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항체 신약 개발사 소렌토 테라퓨틱스(Sorrento Therapeutics)가 소송에 휘말렸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과 관련해 거짓된 정보로 투자자들에 손해를 끼쳤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대형 로펌 2곳(Wolf Haldenstein Adler Freeman&Herz, Levi&Korsinsky)이 지난 26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남부 지방법원에 소렌토 테라퓨틱스와 이사회 구성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어 일부 투자자들은 27일에도 델라웨어주에 헨리 지 소렌토 테라퓨틱스 최고경영자(CEO)를 고소했다. 소렌토 테라퓨틱스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후보 물질인 'STI-1499'와 관련 전임상 시험 초기 단계에서 당장 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한 것처럼 허위 진술한 혐의를 받고 있다. 투자자들은 "지난해 소렌토 테라퓨틱스가 한 세기 만의 최악의 건강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기적의 치료제가 있다는 주장을 펼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며 "그동안 회사는 부풀려진 가격으로 6700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각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해 5월 소렌토 테라퓨틱스는 STI-1499가 바이러스 감염을 100% 억제했다는
[더구루=김다정 기자] 유한양행이 투자한 미국 소렌토 테라퓨틱스(Sorrento Therapeutics)가 영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상에 본격 돌입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소렌토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중인 '코비드롭스'(COVI-DROPS·STI-2099)의 영국 임상 2상을 위한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 임상시험은 무증상이거나 가벼운 증상을 보이는 코로나19 외래 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코비드롭스 10mg 또는 20mg, 위약(가짜약) 등 3개 투약군을 2:2:1 비율로 나눠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피험자는 집에서 평가 및 치료를 받는다. 코비드롭스는 정맥주사 제형 코로나19 항체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코비에이엠지'(COVI-AMG)와 동일한 중화항체를 이용해 흡입 제형으로 변경한 것이다. 주사형 방식이 아닌 비강 제형으로, 어디서나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이번 영국 임상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경우 현재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임상 2상 시험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에서 건강한 피험자를 대항으로 최대 60mg 용량으로 수행된 안전성 연구에
[더구루=김다정 기자] 유한양행이 투자한 미국 바이오기업 소렌토 테라퓨틱스(Sorrento Therapeutics)가 자회사를 설립해 중남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소렌토는 20일(현지시간) 멕시코에 자회사인 '소렌토 테라퓨틱스 멕시코'를 설립했다. 멕시코 자회사는 소렌토 제품의 상용화를 위해 현지 임상시험과 허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제품 포트폴리오 개발도 확대할 예정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멕시코에서는 코로나19 예방과 관련된 의약품 수요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소렌토는 신속 진단키트 ‘코비스틱스’(COVI-STIX)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멕시코 시장 공략에 나섰다. 멕시코 의약당국(COFEPRIS)은 최근 긴급 사용 승인을 받은 공식 진단키트 목록에 코비스틱스(COVI-STIX)를 추가했다. 이어 소렌토의 멕시코 유통사는 COFEFIS로부터 코비스틱스 2500만 테스트 유닛 분량의 수입허가를 받았다. 소렌토는 이를 기반으로 브라질을 비롯해 라틴아메리카에서 허가를 받아 진단키트를 공급할 계획이다. 후속 주문을 위해 생산도 늘리고 있다. 소렌토가 멕시코에 자회사를 세운 것은 그만큼 멕시코 제약·바이오 시장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