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최대 전기차 충전소 기업 EV고(EVgo)의 주요 투자자가 보통주 공모를 통한 투자 회사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EV고는 16일(현지시간) 주요 투자자인 LS파워가 클래스A 보통주 2300만주를 2차 공모를 통해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각 대상 지분의 가치는 16일 종가 6.32달러를 반영하면 1억4540만 달러(약 2100억원) 수준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EV고의 수익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S파워는 앞서 지난 2020년 1월 이 회사 지분을 처음 인수한 바 있다. 2010년 설립한 EV고는 미국 최대 공공 고속 충전 네트워크 가운데 하나로 100% 재생 에너지로 구동된다. 미국 전역 35개 주, 1000여개 고속 충전소를 운영 중이다. 지난 2020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코미르)이 호주 리튬 광산 개발 사업을 본격화한다. 호주 광산기업 막시무스리소시스(Mineral Resources)는 16일(현지시간) 광해공업공단과 레프로이 리튬 프로젝트(Lefroy Lithium Project) 팜인(farm-in) 계약을 2026년까지 계속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양사는 작년 10월 레프로이 리튬 프로젝트 팜인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광해공업공단은 300만 호주달러(약 30억원)를 투자해 사업 지분 30%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 따라 광해공업공단은 계약 후 1년 내 최소 100만 호주달러를 지원하고 이후 계약 지속 여부를 결정해야 했다. 광해공업공단이 계약을 지속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리튬 광산 개발 사업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해공업공단은 앞으로 2년 간 나머지 200만 호주달러를 투자해 사업 지분 30%를 확보할 예정이다. 두 회사 간 합작투자는 이미 호주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상태다. <본보 2024년 5월 20일자 참고 : [단독] 호주, 광해광업공단·LG엔솔 참여 리튬 합작사 투자 승인> LG에너지솔루션 역시 참여 가능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위스 최대 헤지펀드 갬인베스트먼트(GAM Investments)가 일본 금융그룹 SBI홀딩스에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의 비트코인 투자 전략을 벤치마킹해 리플(XRP) 매수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갬인베스트먼트는 이달 초 SBI홀딩스에 암호화폐 투명성을 강화하고 주주 가치를 극대화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보냈다고 17일 밝혔다. 갬인베스트먼트는 서한에서 "SBI가 블록체인 투자를 더욱 활용하기 위해 리플 매수 프로그램을 고려할 것을 권고한다"며 "이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채택한 전략과 유사하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 SBI의 시장가치(1조2000억 엔)와 순자산가치(NAV·3조9000억 엔) 간 격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갬인베스트먼트는 SBI홀딩스의 리플 간접 지분 가치를 1조6000억 엔 이상으로 추산했다. SBI홀딩스는 리플 발행사 리플랩스의 초기 투자자로 이 회사 지분 8~9%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갬인베스트먼트는 이외에도 △리플 지분의 간접 가치에 대한 일일 업데이트 △블록체인 기술 및 암호화폐 전략에 대한 명확한 설명 △순자산가치의 정기적인 추산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암호화폐 스타트업에 2조원에 달하는 벤처자금이 몰렸다. 트럼프 당선인이 가상자산 분야 규제를 완화할 것이란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디파이(탈중앙화금융·DeFi) 정보 플랫폼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11월과 12월 암호화폐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털(VC) 자금조달은 각각 7억9641만 달러(약 1조1400억원), 5억1148만 달러(약 7300억원)로 집계됐다. 4분기 현재 암호화폐 스타트업 VC 조달액은 20억 달러(약 2조8700억원)를 웃돌고 있다. 지난 3분기 17억 달러(약 2조4400억원)를 넘어선 수치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유세 기간 가상화폐 친화적인 입장을 거듭 표명해 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앞서 지난 7월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에서 "미국이 지구의 가상화폐 수도이자 세계의 비트코인 슈퍼파워가 되도록 하겠다"면서 "가상화폐 산업을 적극 육성하는 친비트코인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트럼프 당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은행이 베트남에서 신규 네트워크 확장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리테일 영업력을 강화, 현지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 베트남법인은 오는 23일(현지시간) 호찌민시 서사이공지점을 개설한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우리은행의 베트남 영업점 네트워크는 28개로 늘어나게 된다. 우리은행은 올해 들어 베트남에서 서사이공지점을 포함해 하노이 미딩출장소, 롯데몰지점, 롯데센터출장소, 남빈증출장소 등 5개 영업 채널을 추가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1997년 베트남 하노이에 첫 지점을 개점하며 현지에 진출했고, 2017년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우리은행 베트남법인은 올해 3분기 누적 42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600억원 대비 30% 줄어든 수치다. 우리은행은 2030년까지 국외에서 순이익의 25%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에 해외 사업의 약 16%를 차지하는 베트남법인의 성장이 중요하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옛 퍼시픽가스앤드일렉트릭(PG&E) 샌프란시스코 본사 재개발 사업과 관련해 대출을 상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저널스 등 외신에 따르면 하인즈·국민연금은 채권단과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옛 PG&E 본사 건물에 대한 5억 달러(약 7200억원) 규모 대출을 상환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이와 관련해 하인즈와 국민연금, 채권단 모두 사실 확인을 하지 않았다고 비즈니스저널스 측은 설명했다. 앞서 하인즈와 국민연금은 지난 2021년 9월 이 건물을 8억 달러(약 1조1500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양사는 17억 달러(약 2조4400억원)를 투자해 기존 건물 두 개 동을 오피스와 주거시설로 재개발할 계획이다. <본보 2021년 9월 23일자 참고 : [단독] 국민연금, 美 샌프란시스코 PG&E 본사 인수…'3조 규모' 재개발 추진> 하인즈는 1957년 설립된 미국 부동산 투자회사다. 운용자산(AUM)은 930억 달러(약 134조원)에 이른다. 현재 31개 국가에 진출해 있다. 하인즈는 2010년부터 국민연금의 위탁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20년 말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약 6200억원에 달하는 신규 자금을 조달했다.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아처는 16일 4억3000만 달러(약 6200억원) 규모 신규 자금조달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기존 투자자이자 주요 협력사인 스텔란티스와 유나이티드항공을 비롯해 세계 3대 자산운용사로 꼽히는 웰링턴매니지먼트, 아랍에미리트(UAE) 시총 1위 국부펀드 인터내셔널홀딩컴퍼니(IHC)의 자회사 2포인트제로(2PointZero) 등이 자금을 댔다. 이로써 아처의 누적 투자액은 20억 달러(약 2조8700억원)에 이르게 됐다. 3분기 말 기준 아처의 현금성 자산은 5억200만 달러(약 72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아처 측은 "이번 자금조달과 과거 자금 약정 등으로 아처는 단기 자금조달이 필요 없는 업계 최고 수준의 대차대조표를 보유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설명했다. 아처는 또 미국 방산업체 안두릴 인더스트리즈(Anduril Industries)와 하이브리드 수직이착륙 군용 항공기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아처는 조비 에비에이션과 함께 eVT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내 해외 직구가 빠르게 활성화하고 있다. 일본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에 기회가 될 전망이다. 15일 코트라 일본 도쿄무역관 '일본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 한국 기업 진출 기회는'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22년 12조9997억 엔에서 2023년 14조6760억 엔으로 성장했다.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은 중국·미국·영국에 이어 세계 4위다. 최근 해외 직구를 이용하는 일본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일본무역진흥기구 지역·분석 보고서를 보면 해외 전자상거래를 통해 일본 소비자들이 구매한 제품의 판매처 가운데 한국이 23%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기록했다. 국토교통성이 발표한 택배 취급 건수를 보면 2012년의 택배 건수는 35억2600만건이었으나 2022년에 50억600만 건으로 10년새 42% 증가했다. 이러한 택배 취급 건수의 증가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 및 해외 전자상거래 시장 활성화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트라는 "국제우편기구에 따르면 최근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한국이 판매처 점유율 2위를 기록하는 등 많은 제품이 한국에서 일본으로 직수입되는 추세"라며 "일본의 크로스보
[더구루=홍성환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은행권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연말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계엄 사태 여파로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권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다.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시중은행은 계엄 사태에 따른 금융 시장 상황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 이어질 탄핵 정국이 국내 경제 상황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있다. 리스크가 커진 만큼 신규 대출을 더욱 보수적으로 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미 시중은행들은 연말을 맞아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나선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크게 꺾였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11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41조4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달보다 1조9000억원 늘며 8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올해 고점인 8월(9조2000억원)에 비해 5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더구루=홍성환 기자] 금융당국이 생성형 인공지능(AI)를 활용한 금융 서비스 출시를 허용함에 따라 금융권 AI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은행·보험사 등 국내 금융사들이 AI 서비스 도입을 준비 중이다. 이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생성 AI를 활용한 9개 금융사의 10개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한 데 따른 것이다. 신한은행은 AI 은행원·AI 투자메이트 서비스를 도입한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문을 연 AI 브랜치에 외부 생성형 AI를 도입해 AI 은행원이 실제 직원처럼 자연스럽게 고객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지속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또 올해 안으로 출시할 AI 투자메이트 서비스에도 외부 생성형 AI 모델을 도입해 고객의 질문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고객의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은 고객 질의시 고객 친화적 대화·상담을 제공하는 생성형AI 금융상담 에이전트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NH농협은행도 AI은행원이 외국인과 고령층 고객을 위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성형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자연어 기반 금융상품 관련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트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애초 공약대로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이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4일 코트라 미국 뉴욕무역관의 '트럼프 관세 정책과 미국 소비자 구매력 변화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미소매연맹(NRF)은 의류∙장난감∙가구∙가전∙신발∙여행용 제품 등 총 6개 품목에 대해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가구당 추가 지출 비용이 연간 362~624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미소매연맹은 트럼프 당선인이 부과할 관세를 시나리오별로 나누어 품목별로 소비자 가격과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시나리오 A는 모든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에는 60%의 추가 관세를 더해 총 70%를 부과하는 것을 가정했다. 시나리오 B는 20%의 보편 관세에 중국산 추가 관세율을 100%로 해 총 12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가정했다. 전미소매연맹은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미국 가구에 연간 최대 7600달러의 추가 지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그의 어떠한 관세 정책 시나리오도 미국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아 보일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주요 프라이빗 크레딧(사모대출) 회사로부터 유동성을 확보했다. 친환경 에너지 시장 진출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블룸에너지는 12일(현지시간) HPS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인더스트리얼디벨롭먼트펀딩(IDF) 두 곳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HPS·IDF는 우선 1억2500만 달러(약 1800억원)를 투자해 온사이트(on-site)형 마이크로그리드(소규모 독립형) 솔루션을 포함해 19㎿(메가와트) 규모의 블룸에너지 에너지 서버를 인수한다. 아울러 블룸에너지와 HPS·IDF는 부채·자본 지원을 기반으로 고객사에 전력을 판매하는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할 방침이다. 아만 조시 블룸에너지 최고상업책임자(CCO)는 "빠르게 변화하는 에너지 전환 분야 자금조달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두 회사와 장기 파트너십을 시작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대규모 프로젝트 수요 증가에 대응할 자금조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HPS는 운용자산이 1480억 달러(약 210조원)에 이르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월가의 퀀트 트레이딩 회사인 '제인 스트리트(Jane Street Group)'가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제인 스트리트는 지난 13일 코어위브 주식 약 2000만주를 매수했다. 매수 가격은 이날 종가(117.76달러) 기준 23억5520만 달러(약 3조3000억원)에 이른다. 제인 스트리트가 보유한 코어위브 지분은 5.4%로, 마그네타파이낸셜·FMR·엔비디아에 이어 네번째 많은 지분을 보유한 기관 투자자가 됐다. 제인 스트리트는 세계 최대 퀀트 트레이딩 기업이다. 퀀트 트레이딩은 수학 모델과 통계 분석을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자동화된 거래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터 분석과 과거 성과 검증(백테스트)을 기반으로 전략을 세우고, 감정 개입 없이 객관적인 매매를 실행한다는 게 특징이다. 코어위브는 올해 3월 공모가 40달러로 미국 증시에 상장됐다. 상장 이후 주가가 계속 상승세를 보이며 6월 한때 180달러선까지 치솟았다. 다만 21일 현재 주가는 90.79달러로 고점 대비 반토막 났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누로(Nuro)에 투자했다. 엔비디아는 투자와 함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누로는 신규 투자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누로는 21일(현지시간)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를 통해 총 2억300만 달러(약 2845억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누로는 이번 펀딩을 통해 60억 달러(약 8조41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누로는 2021년 진행된 시리즈 D 투자 라운드에서 86억 달러(약 12조원)로 평가받았었다. 누로의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는 1차와 2차로 나눠 진행됐다. 지난 4월 완료된 1차 펀딩에는 △티 로우 프라이스 어소시에이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리서치 컴퍼니 △타이거글로벌 △그레이록 파트너스 △XN LP 자문 펀드 등이 참여했다. 총 투자 규모는 1억600만 달러(약 1485억원)였다. 이번에 완료된 2차 펀딩에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우버 △아이스하우스 벤처스 △킨드레드 벤처스 △플레지 벤처스 △베일리 기포드 등이 참가자로 이름을 올렸다. 2차 펀딩에서는 9700만 달러(약 1360억원)가 모였다. 누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