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화웨이가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에도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 국가를 넓혀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가 압박 수위 강도를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화웨이는 성명을 통해 "전세계 30개국에서 46건의 5G 상용화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미국의 압박 속에서도 이미 맺었던 계약이 파기되지 않고 추가 계약들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화웨이에 대한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일에는 러시아 최대 통신사인 MTS와 5G 통신기술 개발과 시범사업 운영협약을 맺었다. 협약식 자리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협약식 자체가 미국을 향한 메시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중국 정부도 2020년으로 예정한 자국내 5G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하며 6일 주요 이통사인 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브로드캐스팅네트워크 등에 5G 영업허가증을 발급해 화웨이의 숨통을 틔워주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정부의 때리기로 뿌리째 흔들릴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중국 정부와 러시아 등 일부국가들의 지지를 받으며 화웨이가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미국 측도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피트 훅스트라 주네덜란드 미국대사가 지난 5일 "네덜란드 정부는 5G 네트워크 구축에서 화웨이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리 해리슨 주한 미국대사도 이날한국의 반화웨이 전선 동참을 요구하고 나서 LG유플러스 등 화웨이 장비를 쓰고 있는 기업, 지자체들에 엄청난 압박이 되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중국정부가 6일 자국 기업에 불이익을 주는 기업은 '블랙리스트'에 올리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며 "양국에 끼인 전세계 나라들의 고민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