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스마트시티 플랫폼 기업 시티랩스가 보유 중인 케어랩스 주식을 647억원에 매각한다고 29일 밝혔다. 시티랩스는 원익홀딩스에 케어랩스 주식 423만8860주를 약 647억원에 매각한다. 주당 매각 단가는 1만5263원으로 28일 종가 9250원 대비 약 65% 높은 가격이다. 계약금 190억원은 오는 30일까지 수령할 예정이며, 잔금 457억원은 내년 1월 17일에 받는다. 시티랩스는 전반적인 주식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치로 매각에 성공해 약 260억원의 매매 차익이 예상된다. 대규모 매각대금 유입으로 재무건전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조영중 시티랩스 대표는 “이번 매각을 통해 회사의 부채를 모두 상환하고 금융비용을 절감 수 있게 됐다”며 “확보된 자금 중 일부는 기존 스마트시티, 블록체인 사업 경쟁력 강화와 성장동력 발굴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티랩스는 지난 10월 제주도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의 일환인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그리고(GreeGo)’에 명의도용 방지 안면인증 솔루션을 도입했다. 향후 대중교통과 모빌리티를 연계한 환승 할인 서비스∙최적 경로 길안내 서비스 등을 업데이트하며 스마트시티 사업 고도화를 추
[더구루=최영희 기자] DID, 미들블록 등 접근장벽이 높은 고도의 블록체인 기술도 API를 통해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이픈코퍼레이션이 시티랩스와 손잡고 DID(탈중앙화신원증명) 및 미들블록(분산원장을 포함한 미들웨어) 관련 API 제휴에 나선다. 블록체인 스타트업은 물론, 블록체인 분야로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 역시 API를 통해 관련 인프라와 기술력을 손쉽게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제휴의 골자는 시티랩스의 API 솔루션을 하이픈의 데이터 마켓에서 유통하는 것이다. 이로써 고객은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의 API를 접근성이 좋은 데이터 마켓을 통해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ID는 신뢰할 수 있는 ID 저장소를 통해 등록된 발행자 ID를 ▲신원정보발행자 ▲사용자 신원정보 ▲서비스 제공자 간 분산화 해 저장하는 구조다. 정보를 분산해 저장하는 만큼 사용자의 신원정보가 투명하게 저장된다는 것이 특장점이다. 미들블록은 ▲블록체인 ▲분산원장 ▲DID 기술에 미들웨어 개념을 적용한 일종의 플랫폼이다. 고객의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 기존 블록체인 기술에 한계로 지적되는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해 어느 기업이나 블록체인 플랫폼을 유연하고 안정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보스턴다이내믹스가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을 앞세워 아랍에미리트(UAE)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현지 기술 기업 아날로그(Analog)와의 독점 파트너십을 통해 단순 로봇 공급을 넘어, 국가 규모의 첨단 인공지능(AI) 인프라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협력은 중동 지역의 스마트 시티 구현 프로젝트에 로봇 기술이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30일 아날로그에 따르면 보스턴다이내믹스는 UAE의 아날로그와 '물리적 지능 배치를 위한 독점적 지역 동맹'을 발표했다. 아날로그는 이번 계약으로 UAE 내 스팟 로봇의 유일한 공인 리셀러, 통합업체 및 서비스 파트너 지위를 확보했다. 특히 이 파트너십은 향후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 지역 전체로 확장될 예정이다. 이번 UAE 진출은 현대차그룹이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한 후 로봇 기술을 국가 단위의 주권 인프라 솔루션으로 발전시키는 중요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이번 협력의 핵심은 로봇 하드웨어 유통을 넘어, 아날로그가 UAE에 구축하고 운영하는 '국가 규모 세계 모델(country scale World Model)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주요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에 나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제품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다. 일각에서는 규제에 의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