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북미 시장 기업 간 거래(B2B) 거점을 확대한다. 미래 먹거리인 인공지능(AI)과 혁신을 입힌 제품을 선보인다. 또한 파트너사로서 하여금 다양한 상업 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 적극적으로 기술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22일 LG전자에 따르면 북미 법인은 최근 미국 뉴저지 잉글우드(Englewood Cliffs)에 위치한 북미 본사에 비즈니스 혁신 센터(BIC)를 공식 오픈했다. 3600m² 규모다. BIC는 고객이 LG전자의 혁신적인 기술과 폭넓은 비즈니스 솔루션을 직접 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파트너사는 BIC를 방문해 LG전자의 최신 제품을 체험하고 LG전자 관계자와 사업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수 있다. 미국에선 △로스앤젤레스(LA) △시카고 △애틀랜타 △워싱턴DC △뉴저지 등을 운영 중이다. LG전자는 B2B 파트너 및 고객이 업무 환경 및 상업시설의 미래를 구상하고 계획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혁신적인 제품들을 대거 선보인다.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와 △직시형 발광 다이오드(DVLED) 솔루션 △상업용 프로젝터 △LG그램 노트북 △정보 기술 솔루션 △전기 자동차 충전기 △클로이(CLO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1위 타이어 회사 '굿이어'가 자율주행 트럭 회사들과 인연을 만들어가고 있다. 지난달 '플러스'와 협업을 선언한 데 이어 '개틱'(Gatik)에 투자를 결정했다. 자율주행 트럭 솔루션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굿이어 벤처캐피탈 펀드 '굿이어 벤쳐스'(Goodyear Ventures)는 최근 개틱이 발표한 시리즈B 펀딩에 참여했다. 개틱은 미국 캘리포니아 팰러앨토에 본사를 둔 중거리 B2B(기업 간) 물류용 자율주행기술 개발업체다. 지난 2019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사업을 시작하며 중거리 자율배송에서 존재감을 키웠다. 북미 내 중거리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텍사스, 아칸소 등 지역으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굿이어는 이번 투자와 함께 개틱과의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단거리 B2B 자율 물류 산업을 위한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개틱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비용 절감과 지속 가능한 상품 이동이 목표다. 개틱의 차량에는 굿이어의 스마트 타이어 제품 '굿이어 사이트라인'(Goodyear SightLine)이 장착된다. 자율 상용 차량의 정지거리를 개선하고 공기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더구루=윤진웅 기자] 최근 쿠퍼타이어와 인수합병을 통해 몸집을 불린 미국 1위 타이어 회사 '굿이어'가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플러스와' 손을 잡았다. 양사의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자율주행 트럭 솔루션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굿이어타이어는 지난 23일(현지시간) 플러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플러스는 장거리 트럭 운송을 위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업체다. 현재 상장을 위해 인수목적회사(SPAC)인 '헤네시캐피탈인베스트먼트V'(Hennessy Capital Investment Corp. V.)와 합병을 진행 중이다. 이 SPAC은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시가총액은 4억3900만달러(한화 약 5125억원)다. 지난 18일 아마존과 자율주행 트럭 1000대 이상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물류 산업의 변화를 선도할 자율주행 트럭 솔루션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굿이어타이어의 스마트 타이어와 플러스의 자율주행기술을 결합해 트럭의 연비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겠다는 방침이다. 크리스 헬셀(Chris Helsel) 굿이어 CTO는 "차량을 지면과 연결하는 유일한 제품인 타이어는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1위 타이어 회사인 굿이어타이어가 한때 경쟁사였던 쿠퍼타이어와의 인수합병 작업을 마무리했다. 몸집을 불린 굿이어 등장으로 글로벌 타이어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굿이어타이어는 7일(현지시간) 쿠퍼타이어와의 합병 작업을 마쳤다고 밝혔다. 마무리 작업은 지난 2월 발표한 합의안에 따라 진행됐으며 쿠퍼타이어는 이날부터 뉴욕 증권거래소의 거래가 중단됐다. 지난 1914년 설립된 쿠퍼 타이어는 북미지역 내 매출 5위 업체로 15개 국가에 1만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었던 타이어 회사다. 앞서 굿이어타이어는 지난 2월 쿠퍼타이어를 28억 달러(한화 약 3조1150억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쿠퍼 타이어 주주들에 주당 41.75달러의 현금과 0.907주의 자사 주식을 제공하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는 전날 종가에 24% 프리미엄을 얹은 수준이었다. 굿이어타이어는 이번 인수합병 마무리 작업을 시작으로 공동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에 초점을 둔 타이어 관련 서비스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미국 타이어업계 선두 자리를 확고히하고 중국 시장 점유율을 두 배가량 늘린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소형 트럭과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영화 '블레이드러너2049'의 이미지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시작된 저작권 침해 소송이 법의 판단을 받게됐다. 테슬라는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편집한 이미지 일뿐 저작권법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은 테슬라와 알콘 엔터테인먼트 간의 저작권법 소송을 기각하지 않기로 했다. 조지 우(George Wu) 담당판사는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가 원고의 주장을 기각할 만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소송은 지난해 10월 알콘 엔터테인먼트의 고소로 시작됐다. 알콘 엔터테인먼트는 10월 10일(현지시간) 진행된 위, 로봇(We, Robot) 이벤트에서 테슬라가 블레이드러너2049의 장면을 모방한 이미지를 무단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테슬라는 위, 로봇 이벤트를 통해 로보택시 사이버캡 등을 공개했었다. 알콘 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테슬라는 위, 로봇 이벤트 전 영화 배급사인 워너브라더스를 통해 블레이드러너2049의 이미지를 사용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알콘 엔터테인먼트는 머스크와 연관돼 평판이 실추될 것을 우려, 행사 개최 수 시간을 앞두고 테슬라의 요청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반도체 유니콘으로 주목받는 캐나다 텐스토렌트가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블랙홀(Blackhole™)'을 출시했다. 속도와 확장성 모두 잡은 신규 칩을 선보이며 AI 시장에서 선도 기업으로의 영향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텐스토렌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한 '텐스토렌트 데브 데이'에서 '블랙홀' 시리즈를 공개했다. 새 시리즈는 개방형 반도체 설계자산(IP)인 리스크파이브(RISC-V) 기반으로 방대한 AI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러 개를 연결해 확장 가능하다. 이번에 공개된 제품은 △블랙홀 p100 △블랙홀 p150 △티티-콰잇 박스(TT-Quiet Box)다. 블랙홀 p100은 인터넷 연결 기술인 이더넷 지원이 안 되며, 프로세서 한 개로 구동되고, 냉각 기능도 액티브 쿨링 한 가지다. 블랙홀 p150은 p100과 동일하게 한 개의 프로세서를 쓰지만, 이더넷을 지원하며, 액티브와 패시브, 수냉 쿨링 등 세 가지의 쿨링 방식이 가능하다. 티티 콰잇 박스는 칩 네 개가 탑재됐으며 수냉식 냉각 기능을 갖췄다. 가격은 각각 999달러(약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