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픽업트럭에 이어 다목적차량(MPV)을 개발 중이다.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며 세단 위주의 전기차 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을 취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28일 미국특허청(USPTO)에 따르면 리비안은 최근 개발 중인 차량의 디자인 특허를 등록했다. 그동안 리비안에서는 볼 수 없던 MPV 모델이다. 공개된 이미지를 보면 미니밴이라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현대차 스타리아, 기아 카니발 등과 흡사한 모양이다. 특히 측면 슬라이딩 도어가 눈에 띈다. 이중 레일 시스템을 적용했다. 기존 슬라이딩 도어보다 작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미니 MPV 차량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양산으로 이어질 경우 리비안의 판매 포트폴리오는 더욱 다양해진다. SUV 모델 'R1S'와 픽업트럭 'R1T'와 함께 3개 차종을 보유하게 된다. 세단 위주의 미래 전기차 시장에서 차별화 앞세워 브랜드 입지를 다지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MPV 모델명은 'R1M'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리비안은 이미 아마존과 함께 밴을 제작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MPV 차량 양산은 수월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자동차 스타트업 '리비안 오토모티브'가 텍사스주로부터 인센티브 패키지 승인을 받았다. 신규 공장 설립 검토 단계에서 실행 단계로 넘어갈 전망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市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리비안 공장 설립 관련 인센티브 패키지 승인을 만장일치로 확정했다. 최대 4억4000만달러(한화 약 5160억원)의 보조금과 5년간 최대 125만달러(약 14억6000만원) 세금 감면 등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다만 조건이 붙었다. 리비안은 오는 2027년까지 최소 75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물론 직원 평균 연봉을 5만6000달러(약 6600만원)로 맞춰야 한다. 이번 인센티브 패키지 승인으로 포트워스시에 리비안 공장 설립이 확정되는 분위기다. 이곳 지역은 인센티브 패키지 승인 전부터 공장 설립 후보지 중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지목됐었기 때문. 앞서 리비안은 신규 공장 설립 관련 최소 50억달러(약5조8000억원)의 투자 계획을 세워두고 포트워스를 비롯한 텍사스주 내 후보지 물색에 나선 바 있다. '프로젝트 테라'라는 이름을 붙이고 연간 20만대 생산 규모로 지을 것이라는 계획을 내놨었다. 리비안은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유럽 출시를 앞두고 뉴질랜드 일반도로에서 테스트하는 등 최종 담금질에 들어갔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뉴질랜드에서 전기차 트럭 'R1T'와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1S' 2종의 주행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최근 들어 테스트 빈도가 부쩍 늘며 운행 장면이 지속해서 포착되고 있다. 연말 영하 온도 테스트까지 마친 뒤 내년 초 유럽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앞서 리비안은 이메일을 통해 내년 출시 계획을 알린 바 있다. 리비안은 "우리는 2022년 초 유럽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시점이 가까워지면 기대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자세히 공유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리비안은 일찍부터 유럽에 생산공장 부지를 물색하는 등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영국과 독일, 헝가리 등을 후보 국가로 삼고 공장 위치를 검토 중이다. <본보 2021년 7월 12일 참고 '삼성·LG 협력' 리비안, 유럽공장 설립 추진…"내년 인도 예정"> 일각에서는 리비안이 뉴질랜드에서 주행 테스트를 하는 이유를 놓고 호주 등 오세아니아 시장 진출도 염두에 뒀기 때문이라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