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달 멕시코 자동차 시장에서 나란히 질주했다. 기아 주력 모델인 K3는 월간 베스트셀링카 '2위', 현대차 그랜드 i10는 '7위'에 올랐다. 현대차·기아는 현지 맞춤형 프로모션을 앞세워 하반기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14일 멕시코 통계청(INEGI)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멕시코 시장에서 930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7월 말 누적 6만2244대(점유율 7.5%)를 기록, 브랜드 순위 5위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멕시코에서 4712대를 판매, 7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3.8%를 기록했으며, 상승폭은 3.7%에 달한다. 누적 기준 2만9952대(점유율 3.6%)로 전년 보다 1.9% 증가했다. ↑ 누적 판매 1위는 닛산이 차지했다. 15만1897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18.2%를 기록했다. GM 쉐보레가 10만24166대, 폭스바겐이 7만5514대를 판매, 2·3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각각 12.3%, 9.1%%로 집계됐다. 이어 △토요타(7만731대·8.5%) △마쯔다(5만9712대·7.2%) △포드(3만116대·3.6%) △MG(2만7534대·3.3%) △스즈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인도네시아에서 '톱10'에 이름을 올려 현지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다만 일본 완성차 브랜드와의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7월 현지에서 1239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10위를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 8위에서 두 계단 하락했다. 점유율도 상반기(3.0%) 대비 1%포인트 감소한 2.0%에 그쳤다. 1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총 6만552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32.4%를 기록했다. 2·3위는 다이하쓰와 스즈키가 차지했다. 각각 1만451대와 6010대를 판매했다. 이어 △혼다(5235대)△미쓰비시(5011대) △BYD(2335대) △이스즈(2190대)△미쓰비시 후소(1871대) △체리차(1593대 등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 가운데 선방했다는 평가다. 인도네시아 지난달 도매 판매량은 6만552대로 전년 대비 5% 안팎으로 줄었다. 고금리와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차가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BYD와 체리 등 중국 브랜드들도 빠르게 순위권에 진입, 인도네시아 자동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이 '타바레스 스트라찬: 내일의 시작된날' 전시회를 공동으로 개최한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현대차와 LACMA의 오랜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오는 10월 12일 부터 내년 3월 29일 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티스트 타바레스 스트라찬의 가장 광범위한 네온 작품 등 20점 이상의 신작을 선보인다. 조각과 회화, 텍스트, 음악 등이 결합한 이번 전시는 흑인 디아스포라와 관련 주류 내러티브에서 간과됐던 역사를 조명한다. 타바레스 스트라찬는 1979년 바하마 나소에서 태어나 현재 뉴욕과 나소를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으며, 2003년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을 졸업하고 2006년 예일대학교에서 조각 석사 학위를 받았다. LACMA 다이애나 나위(Diana Nawi)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회는 타바레스의 다양한 개념적 접근 방식을 경험하고, 오브제 제작 기술과 세계 구축에 대한 그의 관심사를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15년부터 현대차와 LACMA가 공동으로 진행해온 'LACMA의 현대 프로젝트(The Hyundai Project)'의 일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일본 완성차 브랜드가 장악하고 있는 필리핀 자동차 '톱10' 브랜드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는 등 고속주행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도 현지 판매 8위를 차지했다. 12일 필리핀자동차제조업체협회(CAMPI)에 따르면 기아는 상반기 현지 자동차 시장에서 4195대(점유율 1.8%)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수치다. 브랜드 판매 '10위'를 차지했다. 기아 소형 크로스오버 '소넷'이 전체 판매를 견인했다. 소넷은 상반기 동안 3171대가 판매, 기아 간판모델로 자리매김했다. 쏘렌토 역시 전년 대비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카니발 하이브리드 등도 판매 확대에 한 몫했다. 기아는 이 같은 상승세를 하반기에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딜러망을 강화하고 EV6 등 전기차에 대한 프로모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상반기 5513대(점유율 2.4%)를 판매, 8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다. 3위인 포드를 제외하고 '톱7'은 모두 일본 완성차 브랜드가 독식했다. 1위는 1만9624대(점유율 48.47%)를 기록한 토요타가 차지했다. 이어 △미쓰비시(7,408대·18.3%)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중국 턴어라운드'에 청신호를 켰다. 특히 지난달 2만대가 넘는 판매고를 올리며 올해 누적 판매량이 14만 대를 돌파하는 등 뚜렷한 실적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8일 기아 중국 합작법인인 위에다기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7월 중국 시장에서 총 2만35대를 판매했다. 지난 3월 이후 5개월 연속 월 2만 대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시장 회복세를 견인하고 있다. 올 들어 1월부터 7월까지의 누적 판매량은 14만4062대에 달하며,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9.3% 증가한 수치다. ◇셀토스 등 주력 모델 판매 견인…수출도 견인 기아의 중국 실적 반등은 강력한 '투트랙'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우선 가성비와 상품성을 갖춘 셀토스 등 주력 모델들이 중국 내수 시장 회복을 이끌고 있다. 'Z세대 SUV'로 불리는 셀토스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파노라마 선루프 등을 기본 탑재하며 상품성을 높여 젊는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전기차 모델인 EV5 역시 1회 충전 시 최대 720km 주행이 가능한 장거리 성능을 앞세워 중국의 고급 전기 SUV 시장 수요를 효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브라질 시장에서 주춤, 토요타에 밀려 5위에 그쳤다. 누적 판매량은 10만대를 조금 넘겨 '연간 20만대' 2년 연속 달성에 관심이 쏠린다. 11일 브라질자동차유통연맹(Fenabrave)에 따르면 현대차는 7월 브라질 자동차 시장에서 1만6572대(점유율 7.2%)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9% 감소한 수치이다. 올들어 누적 판매량은 10만2710대(점유율 7.8%)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현대차는 크레타와 HB20이 전체 판매를 견인했다. 크레타는 지난달 7856대를 판매, 월간 베스트셀링카 6위에 올랐다. HB20의 경우 5519대가 판매됐다. 이들 모델 비중은 70%를 웃돌고 있다. 기아는 지난달 341대를 판매, 25위를 기록했다. 누적 판매량은 2315대(점유율 02%)로 전년 동기 대비 68.6% 큰 폭으로 상승했다. 1위는 5만596대를 판매한 피아트가 차지했다. 폭스바겐은 4만1837대로 2위, 쉐보레는 2만4427대로 3위를 각각 기록해다. 1만7290대를 판매한 토요타는 현대차는 제치고 4위에 올랐다. 현대차에 이어 △지프(9960대) △르노(9862대) △△BYD(9692대)
[더구루=김은비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전기차 라인업에 ‘새 얼굴’을 달았다. 브랜드 헤리티지에서 출발해 미래적 감성을 입힌 디지털 그릴을 공개하고, GLC 전기차(EV)에 최초 적용한다. 단순한 장식이 아닌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전면 업데이트’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10일 메르세데스-벤츠에 따르면 이번 GLC EV에는 최대 942개의 조명이 점등되는 ‘픽셀 라디에이터 그릴’이 탑재된다. 기본형은 와이드 크롬 프레임과 스모크 글래스 질감의 격자, 윤곽을 따라 흐르는 컨투어 라이팅이 조합돼 기존의 블랙아웃 그릴 대비 입체감과 존재감을 강화했다. 옵션 사양을 선택하면 942개 백라이트 도트가 애니메이션으로 점등·소등하며, 중앙의 삼각별 엠블럼과 둘레 컨투어까지 빛나 일체형 시그니처를 구현한다. 특히 디자인은 과거의 상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클래식 600 풀만과 S클래스에서 이어진 수평·수직의 질서, 크롬 장식의 품격을 디지털 라이팅 그래픽으로 변환해 ‘감각적 순수함(Sensual Purity)’을 전면에서 체감하게 하는 식이다. 고든 바그너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디자인 총괄은 “새 그릴은 GLC의 전면부를 넘어 브랜드의 얼굴을 재정의한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오하이오주를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섰다. 2014년 제정된 ‘직접판매 금지법’이 자사에는 적용되면서도 테슬라에는 예외를 허용한 것은 불공정하며 위헌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최근 오하이오주를 상대로 직접판매 금지 조항에 대한 위헌 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법은 완성차 제조사나 그 계열사가 주 내에서 차량을 직접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리비안은 오하이오에서 전시장 개설은 물론 소비자와의 직접 계약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리비안은 특히 테슬라에만 허용된 예외 조항을 문제 삼았다. 테슬라는 법 제정 당시 이미 운영 중이던 콜럼버스·신시내티 매장 외에, 이후 클리블랜드에 3번째 매장을 추가로 열 수 있었다. 반면 리비안은 현재 클리블랜드·신시내티·콜럼버스 등에 서비스 센터만 두고 있으며, 차량 판매는 타주에서만 가능하다. 리비안은 “이 같은 규제는 소비자에게 불필요한 불편을 주고, 물류·영업 측면에서도 상당한 손실을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소송을 통해 리비안은 오하이오 내 정식 딜러 등록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중저가 전기 SUV ‘R2’ 출
[더구루=김은비 기자] SK하이닉스가 세계 1위 플래시 메모리 카드 제조업체인 샌디스크(Sandisk)와 고대역폭 플래시 메모리(HBF) 시장 표준화에 협력합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과 시너지를 내고 인공지능(AI) 맞춤 솔루션을 바탕으로 차세대 메모리 시장을 잡는다는 각오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SK하이닉스·샌디스크 'HBF 동맹' 결성...AI용 차세대 메모리 표준화 맞손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인도 남서부 고아주 경찰에 다목적차량(MPV) '카렌스(Carens)'를 공급한다. 카렌스가 공공기관 차량으로 활약하면서 기아의 브랜드 인지도는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프라모드 사완트 고아 주지사는 6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고아 경찰은 범죄 대응과 치안 강화를 위해 기아 카렌스를 순찰차(PCR)로 신규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고아주에 투입된 카렌스는 △경찰 전용 스트로브 라이트 △데칼 △통신장비 등을 장착, 현지 맞춤형으로 탈바꿈했다. 카렌스는 현지 긴급 대응 통합 시스템 ERSS-112와 연계, △만드렘 △모파 △발푸 △쿤콜림 △카나코나 등 고아 전역에 배치될 예정이다. 기아가 인도 경찰로부터 잇단 '러브콜'을 받고있다. 기아는 앞서 지난해 2월에는 펀자브주 경찰에 카렌스 71대를 긴급 대응 차량(ERV)으로 납품한 바 있다. 카렌스는 1.5리터 가솔린 엔진에 6단 수동 변속기를 탑재한 첨단 다목적차량(MPV)이다. 넓은 실내 공간과 높은 연비 효율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현지 경찰의 잇단 러브콜은 기아 브랜드 현지 인지도와 이미지 제고 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기아는 지난달 인도 내수 시장에서 2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오션이 브라질 공급사와의 네트워킹 행사에서 조선소 투자 계획을 내비쳤습니다. 조선 인프라가 발달한 리우데자네이루주 니테로이(Niterói)에 현지 조선 거점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해양플랜트 수요에 대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화오션, 브라질 조선소 구축 '막바지 단계'…최대 7000명 일자리 목표 공유
[더구루=김은비 기자]미국 건설사 플루어(Fluor)가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의 지분 매각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습니다. 주가 상승에 따라 차익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두산에너빌리티·삼성물산 투자' 美 뉴스케일파워 지분 매각 추진 전망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카드게임 시장이 10년 만에 3배 가까이 성장하며 3000억 엔 규모를 돌파, 장난감 업계의 핵심 동력으로 떠올랐다. 과거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카드게임에 막강한 구매력을 갖춘 성인 '키덜트(Kidult)' 세대가 유입되며 전성기를 맞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코트라 오사카무역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도 회계년도 기준(2024년 4월~2025년 3월) 일본 내 카드게임 및 트레이딩 카드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 기준 전년 대비 9.0% 증가한 3024억엔(약 2조8270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960억엔(약 8950억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한 수치로, 같은 기간 완구 시장 전체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대전을 즐기는 오락의 한 형태인 카드게임이 성장하는데는 키덜트 세대의 유입이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다. 1996년 '포켓몬 카드 게임' 출시와 함께 유년 시절을 보낸 이들이 성인이 돼 경제력을 갖추면서 기꺼이 지갑을 열고있는 것. 이들의 등장은 15세 미만 어린이 인구가 10년간 약 12%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성장하는 배경이 됐다. 또한 △포켓몬 △원피스 등 강력한 지식재산
[더구루=김명은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맹렬한 기세를 떨치고 있다. 지난 2023년 8월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약 2년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2200만명을 돌파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성비'와 '빠른 배송'을 앞세워 동남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테무의 동남아 MAU가 2200만명에 도달했다. 특히 필리핀과 태국에서의 성장세가 무섭다. 두 국가의 MAU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동남아 전체 트래픽의 약 86%를 차지했다. 같은 중국 기반의 경쟁 플랫폼으로 동남아 시장에 먼저 진출한 쉬인(Shein)이 같은 기간 MAU가 9% 증가해 2400만명에 도달했지만 테무가 빠르게 격차를 좁히고 있다. 테무의 초저가 전략과 게임형 프로모션, 광범위한 제품 공급이 이같은 결과를 만들어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5년 동남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는 미국의 7%, 유럽의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테무는 이처럼 낮은 소비력을 고려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