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체리자동차 산하 브랜드 재쿠(JAECOO)가 옛 현대자동차 러시아 공장에서 브랜드 대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J7'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체리차는 현대차가 러시아 공장과 함께 매각한 제너럴모터스(GM) 공장을 활용해 산하 브랜드 차량을 생산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체리자동차 산하 브랜드 재쿠(JAECOO)가 옛 현대자동차 러시아 공장에서 브랜드 대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J7'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체리차는 현대차가 러시아 공장과 함께 매각한 제너럴모터스(GM) 공장을 활용해 산하 브랜드 차량을 생산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가 스마트폰 생산 필수 부품의 수입 관세를 전격 철폐한다.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의 투자를 유치하는 한편 자국 내 관련 생태계를 육성, 향후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국 1위로 우뚝 선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 장관은 지난 1일(현지시간) 스마트폰 부품에 관한 수입 관세를 철폐한다고 밝혔다. 인도 정부는 기존 인쇄 회로 기판 조립품(PCBA), 카메라 모듈 부품, USB 케이블 등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해왔으나 이를 전면 해지하기로 했다. 인도는 애플과 삼성전자, 샤오미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인도에 생산 시설을 설립하거나 확장하도록 유도, 자국 내 스마트폰 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이번 관세 철폐는 지난해부터 예고되어 왔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말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PLI)' 제도에 따라 전자 부품 제조업체에 대한 최소 2300억 루피(약 4조원)의 신규 보조금과 수입 관세 인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인도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 허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구상이다. 인도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미디어텍'이 2나노미터(nm) 칩 개발을 위해 미국 반도체 회사 '엔비디아', 설계자동화(EDA) 기업 '케이던스'와 손을 잡았다. 선단 공정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디어텍이 2나노 고지를 점령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케이던스에 따르면 미디어텍은 2나노 칩 설계를 위해 케이던스의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버추소 스튜디오(Virtuoso Studio)'와 '스펙트레 엑스 시뮬레이터(Spectre X Simulator)'를 채택했다. 미디어텍은 케이던스 솔루션을 도입해 생산성을 약 30% 향상하고 작업 시간(TAT)을 단축하는 효과를 거뒀다. 버추소 스튜디오는 아날로그·커스텀 칩 설계 툴이다. 이 툴을 사용해 회로를 설계하고 최적화해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한다. 스펙트레 엑스 시뮬레이터는 설계된 회로가 실제 설계자가 원하는 성능을 내는지 시뮬레이션하고 검증하는 툴이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은 스펙트레 엑스 시뮬레이터를 활용할 때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터는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실행된다. 하지만 2나노 칩은 회로가 복잡해 CPU만으로는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