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브랜드 첫 번째 전동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더 기아 EV9'(EV9)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30일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첫 대형 전동화 SUV 모델 EV9 실차를 선보였다. EV9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한 기아의 두 번째 전용 전동화 모델로 지난 2021년 출시한 EV6에 이어 기아가 글로벌 전동화 선도 브랜드로 도약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할 플래그십 전동화 SUV다. 세련된 디자인이 눈에 띈다. 전면부는 ‘디지털 패턴 라이팅 그릴’과 ‘스몰 큐브 프로젝션 LED 헤드램프’, ‘스타맵 LED DRL(주간주행등)’ 등 깔끔한 차체 면과 다양한 조명으로 미래 지향적 느낌을 구현했다. 측면부는 정통 SUV를 지향하는 차체 비율로 대형 SUV의 웅장함을 전달하고, 직선으로 구현한 다각형과 부드러운 볼륨감이 느껴지는 차체 면과의 대비를 통해 단단함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담아냈다. 후면부는 ‘스타맵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넓은 차폭을 강조하며 전면부와 통일감을 주고, 깨끗하게 정제된 면의 테일 게이트가 각진 숄더 라인에서 연결되는 날렵한 엣지와 함께 세련되고
전국에 있는 고등학교는 2021년 8월 25일 기준 일반고 1,616개교, 특목고 161개교, 자율고 110개교 등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가 1,887개교 있으며, 특성화고 488개교를 추가한다면 총 2,375개교가 존재하고 있다. 특목고를 좀 더 상세히 분류해보면 과학고 20개교, 영재고 8개교, 예술고 27개교, 외국어고 30개교, 국제고 8개교가 있고, 자율고를 좀 더 상세히 분류해보면 자공고 72개교, 자사고 38개교로 분류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전국 고교에서 원하는 대학, 학과를 향한 치열한 입시전쟁이 벌어지는 현실 속에서 문·이과 통합형 교육을 특징으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이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형으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공통과목과 더불어 선택과목으로 ‘일반선택’과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개설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이 적용된다. 문‧이과 구분 폐지 및 융합이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추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출제, 평가되고, 대입제도의 공정성 강화방안에 따라 학생부 기록 간소화 및 제출 서류 축소, 정시모집 수능위주전형 확대를 포함한 대입전형 구조의 개편 등 2022학
올해 2024학년도 입시는 큰 틀에서 보면 변화가 크지 않다. 전국 197개 4년제 대학을 분석해보면 올해 전체 선발인원은 344,296명으로 전년도 349,124명에 비해 소폭 감소했는데, 수시모집 선발인원은 272,032명으로 전년도 272,442명에 비해 비율은 소폭 증가하여 79%를 선발하고, 정시모집 선발인원은 72,264명으로 전년도 76,682에 비해 비율은 소폭 감소한 21%를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2022학년도부터 선발 규모를 축소하고,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거나 학교 밖 영향력이 작용될 수 있는 요소들을 축소하여 학생부 등의 기록이 많이 간소화되었고, 독서, 교외 봉사활동 등 정규 교육과정 외 비교과활동의 대입반영이 폐지되었다. 또한 올해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가 전면 폐지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영향으로 올해 2024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생부, 특히, 교과학습발달상황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더욱 중요한 평가요소가 되어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올해 고3의 경우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는 ‘1. 인적⋅학적사항, 2. 출결상황, 3. 수상경력, 4. 자격증 및 인
올해 2024학년도 입시일정은 다음과 같이 정해졌다. 수능시험은 2023년 11월 16일(목)에 치르고 수시모집 원서접수기간은 2023년 9월 12일(월)~15일(금), 정시모집 원서접수기간은 2024년 1월 3일(수)~6일(토)이다. 올해는 전국 197개 4년제 대학에서는 전체 344,296명의 신입생을 선발하는데, 9월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인원의 79%인 272,032명을 선발하고, 내년 1월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모집인원의 21%인 72,264명을 선발한다. 이러한 입시일정 속에서 수험생들은 각자 나름대로의 입시전략을 수립하게 되고, 좀 더 희망대학, 희망학과에 진학하기 유리한 입시전략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입시전략을 잘 세워도 실천하는 과정에는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올해 당장 입시를 치러야 하는 수험생들의 입장에서 가장 큰 고민은 ‘수시와 정시 중 어느 시기에 맞추어 준비하는 것이 유리한가?’라는 반복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 수험생들의 기간별 마음가짐 1. ‘3월초~5월 중순’의 마음가짐 : 3월 2일부터 시작되는 신학기 시작부터 4월말 또는 5월초 있을 중간고사 이전까지는 새롭게 시작하는 학년에 맞추어 필요한 학습과
올해도 어김없이 모든 고교생들은 3월 2일부터 새로운 학년, 새로운 학기를 시작한다. 새로운 학년을 시작하는 고1, 고2, 고3 학생들에게는 올해 3월 신학기는 각각 느끼는 무게감이 다르다. 고3 학생들은 올해 입시전쟁인 2024학년도 입시일정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되어, 2023년 9월 12일(월)부터 진행하는 수시모집, 2024년 1월 3일(수)부터 진행하는 정시모집에 희망하는 대학, 학과에 원서를 넣게 된다. 고2 학생들은 내년에 펼쳐질 고3 수험생활을 염두에 두며 경쟁자들보다 좀 더 유리한 학생부를 만들고 더 좋은 내신성적 향상을 위해서 또 더 좋은 수능성적 향상을 위해서 신경 쓰며 공부에 집중하려 한다. 고1 학생들은 입학식 이후부터 진행되는 모든 학교활동들이 3년 뒤 대학입시에 반영됨을 인식하고 미리 희망대학, 희망학과와 관련된 것들을 알아보고 고2, 고3 선배들의 입시경향 및 제반 입시사항 경향들을 체크하고 실천하려 한다. ◆ 고3의 신학기 전국의 고3 학생들은 지금부터 매달 중요한 수능모의고사 내지는 중간⋅기말고사 등 주요 시험들이 월 평균 1개 이상 있고, 이러한 매월 치르는 시험일정에 맞는 공부패턴을 1년간 지속해야 한다. 3월 모의고사,
올해 2024학년도 정원내 일반전형기준으로 전국 37개 약대에서는 수시모집으로 977명, 정시모집으로 763명 등 총 1,740명을 선발한다. 좀 더 전형별로 자세히 분석해보면 수시모집 977명 중 학생부교과전형으로 523명, 학생부종합전형으로 390명, 논술전형으로 67명을 선발하고, 정시모집 763명은 ‘가’군에서 332명, ‘나’군에서 382명, ‘다’군에서 59명을 각각 선발한다. 올해 2024학년도 전국 37개 약대를 지원하려는 수험생들은 최근의 약대 지원경향이 아주 높아 올해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으로 미리미리 구체적인 약대 입시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 (정원내) 전국 37개 약대 2024학년도 신입생 선발 ◀ ◆ 서울소재 9개, 지방소재 28개 약대 총 1740명 선발 전국 37개 약대 2022학년도 수시 합격자 내신등급은 ‘가천대 합격자 70% Cut은 (교과)지역 1.50등급, (종합)가천의약학 2.50등급’, ‘가톨릭대 합격자 70% Cut은 (교과)지역 1.13등급, (종합)학교장추천 4.13등급’, ‘강원대 합격자 70% Cut은 (교과)일반 1.48등급, (교과)지역 1.60등급, 합격자 평균 등급은 (종합)미래인재 1.37등급
올해 2024학년도 정원내로 일반전형기준 전국 12개 한의대에서는 722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수시모집에서 479명, 정시모집에서 243명을 각각 선발한다. 수시모집 479명을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으로 242명, 학생부종합전형으로 211명, 논술전형으로 26명을 선발한다. 정시모집 243명은 ‘가’군에서 37명, ‘나’군에서 156명, ‘다’군에서 50명을 선발하여, ‘나’군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한다. 한의대는 인문계열 학생들도 지원이 가능한데, 인문계열을 별도 분리하여 선발하는 대학은 4개 대학이며 인문, 자연 구분 없이 공통계열로 모집하는 대학까지 합하면 9개 대학에서 451명이 한의예과에 지원 가능하다. ▶ (정원내) 전국 12개 한의대 2024학년도 신입생 선발 ◀ ◆ 서울소재 1개, 지방소재 11개 한의대 총 722명 선발 전국 12개 한의대 2022학년도 수시 합격자 내신등급은 ‘가천대 합격자 70% Cut은 (교과)지역 1.70등급, (종합)가천의약학 2.60등급’, ‘경희대 합격자 평균 등급은 (종합)네오르네상스 1.50등급, (논술)논술우수자 (인문) 3.30등급, (자연) 2.60등급’, ‘대구한의대 합격자 70% Cut은 (교과
올해 2024학년도 정원내로 일반전형기준 치대 선발은 3개 치의학전문대학원을 포함하여 전국 11개 대학에서 618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서울소재 3개 치대인 ‘경희대, 서울대, 연세대’ 포함하여 전국 11개 치대에서는 정원내로 일반전형기준 전체 신입생 선발인원인 618명 중 수시모집에서 352명을 선발하고, 정시모집에서 266명 모집하여 수시에서 86명을 더 선발한다. 수시모집 352명 선발을 분석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으로 130명, 학생부종합전형으로 196명, 논술전형으로 26명을 선발하는데, 학생부종합전형이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며, 11개 치대에서 모두 학생부종합전형을 실시한다. 따라서 치대 지원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학생부종합전형을 염두에 두고 학생부관리를 잘 해두어야 한다. 정시모집 266명은 ‘가’군에서 97명, ‘나’군에서 153명, ‘다’군에서 16명으로 상대적으로 ‘나’군 선발인원이 제일 많고 ‘다’군에서는 ‘강릉원주대’만 선발한다. ▶ (정원내) 전국 11개 치대 2024년도 신입생 선발 ◀ ◆ 서울소재 3개, 지방소재 8개 치대 총 618명 선발 전국 11개 치대 2022학년도 수시 합격자 내신등급은 ‘강릉원주대 합격자 70% Cut은 (
올해 2024학년도에는 정원내로 일반전형기준 지방소재 30개 의대에서는 수시에서 1,354명, 정시에서 752명 등 총 2,106명을 선발한다. 지방소재 의과대학은 '가천대, 가톨릭관동대, 강원대, 건국대(글로컬), 건양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계명대, 고신대, 단국대(천안), 대구가톨릭대, 동국대(WISE), 동아대, 부산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미래), 영남대, 울산대, 원광대, 을지대, 인제대,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조선대, 충남대, 충북대, 한림대'로 총 30개 대학이다. ◆ 지방소재 30개 의대 총 2,104명 선발 2024학년도 지방소재 의대진학을 전형별로는 분류해 보면 수시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이 27개 대학 818명, 학생부종합전형은 24개 대학 478명, 논술전형은 5개 대학 58명이고, 정시에서는 750명을 선발한다. 지역인재전형의 영향으로 학생부교과전형 모집인원이 학생부종합전형 모집인원보다 많은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논술전형은 매년 감소 추세에 맞추어 올해는 58명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에서 2단계에 면접을 보는 대학은 ‘건국대(글로컬), 고신대, 계명대, 인제대’이며, 그 외 대학은 ‘교과 100%’로 선발한
올해 2024학년도에는 정원내로 일반전형기준 서울소재 9개 의대, 지방소재 30개 의대 등 전국 39개 의대에서 총 3,023명의 신입생을 선발하는데, 서울소재 9개 의대에서 수시에서 456명, 정시에서 392명 등 총 848명을 선발한다. 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는 많은 자연계 최우수 학생들은 서울소재 9개 의대를 목표로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유리한가?’라는 나름대로의 지원전략 수립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일반고, 과학고, 자사고 등 고교유형을 막론하고 자연계열에서 공부 좀 한다는 학생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전공이 바로 의대이다. 그중에서도 가톨릭대,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등 서울소재 9개 의대를 향한 관심도는 가장 크다. 본인 스스로는 자연과학이나 공대 진학을 원해도 주변의 권유로 인해 의대 진학으로 관심을 갖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하여 서울소재 9개 의대 진학은 자연계 학생들에게 있어서 올해도 최고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학과로 인식되어 치열한 경쟁이 나타날 것이다. ▶ (정원내) 서울소재 9개 의대 2024학년도 신입생 선발 ◀ ◆ 서울소재 9개 의대 총 848명 선발 의대진학을 목표로 하는 최상위권
올해 정원내로 2024학년도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총 선발인원은 6,617명이고, 수시에서 4,062명, 정시에서 2,555명을 각각 선발한다. 구체적으로는 의대 모집인원은 정원내로 수시에서 1,872명, 정시에서 1,151명 등 총 3,023명을 선발하고, 치대 모집인원은 정원내로 수시에서 365명, 정시에서 266명 등 총 631명을 선발하며, 한의대 모집인원은 정원내로 수시에서 490명, 정시에서 235명 등 총 725명을 선발하고, 약대 모집인원은 정원내로 수시에서 1,013명, 정시에서 728명 등 총 1,741명을 선발하고, 수의대 모집인원은 정원내로 수시에서 322명, 정시에서 175명 등 총 497명을 선발한다. 의치한약수계열을 향한 치열한 경쟁은 올해도 여전히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시, 정시 입시로드맵을 잘 세워야 할 것이다. ◆ 2024학년도 의대 입시전략 1. 의대는 수시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은 29개 대학 940명, 학생부종합전형은 34개 대학 876명, 논술전형은 9개 대학 116명을 선발한다. 2. 지역인재전형의 영향으로 학생부교과전형 모집인원이 학생부종합전형 모집인원보다 많은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논술전형은 매
올해 2023년 입시 쪽에서 말하는 2024학년도 입시가 시작됐다. 올해 2024학년도 수능시험은 2023년 11월 16일(목)에 실시되고, 수능성적표는 2023년 12월 8일(금)에 받는다. 전년도인 2023학년도 수능원서 접수인원은 508,030명이었으며, 올해 2024학년도에도 비슷한 숫자가 예상된다. 올해 2024학년도 전국 197개 4년제 대학에서는 전체 모집인원 344,296명을 선발하는데,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인원의 79%인 272,032명을 선발하고,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모집인원의 21%인 72,264명을 선발한다. 올해 2024학년도 수시 원서접수는 2023년 9월 12일(월)~15일(금), 전형기간은 2023년 9월 16일(토)~12월 14일(목)까지 90일간 진행되며, 합격자 발표는 2023년 12월 15일(금)까지, 합격자 등록기간은 2023년 12월 18일(월)~21일(목), 미등록 충원 등록마감은 2023년 12월 29일(금)로 모든 수시모집 일정이 마무리된다. 올해 2024학년도 정시 원서접수는 2024년 1월 3일(수)~6일(토), 전형기간은 ‘가’군 2024년 1월 9일(화)~16일(목), ‘나’군 2024년 1월 17일(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증강현실(AR) 글래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국에서도 AR 글래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와 양자컴퓨터 등에 이어 '미중 기술 전쟁'의 전선이 AR글래스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AR글래스 제조업체 로키드(Rokid)는 3분기 중 49그램(g) 초경량 AR글래스를 출시한다. 로키드는 "새로운 AR글래스가 가벼운 무게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능 탑재하고 있다"며 "아이웨어 기업인 '볼론'과 협력해 일상생활에서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로키드 AR 글래스에는 퀄컴의 AR 전용 칩인 '스냅드래곤 AR1'이 탑재됐다. 또한 자체 개발한 '도파관(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됐다. 도파관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나온 빛의 회절과 반사를 활용해 사용자가 보는 글래스에 영상을 투사하는 기술로, AR 글래스의 무게를 가볍게 만들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또한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을 연동한 강력한 AI 기능도 탑재됐다. 로키드는 해당 AR 글래스가 사물인식은 물론 번역, 실시간 내비게이션, 알람 등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가 2년 전 출원한 특허가 시장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전자모터에 희토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담고 있어서다. 중국의 희토류 통제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며 테슬라처럼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려는 완성차 업계의 움직임이 거세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wccftech'는 최근 테슬라의 특허가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특허는 '선택적 보자력 조절을 위한 슬릿형 자석 및 그 방법(Slitted magnet for selective coercivity, and methods thereof)'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2023년 10월 31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출원됐다. 영구자석에 작은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 특정한 첨가물을 주입하고, 자기력과 반응 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담고 있다. 그동안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네오디뮴계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 금속이 필수적이었다. 네오디뮴계 자석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알려졌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