량 양산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몬로이치시는 두 개의 생산시설이 추가로 지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이미 몬로이치시에 축구장 62개 크기인 44만400㎡의 부지를 확보했다. 10만t 규모의 하이엔드 동박 생
[더구루=홍성일 기자] PCI 익스프레스(PCIe) 기능이 없는 USB3 표준으로 AMD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새로운 GPU 연결 기술은 윈도우와 리눅스 뿐 아니라 애플 실리콘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AMD GPU의 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MD 그래픽처리장치(GPU)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타이니 코프(Tiny Corp)는 USB3 표준으로 AMD 외장 GPU를 작동시키는데 성공했다. 타이니 코프는 17세에 아이폰을 해킹한 천재 해커 조지 호츠(George Hotz)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조지 호츠는 AMD가 좋은 칩을 생산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부실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니 코프를 설립했다. 타이니 호프는 현재 AMD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타이니 코프가 USB3 표준을 기반으로 한 GPU 연결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Mac) PC에 AMD GPU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외장 GPU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PCle 슬롯이나 PCle 터널링을 지원하는 썬더볼트/USB4 인터페이스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의 월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입 규모가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GPU 밀수 우회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레이시아 GPU 수입규모가 27억4000만 달러(약 3조868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급 기록을 세운 3월(19억6000만 달러, 약 2조7650억원) 결과를 뛰어넘은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GPU 수입 규모는 올해 들어 급증하기 시작했다. 1월 11억2000만 달러(약 1조5825억원)를 수입하며 전년동기 대비 700% 가량 증가한 것. 올해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연간 누적 수입 규모도 단 4개월만에 지난해 수치를 뛰어넘었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GPU 수입액은 48억7700만 달러(약 6조8940억원)이었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64억5000만 달러(약 9조1164억원)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엔비디아 GPU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엔비디아 GPU를 53억3000만 달러(약 7조5371억원)어치 수입했다. 이 기간 엔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