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옥] 美, 반도체 이어 배터리 자료 요구 가능성…삼성·SK·LG 예의주시

디지타임스 보도…광산·특허·자금 정보 등 요청 전망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정부가 반도체에 이어 배터리 회사에 민감한 정보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으로 배터리 확보가 중요해지며 미국이 자국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인데요.

 

대만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지타임스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배터리 시장은 미국이 반도체 제조사에 했던 것처럼 배터리 공급사를 조사할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작년 9월 23일 반도체 공급난 해결을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 TSMC 등 반도체 업체에 질문서를 작성해 제출하라고 요청했었는데요. 고객사 정보와 재고 현황 등 민감한 질문이 담겨 기밀 유출 우려가 일었습니다.

 

업계는 반도체에 이어 배터리에서 비슷한 자료 제출을 주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미국 내 운영 허가를 받는 대가로 원재료를 채굴하는 광산과 자금, 특허, 이해관계자 신원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미국 정부는 CATL과 BYD, 궈시안 등 중국 업체들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를 비롯해 완성차 회사들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용을 확대하며 중국 업체들과 거래를 늘리고 있어서인데요.

 

이로 인해 중국 회사들의 미국 시장 진출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궈시안은 미국 완성차 회사와 협력해 미국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요.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일본 파나소닉도 예외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한·중·일 회사들은 전 세계 배터리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배터리는 전기차 보급으로 수요가 증가하며 '제2의 휘발유'로 불리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배터리 수요는 2030년 3282GWh로 2020년 대비 14배 증가할 전망인데요.

 

미국도 유럽, 중국과 함께 주요 전기차 수요처지만 배터리 공급 역량은 부족합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내 배터리 생산 역량은 2020년 기준 약 48GWh 규모며 미국 기업에 의한 공급이 가능한 규모는 0.7GWh에 그치고 있는데요. 해외 기업에 크게 의존하면서 미국 정부는 배터리 수급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작년 2월 전략물자 중 하나로 전기차용 배터리를 지목했었는데요.

 

미국이 반도체 다음으로 배터리 회사를 겨냥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업계는 긴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미국이 자료 제출을 요구한다면 이를 거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데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또한 미 상무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기밀 자료를 제외하고 제출한 바 있습니다. 양사를 포함해 총 189개 기업이 자료를 냈었습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