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아마존 인터넷 위성 서비스 '프로젝트 카이퍼'가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인력 채용에 나섰습니다. 업계에서는 한국 서비스를 준비 중인 일론 머스크의 인터넷 위성 스타링크와 본격적인 경쟁 구도에 들어갈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아마존 카이퍼, 韓 진출 저울질…한국 지사장 채용 공고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상반기 일본 시장에서 'A' 성적표를 받았다. 지난달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5배 이상 급증했다.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를 앞세운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7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모빌리티재팬(Hyundai Mobility Japan·HMJ)은 지난달 일본 시장에서 총 130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26대) 대비 500% 급증한 수준이다. 현대차 상반기 판매량은 438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343대) 대비 27.7% 증가한 수치다. 특히 상반기 일본 전기차(EV)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한 2만7321대에 그친 것을 감안할 때 현대차가 큰 폭으로 약진했다는 평가다. 또한 4월 이후 3개월 연속 회복세를 보이면서 누적 판매도 반등했다. 지난 5월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 12.8% 감소했었다. 현대차 누적 판매 반등은 지난 4월 출시한 인스터가 견인했다. 인스터는 현지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크기와 가격, 긴 주행거리로 일본 소비자들의 수요를 정확히 겨냥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인스터 출시 가격은 284만9000엔(2600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상반기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 시장에서 선방했다. 전체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9위와 14위를 기록했다. 7일 독일연방자동차청(KBA)에 따르면 현대차는 상반기(1~6월) 독일에서 4만6399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9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한 수준이며, 점유율은 3.3%를 기록했다. 기아의 경우 2만9986대(점유율 2.1%)를 판매, 14위에 올랐다. 전년 동기 대비 16.5% 하락, 주춤했다. 독일 전체 자동차 시장 역시 축소됐다. 독일 전체 승용차 신차 등록 대수는 140만2789대로, 전년 동기 대비 4.7% 줄었다. 1위는 폭스바겐이 차지했다. 28만5998대를 판매, 점유율은 20.4%로 집계됐다.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각각 2위(12만6964대)와 3위(11만9084대)에 올랐다. 점유율은 각각 9.1%와 8.5%다. 이어 △스코다 10만8996대(7.8%) △아우디 9만7731대(7%) △세아트 8만3858대(6.0%) △오펠 6만1473대(4.4%) △포드 5만3159대(3.8%) △토요타 3만9521대(2.8%)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기아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자율주행 트럭 기업 코디악 로보틱스(Kodiak Robotics, 이하 코디악)가 독일 원격주행 스타트업 ‘베이(Vay)’의 기술을 자율주행 트럭에 적용한다. 코디악은 베이와의 협렵을 토대로 본격적인 무인 트럭 상용화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코디악은 베이와 원격주행 기술을 결합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미 지난해부터 협력 관계를 이어왔으며, 코디악의 자율주행 트럭은 현재 미국 텍사스주 퍼미안 분지 일대에서 무인 화물 운송을 시험 운영 중이다. 원격주행은 자율주행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는 '가교 기술'로 꼽힌다. 자율주행 기술이 주로 보도 배송 로봇, 저속 셔틀버스, 자율주행 지게차 등에 활용돼 왔다면, 원격주행은 보다 복잡한 상황에서 인간의 개입을 가능하게 해준다. 코디악은 오는 2026년 하반기 텍사스 공공도로에서 상업용 무인 트럭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며, 이 과정에서 베이의 원격주행 기술이 핵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베이의 원격주행 시스템은 저지연 통신 기반으로, 사람이 외부에서 차량을 실시간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트럭 내부에는 별도의 조향 장치와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이 마련돼 있어 원격
[더구루=김은비 기자]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가 중국 전기차 업계에 대한 찬사를 드러냈다. 팔리 CEO는 중국 전기차가 기술, 비용, 품질 모든 면에서 서구권 차량을 압도한다고 경고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팔리 CEO는 최근 미국 애스펀 아이디어스 서밋(Aspen Ideas Summit)에 참석해 "지난 1년간 6~7차례 중국을 방문하며 현지 자동차 시장을 직접 경험했다"며 "이는 가장 겸손해지는 경험(The Most Humbling Thing I've Ever Seen)"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팔리 CEO는 중국 전기차 디지털 수준에 감탄했다. 팔리 CEO는 "중국 내 디지털 기술 수준이 월등히 높다"며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까지 이미 '스마트폰을 닮은 차'가 대중화됐다"고 밝혔다. 실제 중국 차량 내에는 화웨이·샤오미 등 현지 IT기업의 솔루션이 대거 탑재돼 있다. 화웨이는 아오토(AITO) M5, M7 등에 차량용 운영체제 '하모니OS'와 자율주행 시스템 'ADS 2.0'을 탑재해 스마트폰 수준의 디지털 환경과 고속도로·도심 자율주행을 구현했다. 샤오미는 SU7에 자체 운영체제 '하이퍼OS'와 자율주행 시스템 'Pilot Pro'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샤오미 신형 전기차 'YU7'이 공개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이 차량은 테슬라 모델 Y를 직접 겨냥한 것으로, 사전예약 시작 1시간 만에 2027년까지 생산 예정 물량 대부분을 사실상 매진시키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테슬라 킬러' 샤오미의 향후 방향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지난달 중국 베이징 신중국국제전시센터에서 개최된 신제품 발표회에서 전기 SUV YU7을 선보였다. 발표 직후 열린 온라인 사전예약에는 단 3분 만에 20만대, 1시간 만에 28만9000건의 주문이 몰렸다. 이 중 24만건은 계약금이 입금된 확정 구매로 알려졌다. YU7은 테슬라 모델 Y를 정조준한 전기 SUV로,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모두 앞세운 것이 특징이다. YU7은 약 3만5000달러(4800만원)부터 시작되며, 680마력의 강력한 출력과 519마일(약 835km, 중국 CLTC 기준)의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최고 속도는 시속 100km까지 2.98초 만에 도달하며, 101kWh 배터리를 탑재해 10~80% 충전이 12분 만에 가능하다. 이번 YU7은 기존에 공개한 전기 세단 SU7보다 한층 고급화된 인테리어와 주행성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 시장을 겨냥한 소형 전기차를 개발한다. 현대차 유럽기술센터(ETC)가 개발을 주도하고 오는 9월 콘셉트카를 공개한 뒤 내년 튀르키예 공장에서 본격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유럽기술센터는 유럽 전용 B세그먼트급 전기차 개발에 본격 나섰다. 오는 9월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쇼 2025'에서 콘셉트카를 최초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1억5000만 유로(2500억원)을 투입하고 독일에 위치한 유럽기술센터가 디자인과 설계를 담당, 내년부터 튀르키예 이즈미트 공장에서 양산할 계획이다. 모델명은 '아이오닉 2(IONIQ 2)'가 유력하며, 현대차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차량 통합 운영체제(OS) ‘플레오스(Pleos)’를 첫 탑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현대차가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후 첫 적용되는 사례로,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과 차세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등 다양한 디지털 기능도 탑재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 측은 "유럽 고객들의 수요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올해 상반기 독일 전기차 시장에서 판매 호조를 이어가며 현지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소형 전기차 '인스터'가 판매 돌풍을 일으키며 실적 견인을 주도했다. 4일 독일연방도로교통청(KBA)와 현대차 등에 따르면 독일 법인은 지난 상반기(1~6월) 독일에서 전기차 1만2981대를 판매했다. 수입차 브랜드 순위로는 3위다. 전년 동기(8371대) 대비로는 55% 늘어난 수준이다. 점유율은 5.2%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독일 전체 전기차 시장은 35% 성장했다. 현대차의 성장폭이 이를 크게 웃돌며 현지 전기차 시장 내 입지를 빠르게 강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대차 실적은 소형 전기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가 견인했다. 인스터는 상반기 동안 5173대가 판매됐다.인스터는 독일 전기 소형차 시장에서 상반기 최다 판매 모델에 오르는 한편, 지난 5월과 6월에는 독일 전체 전기차 모델 '톱10'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외에 △아이오닉 5(3630대) △코나 일렉트릭(3265대) 등도 현대차 판매 실적 상승에 한 몫했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전기차 라인업을 지속 확대해 독일을 비롯한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에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이 현대자동차 전기차 ‘아이오닉 5 XRT’에 반했다. 아이오닉 5XRT가 미국에서 ‘올해의 미국산 스포츠카’로 선정됐다. 아이오닉 5 XRT는 험로 주행성을 강화한 전기차로, 제품 경쟁력과 현지 생산 품질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아메리칸 카스 앤 레이싱(American Cars And Racing, 이하 ACAR)’는 4일 현대차 아이오닉 5 XRT는 ‘2025 미국산 최고 스포츠차’로 선정됐다. ACAR 측은 △혁신성 △상품성 △가성비 △완성도 등을 종합 평가해 아이오닉 5 XRT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개리 개스텔루(Gary Gastelu) ACAR 편집장은 “아이오닉 5 XRT는 일상적인 편안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흙길을 즐길 수 있는 가장 재미있는 차량 중 하나”라며 “전기 콤팩트 SUV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아이오닉 5 XRT는 오프로드 주행을 원하는 운전자를 위해 설계된 전용 모델로, 험로 주행 성능과 그에 맞는 강인한 외관을 갖췄다. 기존 아이오닉 5보다 전고를 높이고 전용 서스펜션을 탑재해 오프로드 성능을 강화했다. 여기에 전후면 범퍼 디자인, 사이드 스커트, 18인치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튀르키예 방산 기업인 '아셀산(ASELSAN)'과 차세대 장갑차 개발에 협력합니다. 적의 사격 위치를 탐지하고 위험을 알려주는 'SEDA 100'을 장갑차와 통합해 성능 개선을 모색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화에어로, 차세대 장갑차에 튀르키예 아셀산 총격 감지시스템 도입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중국 반등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현대차의 지난달 판매 증가폭이 66%에 달했다. 현대차가 중국 시장에서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3일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 등에 따르면 베이징현대 상반기(1~6월) 누적 판매량은 10만대를 돌파했다. 베이징현대는 지난 4월 1만4964대를 판매해 다소 주춤했으나 지난 5월 1만8833대에 이어 지난달 2만1713대를 판매했다. 올 들어 월 판매 2만대 돌파는 처음이다. 이는 전월 대비 66% 수직 상승한 수치다. <본보 2025년 6월 16일 기사 참고 현대차, 올해 中 누적 7만8017대 판매 …'V자 반등' 조짐> 특히 '월 2만대'를 놓고 베이징현대가 중국 시장에서 장기간의 부진을 벗어나 반등 궤도에 진입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반등의 핵심 배경으로 △신차 경쟁력 강화 △현지화 전략 정교화 △감성 마케팅 강화 등이 꼽힌다. 대표적으로 지난달 풀체인지 모델로 새롭게 출시한 준중형 세단 '엘란트라' 지난달 판매량 1만394대에 달해 전월 대비 120% 수직 상승했다. 특히 베이징현대는 현지 밀착형 전략으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베이징현대는 최근
[더구루=김은비 기자] 장금상선이 그리스 선주로부터 선령이 3년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을 높은 운임에 단기 임대했습니다. 유가의 지정학적 리스크 프리미엄이 빠르게 완화되고 유조선 수요가 증가해 시세 보다 높은 용선료를 지불하며 선박을 확보했습니다. 원유 운반 중심으로 사업으로 재편 중인 장금상선은 탱커선 공급 부족 전망에 따라 VLCC를 비롯한 탱커선을 확충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원유 운반 사업 확장' 장금상선, 'HD현대삼호 건조' 초대형 유조선 2척 용선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카드게임 시장이 10년 만에 3배 가까이 성장하며 3000억 엔 규모를 돌파, 장난감 업계의 핵심 동력으로 떠올랐다. 과거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카드게임에 막강한 구매력을 갖춘 성인 '키덜트(Kidult)' 세대가 유입되며 전성기를 맞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코트라 오사카무역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도 회계년도 기준(2024년 4월~2025년 3월) 일본 내 카드게임 및 트레이딩 카드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 기준 전년 대비 9.0% 증가한 3024억엔(약 2조8270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960억엔(약 8950억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한 수치로, 같은 기간 완구 시장 전체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대전을 즐기는 오락의 한 형태인 카드게임이 성장하는데는 키덜트 세대의 유입이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다. 1996년 '포켓몬 카드 게임' 출시와 함께 유년 시절을 보낸 이들이 성인이 돼 경제력을 갖추면서 기꺼이 지갑을 열고있는 것. 이들의 등장은 15세 미만 어린이 인구가 10년간 약 12%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성장하는 배경이 됐다. 또한 △포켓몬 △원피스 등 강력한 지식재산
[더구루=김명은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맹렬한 기세를 떨치고 있다. 지난 2023년 8월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약 2년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2200만명을 돌파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성비'와 '빠른 배송'을 앞세워 동남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테무의 동남아 MAU가 2200만명에 도달했다. 특히 필리핀과 태국에서의 성장세가 무섭다. 두 국가의 MAU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동남아 전체 트래픽의 약 86%를 차지했다. 같은 중국 기반의 경쟁 플랫폼으로 동남아 시장에 먼저 진출한 쉬인(Shein)이 같은 기간 MAU가 9% 증가해 2400만명에 도달했지만 테무가 빠르게 격차를 좁히고 있다. 테무의 초저가 전략과 게임형 프로모션, 광범위한 제품 공급이 이같은 결과를 만들어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5년 동남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는 미국의 7%, 유럽의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테무는 이처럼 낮은 소비력을 고려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