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유럽 최대 니켈 생산국인 핀란드가 주요 배터리 소재 공급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영 기업을 필두로 글로벌 플레이어들과 손을 잡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도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는 유럽에서 유일하게 니켈, 리튬, 코발트 등 배터리 소재 광물 자원을 모두 보유한 국가다. 풍부한 자원을 앞세워 글로벌 파트너십 유치 프로그램 '배터리 프롬 핀란드(Batteries from Finland)' 등을 추진하고 있다.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업은 국영 기업인 '피니시 미네랄 그룹'이다. 피니시 미네랄 그룹 산하 '테라페임'과 '켈리베르'는 각각 핀란드에 있는 황산니켈과 리튬 광산을 개발중이다. 테라페임은 유럽 최대 니켈 광산인 '소트카모' 광산을 운영한다. 가공부터 처리, 생산까지 일괄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프랑스 르노그룹에 이어 올 1월 스텔란티스그룹, 이달 유미코아와 잇따라 황산니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본보 2021년 10월 31일 참고 르노그룹, 전기차 30만대분 니켈 조달…핀란드 '테라페임'과 맞손> 켈리베르는 핀란드 중서부 센트럴 오스트로보트니아주에서 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핀란드 금속업체와 손잡고 황산니켈을 조달한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을 선제적으로 확보,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그룹은 '테라페임(Terrafame)'과 황산니켈 수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지난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간 최대 15GWh 규모를 공급 받는다. 30만 대의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양사는 지속 가능한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전기차 배터리 화학물질 생산에 사용되는 솔루션을 넘어 추적 가능한 세부 측정 지표를 마련할 예정이다. 향후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 내 다른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하는 구속력 있는 계약도 체결한다. 특히 생산 공정에서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 집중한다. 테라페임의 미생물용출(bioleaching) 공정은 산업 평균보다 약 90% 적은 에너지로 황산니켈을 생산한다는 게 르노그룹의 설명이다. 미생물용출 공정을 활용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평균보다 약 40%, 아황산가스 배출량은 2%, 에너지 소비량은 20% 적다. 지안루카 데 피치(Gianluca De Ficchy) 르노그룹 구매담당은 "테라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