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SPC삼립과 오뚜기가 스페인 언론 매체가 뽑은 2021년 최고의 판코(빵가루) '톱10'에 올랐다. 국내 식자재가 해외에서 제품럭을 인정받은 것는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립 빵가루는 스페인 뉴스 포털 '마스 비브라'(Mas Vibras)가 선정한 '최고의 판코'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오뚜기 빵가루는 8위에 올랐다. 마스 비브라는 전체 332개의 제품 중 예산, 내구성, 고객 리뷰, 브랜드 등 여러 요소를 평가해 최고의 판코 순위를 매겼다. 전체 제품 중 1위를 차지한 삼립 빵가루는 바삭바삭한 식감으로, 육류와 생선·해산물 요리에 적합하다는 호평을 받았다. 8위 오뚜기 제품은 일본요리에 잘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았다. 마스 비브라는 "시장에 나온 다양한 제품 중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라며 "브랜드도 중요하지만 품질, 내구성, A/S 등도 중요한 선택 요소"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국내 업체들이 해외시장에서 제품력을 인정받으면서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내수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낮아져 신시장 개척을 통해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에서 불고 있는 케이팝(K-POP)과 K-뷰티 열풍에 K-베이커리도 가세했다. 국내 1·2위 제빵 프랜차이즈인 파리바게뜨와 CJ 뚜레쥬르가 갓구운 신선한 빵 등 한국식 베이커리로 미국 소비자의 입맛을 홀리고 있다. 특히 양사는 미국 시장 확대를 위해 신규 출점과 신제품 출시로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적극적이다. ◇파리바게뜨, 출점 속도10년 내 1000호점 오픈 16일 업계에 따르면 SPC 파리바게뜨는 미국에서 신규 출점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텍사스주와 오하이오주에 이어 콜로라도에도 신규 매장을 내고 미국 고객 접점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파리바게뜨 미국법인은 내년 콜로라도 윈터파크에 '콜로라도 1호점'을 연다. 신규 매장은 윈터파크에 새로 건설되는 쇼핑몰 내 232㎡ 면적으로 오픈한다. <본보 2021년 6월 15일 참고 파리바게뜨, 美 콜로라도 1호점 출점…내년 윈터파크에 오픈> 이보다 앞서 신시내티 1호점을 출점하기 위해 중국계 미국인 레스토랑이자 멀티브랜드 프랜차이즈 '아이 린'(Ai Lin)과 가맹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신시내티에 1호 매장으로 오하이오주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본보 20
[더구루=길소연 기자] SPC 파리바게뜨가 미국 출점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텍사스주와 오하이오주에 이어 콜로라도에도 신규 매장을 내고 미국 고객 접점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 미국법인은 내년 콜로라도 윈터파크에 '콜로라도 1호점'을 연다. 신규 매장은 윈터파크에 새로 건설되는 쇼핑몰 내 232㎡ 면적으로 오픈한다. 파리바게뜨는 현지에서 매일 나오는 갓구운 빵과 최고의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콜로라도 1호점 출점으로 파리바게뜨의 연내 미국 100호점 달성은 물론 10년 내 1000호점 오픈 달성이라는 중장기 비전 실현도 빨라진다. 파리바게뜨 미국법인은 지난 5월 향후 10년 내 1000호점을 오픈한다고 밝혔다. <본보 2021년 4월 9일 참고 SPC 파리바게뜨, 미국 출점 가속도…"10년 내 1000호점"> 특히 파리바게뜨는 텍사스주 일대 30개 매장을 오픈 계획을 세우고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 댈러스-포스워스 지역에서도 20개 매장 오픈을 준비하고 있다. <본보 2021년 5월 6일 참고 파리바게뜨, 美 텍사스 30개 매장 출점 가속도> 최근에는 신시내티 1호점을 출점하기 위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재미 한인 사업가와 손을 잡고 미국 라스베가스 지역 출점에 속도를 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한인 사업가 출신 헬린 김과 미국 라스베이거스 브랜드 지역개발자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이미 1호점을 인수했으며 2호점 출점을 위해 부동산 계약을 앞두고 있다. 그는 파리베게뜨의 미국내 성장 가능성을 내다 보고 라스베이거스 지역에 최대 6개 매장을 출점한다는 계획이다. 김씨는 브라질에서 미국으로 이민왔으며, 그의 가족은 소매업과 음식점업에서 여러 사업을 운영하며 미국에 정착했다. 특히 그는 5성급 리조트인 아리아 리조트 앤 카지노에서 제빵사로 일하면서 파리바게뜨와의 프랜차이즈 기회를 발견하고 출점을 결심했다고 알려졌다. 헬렌 김은 "파리바게뜨 브랜드를 믿는다"며 "캘리포니아에 돌아오면 항상 파리바게뜨가 제일 먼저 가는 이유는 그곳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맛과 품질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파리바게뜨의 방향성도 한몫했다. 그는 마크 멜 파리바게뜨 최고개발책임자(CDO)와의 미팅에서 매장 오픈을 결심했다. 헬렌 김은 "마크 멜 CFO는 이해심이 많고, 아무리 작은 질문에도 모든 대답을 해줬다"며 "스프링마운틴의 라스베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