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연춘 기자] '미국판 배달의민족'으로 불리는 음식배달 플랫폼 도어대시(Doordash)가 영국 딜리버루(Deliveroo)를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이어 1년 만에 인수 재도전이다. 도어대시는 딜리버루 인수로 유럽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미국판 배달의민족'으로 불리는 음식배달 플랫폼 도어대시(Doordash)가 영국 딜리버루(Deliveroo)를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이어 1년 만에 인수 재도전이다. 도어대시는 딜리버루 인수로 유럽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미국판 배달의민족'으로 불리는 음식배달 플랫폼 도어대시(Doordash)가 영국 딜리버루(Deliveroo)를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이어 1년 만에 인수 재도전이다. 도어대시는 딜리버루 인수로 유럽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딜리버루는 29일 도어대시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인수 금액 규모는 36억달러(약 5조2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앞서 지난 3월 딜리버루는 홍콩에서 철수하면서 일부 자산을 푸드판다 딜리버리 히어로즈(Foodpanda Delivery Heroes)에 매각한 바 있다. 도어대시는 현재 글로벌 10여 곳에 영토 확장에 고삐를 죄고 있다. 딜리버루 인수로 입지가 없는 새로운 시장에 접근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영국에 본사를 둔 딜리버루는 프랑스, 싱가포르 등 10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인수 금액이 걸림돌이 된 만큼 인수합병(M&A) 결정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당시 도어대시와 딜리버루의 기업가치에 대한 의견이 갈려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도어대시는 다음달 23일까지 공식 인수 의사를 결정해야 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중국 사업을 분리해 독립 사업체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를 우회해 중국 시장을 지속 공략하려는 전략으로, 향후 엔비디아의 사업 재편뿐 아니라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대만 매체 '디지타임스(DigiTimes)'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중국 사업을 미국 본사와 분리하는 '사업 분리(Spin-Off)'를 추진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국 정책과 미중 갈등 심화 속에서 중국 내 입지를 유지하기 위한 '플랜 B'로 별도 법인 설립·합작법인(JV)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는 과거에도 규제에 대응해 제품 사양을 조정하거나 중국 전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출시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작년선보인 신작인 지포스 RTX 4090의 성능을 낮추고 기존 제품명에 'D'를 붙여 중국 판매용 칩을 출시하기도 했다. <본보 2024년 7월 16일 참고 엔비디아, '中 전용' 차세대 GPU '지포스 RTX 5090' 내년 초 출시> 하지만 당국의 규제 강화로 매번 계획에 제동이 걸리자 엔비디아는 중국 내 사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