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투자공사(KIC)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주식을 모두 팔아치웠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중국 정부의 미운털이 박히면서 창사 이후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신 텐센트, 바이두 등 다른 중국 인터넷 공룡 기업의 비중을 확대했다. 20일 한국투자공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한 보유 주식 현황 자료를 보면 공사는 지난 2분기 알리바바 주식 97만7029주를 전량 매각했다. 중국 정부가 자국 IT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특히 알리바바가 심각한 타격을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마윈이 중국 금융당국 규제 정책을 비판하자 알리바바에 대한 규제에 나섰다. 실제로 올해 1분기 3조원 규모 벌금을 부과했고, 이로 인해 2014년 상장 이후 처음으로 분기 적자를 냈다. 한국투자공사를 알리바바를 제외한 다른 중국 IT 기업 주식을 추가로 매수했다.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의 계열사 텐센트뮤직엔터테인먼트의 보유 주식은 3월 말 57만200주에서 6월 말 73만800주로 확대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도 같은 기간 20만3503주에서 112만1731주로 5배가량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IT 기업 '바이두'(Baidu)가 약 3년 만에 새로운 다목적 자율주행 버스를 출시했다. 이전 모델 대비 더욱 강화된 성능과 편의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중국 자율주행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두는 지난 5일(현지시간) 중국 광저우시 황푸구에서 다목적 자율주행 버스 '아폴롱2'(Apolong II)를 선보였다. 아폴롱2는 바이두의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사업인 '아폴로 프로젝트'를 통해 탄생했다. 이전 모델인 아폴롱1과 비교해 155개 기능이 향상됐으며 컴퓨팅 성능은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40채널의 라이다 센서 두 개가 적용되며 자율주행이 더욱 정교해졌다. 최장 250m까지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 바이두의 V2X(Vehicle-to-Everything)와 5G 원격 주행 서비스까지 더해지며 위치 정확도와 응답성이 향상됐다. 최첨단 스마트 캐빈 솔루션도 적용됐다. 바이두와 'BOE 테크놀로지'(BOE Technology)가 공동 개발한 지능형 55인치 투명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도로 상황과 자율주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승객은 이 디스플레이를 통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