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이 글로벌 주요 대체 단백질 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푸드 테크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기술력과 공격적인 투자를 앞세워 지속 성장할 것이라는 평가다. 홍콩 비건(채식주의) 전문지 '그린퀸(Green Queen)'은 최근 국내 유망 대체육·해산물 제조업체 5곳을 집중 조명했다. 주인공은 △양유 △플랜테이블(PlanTable) △풀무원 △셀미트(CellMeat) △언리미트 이다. 우선 양유의 글로벌 행보를 높게 샀다. 식물성 치즈를 만드는 양유는 이달 초 막을 내린 'CES 2002'에서 처음 신설된 '푸드 테크놀로지' 섹션에 국내 식품 기업 최초로 참가했다. 양유는 미국법인 자회사 ‘아머드 프레시’가 개발한 비건 치즈를 처음 공개, 호평을 받았다. 올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진출, 영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비건 치즈도 순차 출시 예정이다. 식품 대기업들이 대체 단백질 산업에 뛰어든 것도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대두 기반 식물성 대체육을 잇따라 선보여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풀무원에 이어 CJ제일제당도 식물성 식품 전문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론칭했다. 비비고 플랜테이블 왕교자, 비비고 플랜테이블
[더구루=김다정 기자] 풀무원이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에 4년 연속 참가, ‘순수 식품·안전한 식품’을 내세우며 인기몰이를 이어갔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풀무원 중국법인 푸메이뚜어식품(圃美多)은 지난 5~10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제4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에 참가해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였다. 이번 박람회 기간 동안 식물성 단백질 음료·고기·만두, 파스타를 비롯해 핫도그, 얇은피 만두 등 다양한 브랜드 제품을 전시했다. 특히 풀무원은 한식 셰프들이 현장에서 다양한 음식을 직접 조리하는 모습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행사 부스에서 진행된 시식 행사에는 많은 관객이 줄을 길게 늘어섰다. 풀무원은 현장을 방문하지 못하는 고객들을 위해 텐센트 비디오(Tencent Video)를 통해 ‘체험형’ 생방송도 진행했다. 지난 2010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풀무원은 다양한 채널, 특히 CIIE의 국제 플랫폼을 통해 중화권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에게 풀무원 제품의 독특한 매력을 보여주고 점차 대규모 충성 고객을 육성했다. 이를 토대로 지난해 중국 현지 진출 10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풀무원 중국법인 푸메이뚜어식품(圃美多
[더구루=김다정 기자] 글로벌 비건 기업으로 도약하는 풀무원이 아시아 500대 브랜드로 선정됐다. 중국을 비롯해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서 선전한데 따른 성과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브랜드 평가기관인 아시아브랜드(Asiabrand)가 발표한 ‘2021년 아시아 500대 브랜드’ 목록에 국내 기업인 풀무원이 포함됐다. 아시아브랜드는 전문성과 권위를 바탕으로 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시장 지위를 판단, 올해로 16년째 아시아 500대 브랜드를 선정하고 있다. 이번에 풀무원이 500대 브랜드에 포함된 데에는 자제적인 브랜드 강점과 중화권 영향력 확대에 따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풀무원은 1991년 미국 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2010년 중국, 2014년 일본, 2019년 베트남에 진출하면서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브랜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현지 진출 10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풀무원 중국법인 푸메이뚜어식품(圃美多)은 지난해 매출 605억원, 영업이익 58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 기준 현지 식품업계 평균 이익률(5~6%) 대비 2배에 육박하는 9.6%를 기록했다. 중국 현지에서는 기업 슬로건인 '바른먹거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주요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에 나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제품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다. 일각에서는 규제에 의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실드AI(Shield AI)가 차세대 AI 기반 무인 스텔스 전투기를 한국 판매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실드AI는 유사시 한반도 연안 도서를 방어하는데 차세대 무인 수직이착륙(VTOL) 스텔스 전투기 'X-뱃(X-BAT)'의 탁월한 능력이 발휘될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