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솔브레인이 미국 텍사스주로부터 '또' 대규모 인센티브를 확보했다. 정부 지원을 발판으로 현지 신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0일 텍사스주 윌리엄슨 카운티에 따르면 카운티 법원(Williamson County Commissioners Court)은 지난 8일(현지시간) 솔브레인에 '챕터 312’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안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향후 10년 동안 솔브레인 투자와 신규 시설에 대한 부동산세·사업용 개인 재산세를 25% 감면해준다. 챕터 312는 윌리엄슨 카운티가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만든 재산세 경감법이다. 솔브레인은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5년 내 최소 50명을 새롭게 고용하고 카운티 전역의 학군을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을 수립해야 한다. 솔브레인 신공장은 테일러시 RCR 테일러 물류단지 내 약 85에이커 규모 부지에 들어선다. 1·2단계에 걸쳐 6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한다. 1단계 프로젝트는 오는 2029년 1월, 2단계 투자는 2029년 1월 시작해 2033년 1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본보 2024년 7월 30일 참고 솔브레인, 美 테일러 신공장에 8000억원 투자...'최대 고객'
[더구루=정예린 기자] 솔브레인이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짓는 신공장 투자 규모를 확정했다. 향후 10년여 간 약 8000억원을 쏟아 현지 생산능력을 구축하고 최대 고객사인 삼성전자를 지원사격한다. 30일 테일러경제개발공사(TEDC)에 따르면 솔브레인은 제조 공장 건설과 증설을 위해 오는 2033년까지 2단계에 걸쳐 투자를 단행한다. 투자 규모는 1단계 1억7500만 달러(약 2420억원), 2단계 4억 달러(약 5530억원)다. 솔브레인 신공장은 테일러시 RCR 테일러 물류단지 내 약 85에이커 규모 부지에 들어선다. 우선 1단계 프로젝트는 오는 2029년 1월 완료될 예정이다. 2단계 투자는 2029년 1월 시작해 2033년 1월 마무리될 전망이다. 시정부도 솔브레인 투자 유치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테일러시 시의회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열린 정기회의에서 솔브레인에 대한 인센티브를 승인했다. 향후 10년 동안 재산세를 25% 감면해준다. 솔브레인은 올 1월에도 TEDC로부터 인센티브를 승인받은 바 있다. 건설 과정에서 사용된 자재에 대한 세금을 25% 환급받는다. 솔브레인은 당국 지원에 부응하기 위해 지역 사회와의 접점을 넓히고 일자리 창출에 힘
[더구루=정예린 기자] 소재전문기업 '솔브레인'이 미국 전해액 신공장 설립을 위한 인센티브를 확보했다. 조만간 착공해 주요 고객사인 삼성SDI와 스텔란티스 간 배터리 합작공장이 완공되는 오는 2025년에 맞춰 차질없이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16일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 따르면 시의회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열린 회의에서 솔브레인 미국법인 '솔브레인MI'가 제출한 인센티브 패키지 신청서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개인 재산세와 부동산세를 감면해준다. 솔브레인은 1년차에 재산세와 부동산세를 100% 공제받는다. 감면 비율은 2년차부터 20%p씩 줄어 5년차에는 낸 세금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돌려받는다. 구체적인 인센티브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조건부 세액 공제와 현지 채용한 인력 교육 보조금 명목으로 각각 100만 달러와 10만 달러, 총 110만 달러를 지원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솔브레인은 7500만 달러를 투자해 리튬이온배터리용 고순도 전해액 생산기지를 건설한다. 그레이터 코코모 경제개발연합 산업단지 내 8만9030㎡ 규모 부지에 들어선다. 내달 착공해 이르면 내년 말께 완공될 전망이다. 본격 가동에 앞서 내년 초 엔지니어,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