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 신라면이 라면 종주국 일본 입맛을 사로잡았다. 신라면이 일본 코스트코 인기 라면 순위 정상을 차지했다. 신라면 특유의 매운맛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눈길을 끄는 것은 마이후루사토, 이치란라멘 등 현지 브랜드를 제꼈다. K대표 라면 브랜드로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22일 일본 리서치 기반 미디어 네토라보조사대에 따르면 농심 신라면 박스(20봉) 상품은 일본 코스트코 인기 라면 순위 1위를 꿰찼다. 네토라보조사대는 △맛 △브랜드 인지도 △편의성 등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농심 신라면은 고추를 비롯한 다양한 향신료가 조합된 양념의 절묘한 매운맛이 입맛을 당긴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소비자들이 계란, 치즈 등 각자의 입맛에 맞는 재료를 추가해 조리해 먹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됐다. 신라면에 이어 둥지냉면 비빔냉면(현지명 후루루냉면 비빔냉면)은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순위 '톱10' 가운데 두자리를 농심 라면 제품이 차지한 것이다. 둥지냉면은 쫄깃한 면발과 국물없이 매운 양념이 잘 어우러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라면이 일본에서 연달아 호평을 받으면서 농심의 현지 사업이 탄력을 받
[더구루=김형수 기자]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 일본 담배산업(JT) 등 글로벌 담배 제조사들(이하 3사)이 캐나다에서 거액의 '담배 소송' 합의안에 동의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들 글로벌 담배 3사는 손해배상을 청구한 원고들에게 30조원이 넘는 합의금을 지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15년 이후 법적 공방이 이어진 지 9년 여만에 원고와 이들 3사 사이의 법적 공방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미국에 이어 캐나다에서 합의 방식으로 유사한 법적 공방이 종결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시작한 국내 소송에 어떤 영향을 미칠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영국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3사는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법원(Ontario Superior Court of Justice)에 제출된 합의안에 동의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안은 3사가 원고에게 손해배상금 236억달러(약 32조3650억원)를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다만 3사가 30조원을 상회하는 해당 손해배상금 가운데 각각 얼만큼을 부담할 것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미국이 아닌 국가에서 추진되는 담배 유해성 관련 소송 가운데 사상 최대 규모의 합의안이다. PMI를 비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류 불모지’로 불렸던 인도 시장에 아모레퍼시픽 주요 브랜드가 K뷰티 시장을 꽉 잡았다. 지난해 자회사로 편입한 코스알엑스가 인도 '최고의 K스킨케어 브랜드' 순위 최상위권이 진입한 데 이어 설화수, 이니스프리, 라네즈 등 아모레퍼시픽 브랜드가 줄줄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브랜드 화장품의 뛰어난 기능성, 폭넓은 화장품 포트폴리오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21일 인도 라이프스타일 전문지 라이프스타일인디아(Lifestyle Asia)에 따르면 코스알엑스는 '최고의 K스킨케어 브랜드' 순위 3위를 꿰찼다. 라이프스타일인디아는 △원료 △효과 △친환경성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코스알엑스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원료를 활용해 고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을 만든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양한 피부타입에 사용할 수 있는 코스알엑스 간판 어드밴스드 스네일 96 뮤신 파워 에센스, 어드밴스드 스네일 92 올인원 크림 등 스네일 뮤신 라인 화장품은 피부 장벽 유지, 보습 등을 통해 피부결 및 탄력 개선 등에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이니스프리, 라네즈는 각각 5위, 6위, 7위에 올랐다. 이번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마트가 미국 사업 확대에 본격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자회사 굿푸드홀딩스(Goodfood Holdings)를 통해 캘리포니아주 소재 뉴리프 커뮤니티 마켓(New Leaf Community Market·이하 뉴리프 마켓) 매장을 확장 이전하고 현지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PB(자체 브랜드) 제품을 선보이고, 최첨단 기술 기반 매장 혁신을 추진하며 경쟁력 제고에 나설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뉴리프 마켓은 다음달 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 인근 캐피톨라(Capitola)에 위치한 킹스 플라자 쇼핑센터(King’s Plaza Shopping Center)에 대형 매장을 오픈한다. 킹스 플라자 쇼핑센터 기존 매장을 확장 이전으로 사업 확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베고니아 플라자에 입점한 기존 매장은 다음달 8일 문을 닫는다. 뉴리프 마켓은 상품군을 다변화했다. 유기농, 웰니스, 베이커리 등 다양한 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유기농 재료로 조리한 채식 메뉴 코너, 스시·포케 코너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굿푸드홀딩스가 지난 2월 론칭한 PB브랜드 '뉴 코스트 포레이징 컴퍼니 라인'(The New Co
[더구루=김형수 기자] 호텔신라가 글로벌 면세사업 영토 확장을 본격화한다. 관계사 미국 면세업체 쓰리식스티(3Sixty)를 통해서다. 쓰리식시티가 멕시코·콜롬비아로 영토를 확장한 데 이어 미국 뉴저지 공항 면세사업권을 갱신하고 해외 면세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21일 영국 면세전문지 무디데이빗리포트(Moodie Davitt Report) 등 외신에 따르면 쓰리식스티는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Newark Liberty International Airport) 내 면세 사업권을 7년 연장했다. 오는 2031년까지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에서 면세점을 운영할 전망이다. 호텔신라는 이번 면세 사업권 연장을 발판 삼아 미국 등 북중미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면세사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와 미주 면세사업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보 효과를 기대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쓰리식스티가 재차 획득한 면세 사업권은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 B터미널에 자리한 총 6개 매장으로 구성돼 있다. 총 면적은 약 690㎡에 달한다. 쓰리식스티는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을 운영하는 뉴욕·뉴저지 항만청(The Port Authority of New Yor
[더구루=김형수 기자] 동아에스티가 얀센(Janssen)의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로 개발한 이뮬도사(IMULDOSA·프로젝트명 DMB-3115)가 유럽의약품청(EMA) 판매허가(Marketing Authorisation) 9부 능선을 넘었다. 판매허가를 확보하게 되면 미국에 이어 유럽으로 글로벌 사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EMA에 따르면 EMA CHMP는 동아ST 파트너사인 인도 기반 다국적제약사 인타스 자회사 어코드 헬스케어(Accord Healthcare)가 신청한 이뮬도사 판매허가를 내줄 것을 권고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인타스는 2021년 동아에스티와 DMB-3115 라이센스 및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한 기업이다. 동아에스티는 인타스에 전 세계 DMB-3115 허가 및 판매 권리(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 일부 제외)를 이전했다. EMA CHMP는 인체에 투여하는 의약품에 대해 심의하는 자문위원회다. 유럽연합(EU) 전체에 대한 판매 허가를 받으려는 의약품의 초기 평가를 실시한다. 판매허가 심사 과정에서 회원국 사이에 의견 대립이 발생할 경우 이를 중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EMA CHMP의 이번 이뮬도사 판매승인
[더구루=김형수 기자] 요기요(법인명 위대한상상)가 2021년 GS리테일 품에 안긴 이후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했다. 당초 GS리테일은 신성장동력 확보 차원으로 요기요 인수에 나섰지만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경쟁업체에 밀려 입지가 쪼그라들고 있다. 수년간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누적 적자가 1000억원대로 불어났다. 오는 29일 요기요 인수 3년을 맞는다. 만년 3위로 매출이 줄고 수익성마저 뒷걸음질 치고 있다. 요기요 실적 부진으로 지분 투자에 단행했던 GS리테일에도 불똥이 튀는 모양새다. 사정이 이렇자 구원투수로 오너 4세인 허서홍 GS리테일 부사장을 요기요 이사회 멤버로 발탁했다. 허 부사장은 지난 6월 비상무이사로 위대한상상 이사회에 합류했다. 요기요가 국내 배달앱 시장 3위로 내려앉으며 위기감이 고조되자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특단의 인사 조치가 이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배달앱 업계에서의 입지도 흔들렸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발표한 배달앱 월간 사용자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요기요 점유율은 14%다. 국내 시장 1위를 달리고 있는 배달의민족(59%), 2위 쿠팡이츠(24%)에 이어 3위에 그쳤다. 지난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칠성음료가 필리핀 미래 인재 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필리핀 정부와 협력해 현지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펼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을 실천해 나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 필리핀 자회사 펩시 필리핀(이하 PCPPI)는 올해도 필리핀 교육부가 운영하는 개학 주간 프로그램(Brigada Eskwela Program)에 참여한다. PCPPI는 지난 2014년부터 UN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UN 지속가능발전 목표는 전세계 빈곤 종식, 지구 보호, 평화와 번영 확대 등을 목적으로 UN이 지난 2015년 채택했다. 개발을 통해 사회, 경제,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균형 있게 조정돼야 한다는 인식을 토대로 수립됐다. PCPPI는 올해 개학 주간 프로그램을 통해 필리핀 소재 19개 학교에 학용품, 건강 및 안전 용품, 청소용품, 건설 및 수리 자재, 간식 등을 전달했다. 200명이 넘는 PCPPI 직원들이 15개 지역에 자리한 학교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펼치며 구슬땀을 흘렸다. 앞서 지난 2022년의 경우 37개 학교에 학용품, 수분 음료, 건강 및 안전용품 등을
[더구루=김형수 기자] 동원산업 미국 자회사 스타키스트(Starkist)가 초대형 허리케인 헐린이 상륙하면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미국 남동부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적 책임경영에 팔을 걷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키스트는 허리케인 헐린 피해 지역에 대한 구호품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자선단체 '피드 더 칠드런'(Feed the Children)과 손잡고 피해 주민들에게 25만달러(약 3억4200만원) 규모의 물품을 전달한다. 트래비스 아놀드(Travis Arnold) 피드 더 칠드런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같은 협력을 통해 허리케인 헐린으로 피해를 입은 가족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구호 식품을 전달을 통해 어려운 시간을 겪고 있는 피해지역 주민들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전했다. 스타키스트는 이들 지역에 △참치 파우치(Tuna Pouches) △치킨 파우치(Chicken Pouches) △런치투고 참치 키트(Lunch-To-Go Tuna Kits) 등을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매칭 기부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구호금을 모금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모금된 돈은 피해 복구에 힘쓰고 있는 비영리단체에 기부할 계획
[더구루=김형수 기자] LG생활건강 힌스가 일본에 아이메이크업 신제품을 출시하고 열도 뷰티 시장을 공략한다. 신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힌스는 일본에 '뉴 뎁스 듀얼 컬러 스틱'(New Depth Dual Color Stick)을 론칭했다. 일본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Qoo10)과 라쿠텐(楽天)을 통한 판매를 시작했으며 다음달 1일 다른 채널을 통해서도 해당 화장품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뉴 뎁스 듀얼 컬러 스틱은 힌스가 지난 14일 국내에 출시한 뷰티 아이템이다. 퀵앤이지를 모토로 빠르고 간편하게 또렷한 눈매를 연출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듀얼 스틱 형태로 제작해 세밀한 아이메이크업에 최적화시켰다는 것이 힌스의 설명이다. 뉴 뎁스 듀얼 컬러 스틱은 눈매에 볼륨감을 주는 글리터 제형의 1호 웜 볼륨 라이너와 2호 쿨 볼륨 라이너, 음영감 있는 컬러 구성의 3호 웜 쉐이드 라이너와 4호 쿨 쉐이드 라이너 등 4종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 힌스의 뉴 뎁스 싱글 섀도우 인기 컬러 리플렉션, 비 마이 얼루어, 빌드온, 어니스티, 얼루어 인 모션 등을 스틱으로 구현해 컬러 라인업을 확대한다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경력단절여성(이하 경단녀)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있다. 코웨이 코디는 경단녀의 사회 진출과 관련된 좋은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코웨이는 지난 1998년부터 경단녀 등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적극 장려하기 위해 코디라는 방문점검판매 파트너십을 구축·운영하고 왔다. 지난 1998년 당시 80여명 수준이었던 코웨이 코디는 현재 전국적으로 1만2000여명에 이르는 대규모 직업군으로 성장했다. 코디는 일반 근로자와 달리 코웨이와 위임 계약을 맺고 영업 및 점검 업무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방문점검판매원(자유직업소득자) 신분으로 활동하고 있다. 코웨이 제품을 고객들에게 판매하는 것은 물론 고객이 렌털한 제품의 정기점검, 필터 교체 등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8일 코웨이에 따르면 코디는 가사 및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다는 업무 특성 때문에 여성 비율이 약 87%로 압도적으로 높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코디 매칭 서비스, AR 카탈로그 등 디지털 기술을 지원받아 업무에 빠르게 정착할 수 있기에 사회 진출을 원하는 경력단절여성들에게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코디는 업무 시간이 비교적 자유롭고 일정을 본인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롯데가 글로벌 아이돌그룹 뉴진스를 내세워 무설탕 디저트 브랜드 제로(Zero)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뉴진스와 협력해 제작한 '제로 포즈 챌린지' 동영상을 선보인 데 이어 '뉴진스 아이스크림'을 출시하고 제로 브랜드를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롯데는 뉴진스와 손잡고 만든 제로 포즈 챌린지 콘텐츠를 공개했다. 일본 롯데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 등에 업로드했다. 해당 콘텐츠에는 '3, 2, 1 제로' 신호에 맞춰 '귀여워', '너무 좋아', '조금 부끄러워' 등의 제시어에 맞는 제스처를 선보이는 민지, 하니, 다니엘, 해린, 혜인 등 뉴진스 멤버 5명의 모습이 담겨있다. 오는 22일 해당 콘텐츠 촬영장 비하인드 장면을 담은 영상도 공개할 예정이다. 제로 브랜드를 통해 출시된 제품들이 이들 동영상처럼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디저트라는 점을 알리며 제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해 기획했다. 일본 롯데는 제로 포즈 챌린지 콘텐츠를 업로드한 데 이어 오는 21일 뉴진스 비주얼을 활용해 개발한 빙과 신제품 '제로 미니컵 밋츠 뉴진스(바닐라·우지말차)'를 론칭한다는 계획이다. 이들 제품 패키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