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에이치앤비디자인이 중견 건설사 대한종건의 지분 인수를 마무리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대한종건 인수대금 잔금 지급이 모두 마무리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로써 총 200억원으로 대한종건 지분 100%를 인수했다. 회사 측은 "대한종건 기존 주주에게 지급할 인수대금에 대해 가압류 및 공탁 불수리 등 일부 노이즈가 발생했다"며 "해당 채권을 당사가 보유한 후 지급하는 방향으로 매도인들과 협의해 원활하게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대한종건은 지난해 매출액 1950억원, 영업이익 27억원을 기록한 시행·시공 전문기업이다. 올해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위주의 수주와 원가 관리, 장기간 쌓은 고객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올해 1분기부터 대한종건 실적이 연결 기준으로 반영돼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 지난 1월까지 50% 이상의 권리가 우선 이전돼 재무제표에 반영된다는 설명이다. 회사 측은 "대한종건과 같이 탄탄한 실적을 창출하는 건실한 자회사를 기반으로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며 "분양대행, 광고대행 등의 기존 사업에서도 다양한 수주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
[더구루=최영희 기자] 에이치앤비디자인은 20일 "올해 1분기부터 중견 건설사 대한종건의 실적이 연결 기준 실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라며 "안정적인 실적을 창출하는 건실한 자회사를 기반으로 실적 턴어라운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종건은 시행 및 시공을 담당하는 건설사다. 지난해에는 매출액 1950억원, 영업이익 27억원을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37억원이다. 원자재값 급등, 미분양 등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위주의 수주와 원가 관리, 탄탄한 고객 네트워크를 통해 호실적을 기록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총 200억원을 투자해 대한종건 지분 100% 인수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총 142.3억원을 지급했으며 58억원 규모의 잔금은 오는 4월 5일까지 납입한다. 회사 관계자는 "인수 잔금이 아직 남아있지만 지난 1월 잔금 일부를 지급하면서 올해부터 지분 50% 이상의 권리가 우선 이전돼 연결 실적으로 재무제표에 반영되고 있다"며 "올해 대한종건의 외형 성장이 예상되는만큼 에이치앤비디자인과의 시너지도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장성 높은 신사업도 지속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에이치앤비디자인은 대한종건 인수를 위한 중도금을 추가 지급했다고 31일 밝혔다. 현재까지 계약금 및 중도금으로 총 100억원을 지급했다. 회사 측은 "내년 1월 4일 예정된 잔금 100억원 납입을 앞당겨 올해 인수를 마무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며 "2023년은 안정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대한종건의 연결 실적 반영으로 외형과 수익성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종건은 지난 2004년 설립된 건설사다. 지난해 매출액 1,631억원, 영업이익 55억원을 달성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액 856억원, 영업이익 46억원을 기록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올해 대한종건 인수를 비롯해 자회사 스튜디오애닉을 통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 등 신성장동력을 확보했다. 스튜디오애닉은 국내 최정상급 감독 및 작가들과 함께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 제작을 추진 중이다. 에이치앤비디자인 관계자는 "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경영진들과 함께 미래 성장성 높은 다양한 사업군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것"이라며 "신규 사업 호조로 올해 영업이익 흑자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전했다. 한편 회사는 지난 28일 예정이었던 1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
[더구루=최영희 기자]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자회사 스튜디오애닉이 드라마 신작 ‘투혼’ 제작에 투자한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영화 ‘한산:용의 출현’ 투자를 시작으로 콘텐츠 사업에 진출했다. 스튜디오애닉은 에이치앤비디자인이 콘텐츠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오랜 준비기간을 거쳐 지난 7월 설립한 기업이다. 국내 최정상급 감독 및 작가들과 함께 흥행영화 ‘써니’와 ‘두사부일체’의 드라마 리메이크작을 비롯한 다수 작품을 추진 중에 있다. 스튜디오애닉 관계자는 “신작 ’투혼’을 비롯해 판타지 블록버스터 드라마 ‘신기록’에도 380억원을 투자해 제작 예정”이라며 “두 작품 모두 캐스팅, 투자 유치,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편성 등에 대한 협의를 마무리 중”이라고 전했다. ‘투혼’은 1600만명의 관객을 모은 영화 ‘극한직업’의 각본을 맡은 문충일 작가의 신작이다. 드라마 ‘신기록’은 레진 코믹스의 유명 웹툰 ‘신기록’을 바탕으로 제작된다. OCN 드라마 ‘구해줘’의 김성수 감독과 영화 ‘크리스마스 캐럴’의 김하늘 작가가 참여한다. 회사 관계자는 “향후에도 성장성 높은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기업가치를 높여갈 것”이라며 “수익성 극대화와 함께 경영
[더구루=최영희 기자] 에이치앤비디자인은 듀클래스한강투자조합을 대상으로 15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1일 밝혔다. 다음달 31일 유상증자 대금 납입이 마무리되면 최대주주가 듀클래스한강투자조합으로 변경된다. 듀클래스한강투자조합은 부동산 전문 디벨로퍼인 한강그룹이 최대 출자자로 참여했다. 조달한 자금은 미래성장동력을 위한 신규 사업에 활용한다. 고부가가치 사업을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기업가치를 높이는 전략이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외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을 겨냥한 콘텐츠 사업에 진출할 것"이라며 "다양한 네트워크와 재원을 활용해 콘텐츠 기획, 개발, 제작까지 아우르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전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6월까지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을 통해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자금을 조달했다. 이번 제3자배정 유상증자까지 완료하면 총 770억원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함께 내부 구조조정과 경영 효율화를 마치고 수익성 개선을 위한 사업구조를 구축했다. 에이치앤비디자인 측은 “한강그룹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향후 시공 및 분양 대행, 광고 등의 업무도 도맡을 계획"이라며 "이를 통한 광고 매출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