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코웨이가 올해 아마존 상반기 최대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몰이에 나선다. 아마존 프라임 고객에 한해 인기 품목을 할인 판매하는 데 코웨이 공기청정기도 저렴하게 판매해 흥행몰이 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는 지난 21일과 22일 이틀간 진행된 '아마존 프라임데이 2021'에서 공기청정기 상위 브랜드에 포함돼 '코웨이 에어메가 200M'을 할인 판매했다. 소비자들에게 프라임데이를 맞아 코웨이 공기청정기를 기존 판매가 보다 저렴하게 제공했다. 코웨이 에어메가 200M은 공기 중의 입자를 99.97 % 포집 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을 갖춘 강력한 공기 청정기이다. 반려동물 냄새에 효과적이다. 제품 판매가는 249.99달러인데 아마존 프라임데이를 맞아 40% 할인해 149 달러에 구입이 가능하다. 이번 할인 판매는 아마존 할인 프로모션 프라임 데이를 통해 진행됐다. 아마존 프라임데이는 아마존 쇼핑몰에서 매년 1회 프라임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세일을 제공하는 쇼핑 축제 기간이다. 다수 인기 품목 군에서 50% 등 파격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미국 대규모 할인판매로 유명한 블랙프라이데이와 달리 프라임 서비스 가입 회원을 대상
[더구루=길소연 기자] 코웨이가 동남아시아를 공략하는 방법으로 글로벌 아이돌 방탄소년단(BTS)를 내세웠다. 현지 마케팅 강화를 위해 셀럽을 적극 활용하는데 올해는 글로벌 브랜드 모델로 기용된 BTS를 앞세워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주력한다. 특히 동남아 소비자를 위한 콘텐츠 제작 외 전자상거래 채널도 구축해 코웨이 점유율을 높인다는 계획인다. ◇BTS 콘텐츠 제작…전자상거래도 구축 19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는 말레이시아 소비자를 하나로 묶는 데 큰 성공을 거둔 요인은 아이돌 BTS를 적극 활용한다. 말레이시아에서 BTS 인기가 대단하자 이들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공개해 소비자들과 강한 유대감을 형성한다는 전략이다. 크리스 노 코웨이 말레이시아 마케팅 부문 책임자는 "BTS와의 협업이 디지털 공간과 온라인 전략에서 회사의 입지를 강화하는 방법 중 하나"라며 "BTS가 코웨이의 기업 이미지와 정수기, 공기 청정기, 매트리스 등 제품을 모두 대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웨이의 BTS 모델 활용법은 디지털에서 빛을 발한다. 코웨이는 BTS가 출연하는 제품 홍보영상을 디지털 플랫폼에 공개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팬들과 강한 유대감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코웨이 공기청정기가 베트남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공기청정기 기능이 강조되면서 현지 언론이 코웨이 공기청정기 제품을 잇따라 소개하고 있다. 베트남 현지 매체 'kenh14.vn'는 9일(현지시간) 코웨이 공기청정기가 건강을 지키는 가전제품으로 주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드라마 속 산소발생 공기정화기를 소개하면서 해당 기술에 앞서 공기청정기 기술로 코웨이와 파나소닉의 공기청정기가 있다고 소개했다. 베트남이 주목한 공기청정기는 '코웨이 AP-1009CH 40W'이다. 해당 제품은 실내 면적 22㎡~33㎡에 적합한 공기청정기로 47dB의 매우 낮은 소음으로 조용히 작동된다. 산소 필터 기능을 통합하고 헤파(HEPA) 필터 기술을 사용해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모든 먼지, 유해 물질을 차단해 신선한 공기를 배출한다. 코웨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공기청정기를 해외시장에 적극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특히 베트남은 해외 매출 비중이 미미한 편이지만 현지 맞춤형 제품을 개발해 입지를 넓혀 나간다는 방침이다. 결제 방식도 업그레이드했다. 코웨이 현지법인 '코웨이비나'는 베트남 전자결제 서비스 VNPT Epay와 양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나듐 구리 정제 기술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 스틸 브라이트(Still Bright)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시범 생산 시설을 건설해, 상업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스틸 브라이트는 30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870만 달러(약 26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머터리얼, 임팩트 포르테에스큐, 아졸라 벤처스, SOSV, 임팩트 사이언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2022년 설립된 스틸 브라이트는 정제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리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제는 구리 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구리를 얻는 과정으로, 스틸 브라이트는 이 과정에서 최대 20%에 달하는 구리 금속이 손실된다고 설명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산구리(Cu2S)를 바나듐 용액에 담가 구리 금속을 추출했다. 스틸 브라이트 측은 바나듐 흐름전지(Vanadium flow battery)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했다. 바나듐 흐름전지는 활물질(바나듐이온)이 전해액 내부에 녹여진 상태로 작동하는 배터리로, 에너지저장장치(E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0번째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을 생산하며 조기 양산 체계 안착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빠르게 안정화된 생산 역량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의 공급 확대는 물론, 글로벌 ESS 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 중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9일(현지시간)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상하이에 위치한 '메가팩토리'에서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을 완료하고 유럽 수출을 위한 출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첫 양산을 시작한 이후 불과 6개월여 만에 이룬 성과다.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은 단순한 누적 생산 수치를 넘어 상하이 공장의 양산 체계가 빠르게 안정화됐음을 방증한다. 전체 기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생산량은 약 188대 수준이지만, 생산 초기 안정화 기간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월 300대에 근접하는 생산 속도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가 미국 외 지역에 처음으로 구축한 ESS 전용 생산기지다. 작년 5월 약 20만㎡ 부지에 착공, 9개월 만인 올해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총 투자비는 약 14억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