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대웅제약 파트너사 에볼루스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누시바(Nuceiva, 나보타의 유럽 제품명)'를 호주에 출시한다. 북미, 유럽에 이어 호주까지 글로벌 주요 시장에 잇따라 진출, 사업 영토를 확장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에볼루스는 최근 호주 식품의약품안전청(TGA)에 누시바 현지 판매를 위한 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승인 절차는 오는 2023년 마무리될 전망이다. 에볼루스는 대웅제약 나보타의 글로벌 판권을 보유한 파트너사다. 지난 2019년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확보, '주보’라는 제품명으로 나보타를 판매중이다. 같은해 유럽과 영국에서도 허가를 받았다. 올 하반기 유럽에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에볼루스와 함께 세계 1·2위 톡신 시장에 이어 높은 성장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호주까지 진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호주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연평균 9%의 안정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말 시장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에도 나보타 허가를 신청했다. 대웅제약과 에볼루스는 지난해 초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대웅제약은 에볼루스에 투자한 전환사채를 전량 보통주로 전
[더구루=김다정 기자]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인 에볼루스(Evolus)가 나스닥 바이오산업 대표지수 '나스닥 바이오테크놀로지 인덱스'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에볼루스는 20일(현지시간) 오늘부터 보통주가 나스닥 바이오테크놀로지 인덱스(NBI)에 포함되도록 선정됐다. 이는 나스닥에서 발표한 지수의 연간 재구성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이 지수는 산업 분류 벤치마크(ICB)에 따라 생명공학 또는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나스닥 주식 시장에 상장된 바이오 기업들의 성과를 추종하도록 설계됐다. 이번에 에볼루스가 바이오 지수에 들어가면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바이오주를 기반으로 하는 일부 펀드가 이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이다. 로렌 실버네일 에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NBI에 합류하게 되어 주주 기반을 확대하고 자본 시장 프로필을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우리는 견고한 판매 및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강조된 현재까지 보고된 결과를 통해 2021년까지 견고하게 마무리하고 2022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에볼루스는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미국 판
[더구루=김다정 기자] 대웅제약이 미국 보툴리눔 톡신 사업 리스크를 해소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라이벌 메디톡스와의 소송전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최종결정 무효화'로 마무리되면서 공식적으로 미국 시장 진출 걸림돌이 사라진 데 이어 최대용량을 평가하는 2상 임상시험에도 나선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는 자사의 주력 보툴리눔 톡신 제품인 '나보타'(현지 제품명 주보)를 대상으로 추가강도 용량 임상 2상 연구 준비를 시작했다. 이번 임상은 미간주름에서 주보를 연장된 기간으로 맞을 수 있도록 최대용량을 평가해 현재 기본용량은 20유닛인데 이를 40유닛으로 늘리는 내용이다. 이미 임상시험계획(IND) 공개 신청으로 연구 개시 활동은 시작됐으며, 첫 번째 환자는 2022년 1분기에 등록될 것으로 예상된다. 에볼루스는 2023년 상반기에 연구를 완료할 전망이다. 데이비드 모아타제디 에볼루스 최고경영자(CEO)는 "20유닛의 만족도가 90% 이상이지만, 추가 용량(Extra Strength)은 또 다른 효과와 더 긴 지속시간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이번 임상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가 새로운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다. 메타는 향후 구축할 데이터센터에도 태양광 전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미국 최대 태양광 발전 시설 운영사 중 하나인 실리콘 랜치(Silicon Ranch), 사우스캐롤라이나 센트럴 전력 협동조합(Central Electric Power Cooperative, 이하 센트럴)과 협력해 오렌지버그 카운티에 100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했다. 총 건설비용은 1억 달러(약 1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약에 따라 발전소의 건설과 소유, 운영은 실리콘 랜치가 담당하며 센트럴은 생산된 전기를 구매해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타는 생산된 전기와 재생에너지 크레딧을 확보한다. 새로운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건설될 새로운 데이터센터에 공급된다. 메타는 지난해 8월 사우스캐롤라이나 에이킨(Aiken) 카운티에 새로운 데이터센터 건설을 시작했다. 해당 데이터센터는 메타가 미국 내 건설한 22번째, 전세계적으로는 26번째 데이터센터다. 메타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에 8억 달러(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