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통합선사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가 중국 조선소에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의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2척을 주문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ONE은 메탄올 이중 연료 1만3000TEU 네오 파나막스 컨테이너선을 중국 장난조선소와 양쯔장조선소에 각각 6척씩 발주했다. 당초 15척 컨테이너선을 발주하려 했으나 최종 12척만 발주했다. 신조선은 오는 2026년 말에서 2027년 사이 인도할 예정이다. 이번 거래를 위해 ONE은 일본 1위 조선사인 이마바리조선과 2위인 재팬마린유나이티드(JMU)의 합작사 니혼조선(NSY)을 비롯해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중국 장난조선과 중국선박공업(CSSC) 등에 입찰 제안요청서(RFP)를 전달했다. <본보 2023년 10월 5일 참고 '2조4000억원' 일본發 컨선 몰려온다…HD현대·삼성중공업 '물 밑' 협상> ONE은 이들 중 최종적으로 장난조선소와 양쯔장조선에 건조사로 택했다. ONE이 중국 조선소에 건조를 맡긴 건 가격 경쟁력 때문이다. 한국 조선소가 선박 한 척당 최소 1억8000만 달러(약 2350억원)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중국 조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7위 컨테이너선사인 일본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가 2조4000억원 규모의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ONE은 최첨단 컨테이너선을 배치해 시장의 단기 변동에 따른 제약을 없애고 선대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ONE은 최대 15척의 뉴 파나막스 컨테이너선을 발주한다.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에 옵션 5척을 포함해 15척이다. 입찰 제안요청서(RFP)는 일본 1위 조선사인 이마바리조선과 2위인 재팬마린유나이티드(JMU)의 합작사 니혼조선(NSY)을 비롯해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중국 장난(江南)조선과 중국선박공업(CSSC) 등에 전달됐다. 신조선은 기존 연료 또는 메탄올 이중 연료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ONE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대체연료, 카본매니지먼트, 친환경 선박 해체 및 재생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업계는 ONE이 신조선을 두 조선소에 나눠 발주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력 건조사로는 HD현대중공업과 니혼조선이 언급된다. 지난해 5월 ONE이 발주한 1만3700TEU 컨테이너선 10척을 HD현대중공업과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아워넥스트에너지(Our Next Energy, 이하 ONE)'가 배터리팩 두 개를 활용해 1회 충전만으로 약 1000㎞ 주행을 실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한다. 이 배터리는 BMW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iX'에 탑재돼 테스트를 거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ONE이 BMW의 iX에 장착할 '제미니(Gemini)'는 두 개의 배터리팩으로 구성된다. 1회 충전 시 150마일(약 250㎞)을 달리 수 있는 리튬인산철(LFP)과 이보다 더 긴 주행거리를 제공하는 배터리(450마일·약 720㎞)가 함께 탑재된다. 후자는 장거리를 달릴 때 활성화된다. 값비싼 코발트를 쓰지 않고 니켈과 흑연 함량도 줄인 제품으로 알려졌다. 대신 망간을 비롯해 북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광물 비중을 늘렸다. 이를 통해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순화하며 안전성을 향상시켰다는 게 ONE의 설명이다. 두 개의 배터리팩을 통해 제미니는 600마일(약 1000㎞)의 주행거리를 자랑한다. BMW는 ONE과 협력해 전기차의 단점인 짧은 주행거리를 보완한다. 미국 자동차 전문매체 카앤드라이버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아워넥스트에너지(Our Next Energy, 이하 ONE)가 미시간주에 짓는 배터리 공장에 대해 현지 주정부로부터 3000억원이 넘는 보조금을 받게 됐다. 2조원 이상 쏟아 배터리 기가팩토리를 짓고 독일 BMW와 협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미시간경제개발공사(MEDC)에 따르면 MEDC 산하 미시간전략기금(MSF)은 지난 5일(현지시간) 이사회에서 ONE에 2억3660만 달러(약 3340억원)를 지원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주정부는 앞서 2160만 달러(약 300억원)의 세금 면제와 1500만 달러(약 210억원)의 대출도 제공했다. 그레천 휘트머(Gretchen Whitmer) 미시간 주지사는 "ONE이 16억 달러(약 2조2590억원)를 투자해 2112개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경제적 모멘텀을 강화하고 모빌리티·전기화의 미래를 가져올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ONE은 미시간주 웨인 카운티에 기가팩토리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프로젝트명은 '원 서클'(ONE Circle)로 배터리 원재료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시설을 구축하겠다는 포부가 담겼다. ONE은 65만9589ft²(약 6만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아워넥스트에너지'(Our Next Energy, 이하 ONE)가 주행거리가 약 1000㎞에 가까운 무음극 배터리를 선보인다. BMW의 중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프로토타입에 탑재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2026년 양산에 돌입한다. [유료기사코드] ONE은 오는 15일까지 미시간주 노바이에서 열리는 '배터리 쇼'(The Battery Show)에서 240Ah급 무음극 배터리 '제미니'(Gemini)를 공개한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무음극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음극재를 쓰지 않는 배터리다. 에너지밀도를 높이고 생산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삼성과 SK온, 현대차그룹, 테슬라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ONE이 개발한 배터리는 각형 제품으로 에너지밀도가 1007Wh/L에 달한다. 1회 충전으로 600마일(약 965㎞) 주행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무음극 배터리 중에 에너지밀도가 가장 높다. 생산 비용도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kWh당 50달러 절감이 가능하다. 무음극 배터리는 수명이 짧아 자동차에 적합하지 않았는데 ONE은 이중 화학 아키텍처를 적용, 피크 전력 사용량을 90%까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중공업이 일본 해운사로부터 5척의 컨테이너선 건조 일감을 확보한다. 25일 업계와 프랑스의 해운 분석기관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일본 선사 ONE(Ocean Network Express)이 1만4000TEU급 네오파나막스 컨테이너선 10척을 발주할 예정이다. 네오 파나막스급(8000~1만3000TEU)으로 스크러버를 설치할 예정이다. 1만3000TEU급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 할 수 있어 미국 동해안, 남미 동해안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같은 이유로 대형 컨테이너선이 신조선 시장에서 대세로 뜨고 있다. 일감은 현대중공업과 자국 조선소 이마바리 조선이 각각 5척씩 나눠서 확보한다. 신조선은 2025년 인도한다. 선박의 주요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길이 약 335m, 빔 51m(20열)의 소형 네오파나막스일 것으로 추정한다. 선가는 척당 1억5000만 달러(약 1826억원)으로 5척 수주가는 총 7억5000만 달러(약 9131억원)가 될 전망이다.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해당 규모의 선박은 사양과 배송 날짜에 따라 최대 1억500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이 든다. 과거보다 2000만~3800만 달러 더 비싸졌다. 1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컨테이너 해운사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가 1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에 나서면서 한국 조선소들의 수주 기대감이 높아진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ONE은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5척 신조 발주 건조사로 극동지역 조선사 4곳을 최종 후보지로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 규모는 8억 달러(약 9572억원)에 달한다. 선박은 네오 파나막스급(8000~1만3000TEU)으로 스크러버를 설치할 예정이다. 1만3000TEU급은 파나마 운하를 통과 할 수 있어 미국 동해안, 남미 동해안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같은 이유로 대형 컨테이너선이 신조선 시장에서 대세로 뜨고 있다. 당초 ONE은 지난해부터 최대 25억 달러(약 3조원)에 달하는 네오 파나막스급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15척을 발주를 검토했다. 거래에는 확정물량 10척에 옵션 5척 포함됐다. <본보 2021년 10월 15일 참고 싱가포르발 '3조' 컨테이너선 발주사업 시동…조선 빅3, 연말 곳간 채우나> 건조사로는 국내 대형 조선업체 3곳을 포함해 일본 니혼조선소와 중국 후동중화조선, 강남조선소, 다롄조선공업, 양쯔장조선 등이 후보로 거론됐다. 업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컨테이너 해운사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가 최대 25억 달러(약 3조원)에 달하는 네오 파나막스급 이중 연료 컨테이너선 15척을 발주하는데 국내 조선 3사가 선박 건조사 후보에 올랐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ONE은 1만3000TEU급 신조선 10척에 대한 견적과 추가 5척의 선박에 대한 옵션을 주문을 검토하고 있다. ONE이 발주에 나선다면 2018년 출범 이후 회사의 첫 신조 계약이 된다. ONE은 극동조선소에 접근해 주문을 물색했다. 후보로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해 일본의 니혼조선소와 중국 후동중화조선, 강남조선소, 다롄조선공업, 양쯔장조선 등이 지목됐다. 이번 신조선은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 공급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선박에 대한 제안을 요청하고 있다. LNG 연료 선박으로 가는 것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ONE의 발주 소식이 들리자 조선소들의 수주 경쟁이 치열하다. 대부분의 조선소들이 이미 수주나 전세 계약로 선박을 조달했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대한 슬롯 확보가 쉽지 않아서다. 조선소들이 이미 2024년까지 건조 슬롯이 꽉차 ONE의 신조선은 2024년 말이나 2025년에 인도될 예정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