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작년 말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에 새로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추세와 중국 정부의 규제 등으로 중국 빅테크 기업의 주가가 폭락하면서 저가 매수에 나선 모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투자공사(KIC)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주식을 모두 팔아치웠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중국 정부의 미운털이 박히면서 창사 이후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신 텐센트, 바이두 등 다른 중국 인터넷 공룡 기업의 비중을 확대했다. 20일 한국투자공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한 보유 주식 현황 자료를 보면 공사는 지난 2분기 알리바바 주식 97만7029주를 전량 매각했다. 중국 정부가 자국 IT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특히 알리바바가 심각한 타격을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마윈이 중국 금융당국 규제 정책을 비판하자 알리바바에 대한 규제에 나섰다. 실제로 올해 1분기 3조원 규모 벌금을 부과했고, 이로 인해 2014년 상장 이후 처음으로 분기 적자를 냈다. 한국투자공사를 알리바바를 제외한 다른 중국 IT 기업 주식을 추가로 매수했다.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의 계열사 텐센트뮤직엔터테인먼트의 보유 주식은 3월 말 57만200주에서 6월 말 73만800주로 확대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도 같은 기간 20만3503주에서 112만1731주로 5배가량
[더구루=홍성환 기자] 펜데믹 사태를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아시아 기술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미국 투자전문매체 인사이더몽키는 지금 구매해야 하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아시아 기업 10곳을 선정했다. 인사이더몽키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Alibaba)를 첫 손가락에 꼽았다. 이 매체는 "알리바바는 올해 1분기 매출이 1870억 위안(약 32조7250억원)으로 전년 1140억 위안(약 19조9500억원)보다 크게 늘었다"며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받았던 주가도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인사이더몽키는 쿠팡(Coupang)을 2위로 선정했다. 매체는 "한국은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오는 2025년 시장 규모가 3250억 달러(약 368조5500억원)에 이를 전망"이라며 "이 때문에 쿠팡은 현재 매입하기 가장 좋은 아시아 주식 가운데 하나다"고 강조했다. 중국 2위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닷컴(JD.com)이 3위였다. 인사이더몽키는 "이 회사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가운데 하나로 올해 1분기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