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태양광 기업 '선런'과 가정용 ESS(에너지저장장치) 스타트업 '루나에너지(Lunar Energy)'가 가상발전소(VPP) 사업에 손을 잡는다. 두 회사 모두 SK그룹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이번 협력은 SK의 미래 에너지 사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루나에너지는 선런의 미국 내 가정용 ESS 기반 VPP 네트워크 운영사에 선정됐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약 1년 전부터 미 전역에 배치된 선런의 대규모 VPP 12개를 관리하고 있으며, 양사 거래 규모는 더 늘어날 예정이다. 루나에너지는 자사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플랫폼 '그리드쉐어'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캘리포니아주, 애리조나주, 뉴욕주, 하와이주, 뉴잉글랜드주에 위치한 12개의 선런 VPP에 탑재된 수만 개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미국 전력회사 SCE(Southern California Edison)와 협력해 VPP 서비스를 제공하는 캘리포니아주에서는 '그리드쉐어'를 사용하기 이전 대비 60% 많은 에너지를 제공했다는 게 루나에너지의 설명이다. 그리드쉐어는 루나에너지가 작년 인수한 영국 분산에너지자원(DER) 관리 소프트웨어 회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그룹이 전 테슬라 고위 임원이 설립한 미국 가정용 ESS(에너지저장장치) 스타트업 '루나에너지(Lunar Energy)'에 베팅했다. 청정에너지 전환 트렌드 속 유망 기업을 발굴, 핵심 과제로 내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고삐를 죈다. 루나에너지는 24일(현지시간) SK그룹과 미국 주거용 태양광 에너지 시스템 공급업체 '선런'으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3억 달러(약 4011억원)을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SK그룹은 SK㈜, SK이노베이션, SK E&S 등 3개 계열사가 공동 투자했다. 테슬라 임원 출신 쿠날 지로트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20년 8월 루나에너지를 공동 설립했다.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영국 런던에도 사무소가 있다. 두 개 거점에서 에너지 제품을 설계하는 하드웨어와 펌웨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 약 250여 명 근무한다. 루나에너지는 주택 소유자가 100% 청정에너지를 편리하게 생성, 저장, 소비, 제거할 수 있는 저렴한 주거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에너지 솔루션을 선보인다는 목표다. 우선 연내 차세대 가정용 ESS 시스템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도 가상발전소(VPP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남부 브엘세바(beersheba)에 위치한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한다. 엔비디아는 해당 센터를 이스라엘 남부 지역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차세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를 루마니아에 정식 출시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37억 유로(한화 약 5조 4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가열담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