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미국 신차 품질조사에서 전체 브랜드 중 3위에 올라 최고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대중차(Mass-Market) 브랜드 부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은 J.D. 파워가 26일(현지시간) 발표한 '2025년 미국 신차품질조사(Initial Quality Study, 이하 IQS)'에서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173점을 기록, 랙서스(166점)와 닛산(169점)에 이어 전체 3위에 올랐다. 혁신적인 편의 기능과 차별화된 디자인, 인포테인먼트와 주행보조·안전 기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기아(181점)와 제네시스(183점)는 각각 8위와 10위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 현대차의 싼타크루즈는 중형 픽업 부문에서 2년 연속 '최고 품질 차량'으로 선정됐다. 쏘나타는 중형차 부문 2위를,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와 팰리세이드는 각각 소형차와 대형 SUV 부문에서 3위를 차지했다. 기아 K4는 소형차 부문에서 2위를, 제네시스 G80은 중대형 프리미엄 부문에서 3위를 기록했다. 올해 IQS는 지난해 6월부터 지난 5월까지 2025년형 신차 구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TIME100 Most Influential Companies)'에 이름을 올리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과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국내 기업 중 유일하다. 타임지는 26일(현지시간) 올해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전 세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100대 기업을 선정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한화그룹에 이어 올해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이 명단에 포함됐다. 타임지는 기업이 제출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기고자, 특파원,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주요 평가항목에 따라 100대 기업을 선정한다. 현대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 부문에서의 리더십 강화는 물론, 로봇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하고 있다고 타임지는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타임지 선정은 현대차그룹이 단순한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다음달 중국 시장에 신형 셀토스(현지명 세르투스)를 공식 출시한다. 업그레이드된 사양을 바탕으로 현지 소형 SUV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특히 셀토스 남미향 수출 생산 거점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환된 만큼 기아 중국 공장 수출 확대도 예상된다. 2일 기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는 내달 2일 신형 셀토스를 중국 시장에 출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셀토스는 중국 B세그먼트 SUV 시장에 맞춘 컴팩트 모델로, 기존 대비 디자인과 상품성을 개선했다. 출시 가격은 10만9900위안(2083만 원)부터다. 이번에 출시되는 신형 셀토스는 기존 모델 대비 전면 그릴과 범퍼 디자인을 새롭게 적용하고, 스모크 블랙 헤드램프와 입체적인 후드 라인으로 강인한 이미지를 강화했다. 실내는 듀얼 스크린과 간결한 레이아웃을 갖췄으며, 주차 보조, 원버튼 시동 등 편의사양을 추가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과 동일한 1.5L 자연흡기와 1.4L 터보 가솔린 엔진이 유지된다. 업계에서는 신형 셀토스 출시가 기아 중국 현지 판매 회복과 더불어 글로벌 수출 확대에도 긍정적인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 부진을 겪던 기아는 최근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러시아에서 자동차 상표권를 추가 확보했다. 러시아 재진출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26일 러시아 연방 산업재산권연구소(FIPS) 등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신규 브랜드로 추정되는 '팰리브루스(Palibrus)'를, 기아는 'EV2', 'EV4', 'EV9' 등 전기차 모델명을 포함해 총 7개의 상표권을 등록했다. 'Palibrus'는 SUV, 픽업트럭 등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국제 상품·서비스 분류 12류로 등록됐다. 상표 등록은 지난 19일 완료됐으며, 유효기간은 2034년 9월 까지다. 'Palibrus'는 현대차의 기존 글로벌 라인업에 없는 이름으로, 전용 브랜드 또는 현지 전략 차종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울러 팰리세이드의 짝퉁 모델 유통 및 상표권 보호를 위해 것으로 보인다. 기아도 △소형 전기차 'EV2' △준중형급 'EV4' △대형 SUV 'EV9' 등 전기차 모델명을 비롯해 △K1 △K5 △K6 등 총 6개를 지난 20일 등록 완료했다. 이들 상표권도 2034년 9월 까지 보호받는다. 현대차·기아의 잇딴 상표권 확보 움직임이 그룹 차원의 러시아 재진출을 염두에 둔 포석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제네시스가 미국 프로골프(PGA) 투어의 글로벌 공식 차량으로 선정됐다. PGA투어 월드피드(국제중계) 첫 후원사 타이틀도 거머쥐며 글로벌 브랜드 위상을 한층 높였다. 25일 제네시스와 PGA투어에 따르면 양측은 공식 글로벌 마케팅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동시에 제네시스는 PGA투어 공식 모빌리티 파트너로 지정됐다. 제네시스 차량은 오는 2030년까지 PGA투어 및 PGA투어 챔피언스의 첫 글로벌 공식 차량(Global Official Vehicle)으로 이용된다. 제네시스는 지난 2015년 한국에서 열린 프레지던츠컵 공식 후원을 시작으로 PGA투어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2017~), △제네시스 스코티시오픈(2022~) 등 대규모 대회 타이틀 스폰서로 활동 중이다. DP월드투어·KPGA 공동 주관 제네시스 챔피언십과 신생 골프리그 TGL의 창립 파트너 및 공식 차량 파트너로도 참여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제네시스는 PGA투어가 제작·송출하는 '월드피드(World Feed)'의 첫 공식 후원사로도 이름을 올렸다. 월드피드는 전 세계 골프 팬들에게 PGA투어 콘텐츠를 독점 제공하는 글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독일 전기차 시장을 정조준한 기아가 현지 법인장 교체로 새 판을 짠다. 글로벌 전략통으로 알려진 황진호가 새 수장으로 선임됐다. 25일 기아에 따르면 황진호 신임 독일법인장은 기아에서의 다양한 유럽 및 글로벌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독일 시장을 총괄한다. 2002년 입사한 황사장은 제품·사업 기획, 유럽 영업, 글로벌 전략 등 핵심 부서를 두루 거친 인재다. 2012년부터 5년간 프랑크푸르트 유럽본부에서 유럽 영업을 담당, 이후 한국 본사로 복귀해 서유럽 총괄팀을 이끌었다. 지난 2019년부터는 기아 폴란드 법인장을 역임했으며 최근까지는 기아 글로벌 사업기획 부문 부사장으로 재직했다. 업계는 이번 법인장 교체를 두고 독일 내 전기차 확대와 브랜드 입지 강화를 위한 전략적 인사로 보고 있다. 독일 내 기아는 전기차 시장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 독일 자동차 시장에서 기아의 점유율은 2.4%, 전기차 부문 점유율은 3.1%를 기록했다. 2010년 대비 전체 판매량을 두 배 가까이 는 수준이다. 오는 하반기부터는 소형 전기 SUV 'EV3' 등 주요 신차를 독일 시장에 순차 투입, 시장 입지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
[더구루=김은비 기자] 르노코리아가 성수동 ‘르노 성수’를 중심으로 자동차를 넘어 일상에 스며드는 프렌치 감성 전략을 본격화했다. 전시·카페·콘서트 등 복합 문화 공간을 구축, 2030세대가 주말 나들이로 찾는 ‘핫플레이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5일 업계 및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르노코리아는 지난해 브랜드 비전 ‘누벨 바그(Nouvelle Vague)’를 공개한 뒤, 성수동 사업소를 고객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로 전면 리뉴얼했다. 1층 클래식카·굿즈 전시, 2층·야외 카페 팝업·예술 전시 등으로 구성해 브랜드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에서 '체감하는 것'으로 전환했다. ◇ 6월 한 달 ‘타임리스 드라이브’…강연·콘서트·키즈 체험 풍성 르노는 이번달 한달간 ‘타임리스 드라이브(Timeless Drive)’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주한 프랑스 대사관 문화과 협업 강연 ‘R:Class’, 프렌치 재즈·샹송 콘서트 ‘R:Concert’, 어린이 창의 체험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됐다. 하루 평균 400명 이상이 방문, 주말 관람객 절반 이상이 2030세대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 전시·굿즈·카페 팝업…'경험 설계로 브랜드·제품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내 딜러 매장의 절반 이상을 새롭게 탈바꿈시켰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담은 통일된 콘셉트로 리뉴얼을 진행, 고객 만족도 제고와 현지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 미국법인(HMA)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전체 딜러망의 50% 이상이 글로벌 딜러십 스페이스 아이덴티티(GDSI)를 적용한 리노베이션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 내 현대차 딜러망은 총 853개로, 이 가운데 457곳의 리뉴얼이 마무리됐다. GDSI는 현대차가 지난 2015년 처음 도입하고 2019년 새롭게 개편한 글로벌 매장 디자인·운영 표준이다. '모던 프리미엄'을 기본 모토로 △배려(Caring) △단순함(Simple) △창의성(Creative)을 핵심 가치로 내세운다. 이를 통해 일관되고 세련된 매장 환경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현대차는 일부 완성차 업체들이 소비자 직접 판매(D2C)로 전환하는 것과 달리, 딜러 네트워크를 핵심 접점으로 유지·강화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첨단 기술과 새로운 파워트레인 확대에 따라 딜러십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서다. 현대차 딜러십은 단순 판매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연결고리 역할도 수행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협력사 서연이화의 옛 중국 창저우(沧州) 자동차 부품공장이 결국 헐값에 현지 개인 사업자 손에 넘어갔다. 현대차 중국 생산거점 축소로 현지 협력사 구조조정도 매듭되는 분위기다. 25일 중국 법원경매 플랫폼 '알리바바 법원 경매망' 등에 따르면 서연이화 중국 자회사 북기한일(沧州)자동차내장유한공사(이하 북기한일) 공장 부지와 건물, 설비 등이 일괄 매각됐다. 이번 경매 대상은 전체 부지 약 5만7841㎡, 건물 연면적 2만3809㎡ 규모다. 지난 22일 경매 시작가는 약 3185만 위안(한화 약 60억원)였으나 개인 투자자가 단독 응찰해 최저가로 낙찰받았다. 해당 부지는 앞서 8차례 유찰을 거듭한 끝에 결국 첫 감정가(5520만 위안·한화 104억원) 대비 절반 수준으로 팔렸다. 지난 2015년 설립된 북기한일은 서연이화와 베이징자동차(BAIC) 산하 자동차 부품 기업 '베이징해나촨자동차부품유한회사(北京海纳川汽车零部件有限公司)' 합작사다. 현대차 중국합작사 베이징현대 창저우공장과 인접, 자동차 바닥 매트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을 베이징현대에 납품해왔다. 이번 사례는 베이징현대의 현지 판매 급감에 따른 현대차 중국 생산라인 구조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생산거점인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핵심 부품 현지 조달을 확대한다. 일본 자동차 부품사 니탄(NITTAN)과의 엔진벨브 공급 계약을 맺었다. 현대차는 현지에서 고품질 부품을 안정적으로 확보, 글로벌 공급망 최적화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5일 니탄 등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HMIL)과 인도네시아 생산법인(HMMI)은 니탄과 연간 580만개 엔진벨브를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HMIL은 오는 11월부터 니탄 인도법인으로부터 연간 220만개의 엔진밸브를, HMMI은 내년 연간 180만개, 오는 2027년부터는 연간 360만개의 엔진밸브를 니탄 인도네시아법인으로부터 조달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핵심 부품의 현지 생산·조달 체계를 강화, 물류 효율성 개선과 비용 절감, 환경 부담 저감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 특히 인도와 동남아시아 시장을 미래 성장 거점으로 삼고 생산을 확대하고 있는 현대차로서는 안정적인 부품 공급망 확보가 경쟁력으로 이어진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 16일(현지시간)부터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탈레가온(Talegaon)공장에서 승용차용 엔진 생산을 시작한 만큼 신공장이 가동되면 탈레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KGM이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가별 맞춤형 제품 전략과 공격적인 마케팅, 현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며 본격적인 도약에 나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KGM은 올해 1~5월 누계 수출은 2만8751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2% 증가한 수준으로, 10년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지난해 수치를 넘어선 수치다. KGM 실적은 신제품 출시와 현지 마케팅을 강화한 결과로 분석된다. 앞서 KGM은 올초 튀르키예 액티언 론칭을 시작으로 독일 대규모 딜러 콘퍼런스(2월), 독일 기자단·인플루언서 시승 행사(4월), 호주 우수딜러 초청 평택공장 투어 및 시승 행사(4월) 등을 잇따라 진행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특히 국가별 특성을 반영한 제품 전략과 현지 시장 맞춤형 마케팅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호주에선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확대, 인도네시아에선 국영기업과 협력 강화로 판매 확대에 나섰다. 튀르키예·독일·이탈리아 등 주요 시장에서도 액티언을 앞세운 브랜드 론칭과 시승 행사를 잇따라 열며 기반을 다졌다. ◇무쏘 EV·토레스 하이브리드 유럽 본격 선적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에서 최대 쇼핑 축제 '618 행사'를 맞아 파격 혜택을 제공한다. 가격 할인에 한국 여행권과 K-팝 콘서트 관람권까지 제공, 중국 젊은 소비자들을 겨냥한다. 이를 통해 중국 내수 시장 반등을 노리고 있다. 25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618 행사 기간 동안 신형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를 비롯해 쏘나타, 투싼L, 현지 전략 모델 쿠스투 등 주요 차종을 대상으로 대규모 할인과 다양한 사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신형 엘란트라 구매 고객에게는 국내 3일 여행권과 함께 블랙핑크 2025 홍콩 콘서트 티켓을 제공, 눈길을 끌고 있다. 여기에 △최대 4000위안 차량 교체 보조금 △차량 보험 무료 △7년·15만km 연장 보증 △샤오미 TV·화웨이 스마트폰 등 대규모 경품과 실질적 혜택도 함께 마련했다. 618 행사는 중국 온라인몰 징둥의 창립일(6월 18일)을 기념해 시작된 대규모 할인 이벤트다. 알리바바 티몰 등 주요 다수 온라인 쇼핑몰이 가세, 가전과 전자기기, 휴대전화 등 전반에 걸쳐 대규모 할인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여기에 현지 정부의 '이구환신(以舊換新·노후 제품 교체 지원)' 정책까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