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LG애즈솔루션(구 알폰소·이하 LG애즈)이 미국 온라인 광고 전문 회사 '매그나이트(Magnite)'로부터 수주를 따냈다. 풍부한 TV 시청 데이터를 제공해 광고 분석 생태계 구축을 돕는다. 매그나이트는 LG애즈와 다년 간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LG애즈의 미국 내 자동콘텐츠인식(ACR)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고 지난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내년 협력을 확장해 미국 외 다른 국가의 데이터도 확보할 계획이다. 매그나이트는 공급자측 광고 플랫폼(SSP) 업체다. 광고 도달 범위, 빈도 등에 대한 고객사의 요구가 늘어나며 LG애즈와 손잡기로 결정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LG애즈가 보유한 북미 3000만 가구 이상의 옵트인(Opt-in)된 스마트 TV 시청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LG애즈는 LG전자를 비롯해 도시바, 티보, 샤프, 하이센스 등 8개 TV 제조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광범위한 스마트 TV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시청 유형, 지역, 인구 통계, 국적, 가구 구성 등 전반에 걸쳐 광고 게재·시청 시간 등을 분석한 결과다. 데이터 다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TV 제조사와의 신규 파트너십도 적극적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헬스케어 분야 전문 광고 플랫폼 회사 '딥인텐트(DeepIntent)'가 'LG애즈솔루션(구 알폰소·이하 LG애즈)'과의 파트너십을 확장한다. 커넥티드 TV(CTV)를 통한 광고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 측정과 분석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딥인텐트는 최근 LG애즈와의 파트너십을 확대, 자사 광고 자동화 플랫폼(Demand Side Platform·DSP)과 LG애즈의 자동 콘텐츠 인식(ACR) 데이터를 완전히 통합했다고 발표했다. 딥인텐트는 LG애즈가 보유한 북미 3000만 가구 이상의 TV 시청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의료분야 마케터에게 CTV, 데스크톱, 모바일을 포함한 다양한 장치에 타겟팅 기능을 제공한다. 제약회사 등 광고주는 의료제공자(HCP), 환자 등 맞춤형 광고 캠페인을 실시할 수 있다. LG애즈는 LG전자를 비롯해 도시바, 티보, 샤프, 하이센스 등 8개 TV 제조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광범위한 스마트 TV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시청 유형, 지역, 인구 통계, 국적, 가구 구성 등 전반에 걸쳐 광고 게재·시청 시간 등을 분석한 결과다. LG애즈와 딥인텐트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애즈솔루션(구 알폰소·이하 LG애즈)가 스위스 미디어 대기업 ‘골드바흐’와 손잡는다. 유럽에서 LG전자의 스마트 TV 콘텐츠 플랫폼을 활용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LG애즈와 골드바흐의 마케팅 자회사 '골드바흐 오디언스'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골드바흐 오디언스는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 3개국에서 LG전자 스마트 TV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는 광고 공간을 판매하는 독점 지위를 확보했다. 광고 상품은 '홈 런처 배너', '히어로 디스플레이 광고', '콘텐츠 스토어 광고'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고객은 LG 콘텐츠 스토어 상단에 배너 형태로 광고를 넣으면 화면 실행시 광고가 재생된다. LG 콘텐츠 스토어는 LG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웹OS' 기반 스마트 TV에 탑재돼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활용해 외부 앱을 설치하거나 영화, 게임 등을 골라 즐길 수 있다. LG애즈와 골드바흐 오디언스는 고객들이 광고 노출로 월 기준 5400만 이상 조회수를 확인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별, 연령 등 인구 통계학 혹은 개인 취향별로 광고 타겟을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기업 고션(Gotion)의 미국 미시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결국 무산됐다. 미·중 패권 경쟁으로 인한 정치적 문제가 미국 내 배터리 생산 인프라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가 참여하는 미국 육군의 자주포 현대화 사업(Self-Propelled Howitzer-Modernization, SPH-M)의 추가 입찰 문서가 유출됐다. 지난 9월 말 발행한 자주포 정보요청서(RFI)를 뒷받침하는 문서로 미 육군이 원하는 차세대 자주포 요구사항이 담겼다. 현지생산 의무화와 미국산 탄약 발사 조항이 추가되면서 한화와 글로벌 경쟁사들의 수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