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최대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의 경영진들의 자사주 매각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 등 경영진 3명이 689만 달러(약 90억원) 규모 자사주를 매각했다. 이번 매각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 것은 창업자 겸 CEO인 브라이언 암스트롱이다. 그는 총 7만4325주를 매각했다. 금액으로는 580만 달러에 달한다. 이외에도 회계담당 이사인 제니펄 N. 존스와 라자람 고쿨이 각각 7335주(55만 달러 규모), 4580주(36만6500달러)를 매각했다. 코인베이스 경영진의 주식 매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2022년 11월부터 지속적으로 주식을 매각해오고 있다. 지난 3월에는 8만9196주, 4월에는 2만9370주를 매각했다. 가치는 각각 580만 달러, 180만 달러였다. 이번에 주식을 매입한 그리왈 폴은 3월에 30만 달러 규모 주식을 매각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경영진의 잇따른 주식 매각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2012년 설립된 코인베이스는 미국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자리잡으며 나스닥에도 상장됐다. 코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가격 급락으로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시장에 빙하기가 찾아온 가운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고용계획을 유지할 뜻을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 FTX CEO는 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 침체에도 추가 고용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 CEO는 "떠나는 사람보다 합류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냉각되면서 많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고용계획을 동결하거나 축소를 넘어 인원감축을 진행하기로 했다. 실제 미국 1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당분간 고용 규모를 유지하고 인력 채용 계획은 백지화하기로 했다. 제미니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전체 직원의 10%를 감원할 계획이다. 제미니의 현재 직원은 1000명 수준으로 10% 감원을 하게 될 경우 100여명이 해고되는 것이다. 이런 움직임은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코인 가격 하락기에도 있었다. 샘 뱅크먼 프라이드 CEO는 FTX의 기존 고용방식이 지속가능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FTX는 이전에도 단기간에 많은 인력을 충원하기보다는 신규 직원에게 적절한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형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3 스타트업 레인이 코인베이스, 테라폼랩스 등으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하며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레인은 27일(현지시간)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가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600만 달러(약 76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코인베이스 벤처스를 비롯해 권도형 CEO가 이끄는 테라폼랩스, 유니스왑 랩스, 노웨스트 벤처 파트너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레인은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을 위한 법인 신용카드, 경비 관리 툴 등을 제공해 성장을 돕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DAO가 기존 기업들과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DAO는 수직적인 조직 구조가 아닌 다수의 투자자들이 수평한 권한을 가진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자산을 가상화폐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 조직 운영에 필요한 비용 지불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실제로 웹호스팅 비용, 노트북 등 기자재 구입 비용 등 일반적인 비즈니스 비용은 여전히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을 이용해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시된 레인카드는 스테이블코인인 USDC를 보유하고 있는 지갑과 연동되며, 거래시 USDC를 법
[더구루=최영희 기자] 미국 최대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암호화폐 지갑 회사인 BRD를 인수했다. 다만 거래 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24일(현지 시간) 코인베이스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BRD의 자체 관리형 암호화폐 지갑에 대한 독특한 전문성은 더 많은 사람들이 탈중앙화된 암호화폐 세계에 안전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는 우리의 목표에 매우 중요하다"면서 "우리는 앞으로 몇 달 안에 BRD와 지갑 팀이 어떻게 통합될지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분권화, 보안 및 고객 통제 펀드에 중점을 두고 2014년에 시작된 BRD는 현재 1000만 명이 넘는 글로벌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BRD의 유틸리티 토큰인 Bread(BRD)의 가격은 이날 인수 발표 후 0.16달러에서 0.96달러로 약 500% 급등했다 .
[더구루=홍성일 기자] 컴투스에 투자 받은 바 있는 홍콩의 블록체인 게임업체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가 태국의 메타버스 플랫폼 '길드파이(GuildFi)'에 투자했다. 길드파이는 11일(현지시간) 디파이언스 캐피탈과 해시드가 주도한 시드라운드 펀딩을 통해 600만 달러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애니모카브랜즈, 판테라, 코인베이스, 알라메다 리서치 등도 투자자들도 참여했다. 길드파이는 게임, 커뮤니티, 대체불가토큰(NFT) 등을 연결해 메타버스 전반에 걸친 상호운용성을 생성하는 웹3 기반 플랫폼으로 게임 플레이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P2E(Play to Earn) 게임인 엑시 인피니티, 싸이볼 등을 서포트하고 있다. 또한 향후 다양한 게임 P2E 모델을 적용할 계획이다. 길드파이는 NFT를 기반으로 한 P2E 게임의 인기로 설립 3개월 만에 10만 명 이상 유저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일일 활성 유저도 2만5000명을 넘어서고 있다. 길드파이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길드파이ID, 게임검색, 도구 등 다양한 기능을 강화하고 전 세계 게임 제작자들과 협력관계를 넓혀 생태계를 확장하는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